목차
없음
본문내용
리기'라는 영화도입부의 말처럼 그저 털을 깎이기 위해 이끌려가는 양들과 인간이 같을 수는 없다. 물론 지속적인 노동운동과 사회운동의 전개로 현재는 과거에 비해 나아졌다. 하지만 아직까지 이런 노동운동을 두고 사회발전을 저해하는 불온세력이라면서 우리의 현재 경기침체의 원인이라고 공공연히 말하는 사람도 있다. 단순한 노동문제만이 아닌 사회갈등의 문제로 까지 확대되는 모습도 보인다. 우리의 노동운동의 당사자는 노동자와 사용자라기보다는 노동자와 국가의 대립이 주로 되는 모습이었다. 물론 지금은 그런 모습이 줄어들었고 노동자와 사용자가 양 당사자가 되었고 그러한 모습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사회갈등의 모습을 보인 탓일 것이다. 하지만 채플린이 묘사한 마지막 장면처럼 더 나아지기 위한 과정이라는 생각을 하고 싶다.
추천자료
작업장을 둘러싼 사회적 관계와 노동자의 사회적 정체성
21세기 노동법의 전망
영화속의 내재된 무용의 이미지(영화 빌리엘리어트)와 안무가의 수행
[여성복지, 성차별, 노동복지]여성 노동 시장의 현황과 노동시장에서의 성차별 실태 및 문제...
아동 문제- 포스트 모던 유연가족에서 바이탈 가족까지
현대사회 여성노동현장의 불평등과 그 대책
[역사학 개론] 기독교 관점 근대(포스트모던)역사학 비판
텔레비전 광고의 의미구성과 이데올로기- TTL 포스트모던 광고를 중심으로
포스트모던 현상으로서의 맥도날드
『포스트모던의 조건』 요약
현대 사회의 노동 수요의 변화 요인
포스트 모던 패션
[올해최신A+자료] 도가니 영화감상문과 장애여성의 성폭력문제에 관한 고찰[도가니 영화비평]...
개인정보보호(프라이버시권)의 개념, 형성배경, 개인정보보호(프라이버시권)의 보호정책, 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