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미문학분석] The Lesson에서의 하녀, Marie의 역할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서 어린아이와 같은 모습을 보이고 그녀에게 매우 의존적인 태도를 보인다. 하녀는 교수를 혼내며 다그치다가 달래며 그가 저지른 일을 처리한다. 여기에서 하녀와 교수의 관계는 마치 잘못을 저지른 아이와 엄마의 모습과 유사하다. 결국, 극 속에서 권력을 가지고 있는 교수를 통제하고 지배할 수 있는 사람은 하녀인 것이다. 그리고 하녀는 인간에게 폭력을 휘두르는 언어의 속성에 대해 알고 있기 때문에 언어에 의해 지배되지 않는 유일한 등장인물이다.
극 속에 등장하는 세 인물들은 "힘의 투쟁(power struggle)"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극 속에서 "힘"은 고정된 것이 아니며 인물들 간에 갈등을 보이며 획득하고 잃는 과정을 되풀이한다. 우선 학생과 교수 간 의 "힘(power)"의 획득과 상실은 초반 부분 수업에서와 같이 자못 분명하게 드러난다. 처음 학생의 목소리는 생기발랄하며 교수의 목소리는 약하고 힘이 없다. 산술과목의 학습과정에서 여학생은 모든 가능한 곱셈과 덧셈의 조합을 다 암기했기 때문에 수를 세는 것과 덧셈은 무한대로 할 수 있다고 자신 있게 이야기한다. 이에 교수는 학생에게 복잡한 덧셈과 곱셈 문제를 내고는 학생의 답변이 틀렸다고 주장한다. 그러자 학생은 매우 자신 있게 자신의 답이 맞다고 응대한다. 교수는 의기소침해 지고 여학생은 자신감에 찬 모습을 보인다. 교수와 학생간의 힘의 투쟁관계는 교수가 언어학 수업을 하면서 역전이 되어 점차 교수가 힘을 얻게 된다. 그러나 학생을 살해한 교수의 앞에선 하녀의 모습을 보면 이 극 속에서 실재로 "힘"을 가진 자가 누구인지 알 수 있게 된다. 교수는 하녀의 말과 힘에 의해서 제압 당하고 하녀가 살인사건을 처리해 가며 그를 위로하자 매우 고마워하며 감격하는 모습을 보인다. 하녀는 그녀 나름의 방법으로 교수를 통제해 가며 이용하고 있는 것이다. 극에서 피상적으로 보이는 학생과 교수 그리고 하녀의 관계는 우리 사회의 구조를 상징적으로 보여주고자 한 극적 장치이다. 극 속의 관계 설정 관계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이들의 관계 속에서 나타나는 우리 사회의 구조의 파악이 보다 더 중요한 관건이 된다. 하녀는 자신의 권력을 정당한 것으로 포장할 수 있는 사상의 틀을 필요로 하고 지식인들은 이미 습득한 지식과 문장으로 권력에 영합한다. 하녀는 실질적으로 자신이 만들어 놓은 권력에 대항한 학생을 교수를 통해서 제거한다. 그러나 계속해서 교수를 이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의 역할에 대해서 은폐시키는 것이다. 하녀는 교수의 잘못을 탓하는 듯 하지만 실재로 교수가 살인을 하도록 만드는 사람이다. 만약 교수가 자신 또한 이용당하는 꼭두각시에 불과하다는 사실과 자신이 만드는 상황에 대해서 제대로 파악한다면 그를 더 이상 이용할 수 없을 것이다. 교수는 하녀가 지닌 권력을 차지하고자 할 수도 있고 자신의 역할을 거부할 수도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The Lesson에서 하녀, Marie는 배후의 권력자로 언어라는 힘을 가진 지식인(교수)의 목소리로 학생들(시민들)을 통제하고 억압하는 존재이다.
WORKS CITED
Althusser, Louis. "Ideology and Ideological State Apparatuses(Notes towards an Investigation)." Lenin and Philosophy and Other Essays. Trans.
Esslin, Martin. The Theatre of the Absurd. 3rd ed. London: Penguin, 1961. 1980.
Ionesco, Eugene. The Lesson. Trans. Donald Watson. Rhinoceros·The Chairs·The Lesson. Trans. Dereck Prouse. Rhinoceros, 1960. Trans. Donald Watson. The Chairs. Harmondsworth: Penguin, 1958. 179-17.
Schechner, Richard. "The Bold Soprano and The Lesson: An Inquiry into Play Structure." Ed. Rosette C. Lamont. Twentieth Century Views Ionesco. Englewood Cliffs: Prentice, 1973. 21-37.
인 용 문 헌
바르트, 롤랑. "도미니시 혹은 문학의 승리" 현대의 신화. 옮긴이. 이화여대 기호학 연구소. 서울: 동문선, 1997.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4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02.13
  • 저작시기2005.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53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