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1. 고대에서 현대까지…
2. Hobbes, Locke, Rousseau와 Montesquieu의 사회형성에 관한 諸理論…
3. 현대의 사회관과 사회학이론
결론
본론
1. 고대에서 현대까지…
2. Hobbes, Locke, Rousseau와 Montesquieu의 사회형성에 관한 諸理論…
3. 현대의 사회관과 사회학이론
결론
본문내용
그는 갈등의 원인을 맑스처럼 경제적 이해관심이 다른 계급적 대립으로 보지 않고, 오히려 현대산업사회를 기점으로 하여, 인간사회의 근본적인 갈등은 바로 권위적인 관계로 맺어진 집단들 사이의 갈등이라고 본다.
한편, 코저는 갈등이론을 주장하고 있기는 하지만 구조기능주의가 말하는 사회체계를 근본적으로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 체계 안에서 갈등을 보다 포괄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가 강조하고자 했던 것은, 갈등이 어떻게 해서 사회통합이나 사회유지에 기여하고 있는가 하는 문제였다. 그는, 사회 내 갈등이 구성 부분간의 대립과 반목을 가져오기는 하지만 동시에 그것은 사회체계를 재통합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결국에는 사회체계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사회질서를 회복시켜 준다고 하였다. 이처럼 코저는 구조기능주의를 근본적으로 거부하기보다는 그 안에서 갈등을 설명하려 하고 있다.
3) 상호작용론 (interactionism)
상호작용론은 사회구조보다는 사람들이 서로 주고받는 일상적인 상호작용과 커뮤니케이션에 중점을 두어 사회를 설명하려고 한다. 여기에서는 상호작용론적 입장을 취하는 대표적인 이론으로서 ‘상징적 상호작용론’과 ‘교환이론’에 대해 말할 것이다. 상징적 상호작용론은 사람들이 상징, 즉 언어나 제스처로서 의미를 교환하고 그 속에서 서로의 생각·기대·행동을 조정해 가는 미시적인 사회과정에다 초점을 맞추는 이론이다. 이 이론은 사람들이 일상적인 커뮤니케이션과정 속에서 상호성을 형성하고 공통의 사회세계를 만든다고 본다. 사회란 여러 개인들간의 수많은 일상적인 관계 속에서 공동으로 구성되고 재구성되는 의미 혹은 ‘상황정의’의 교류에 의해 유지되어 간다는 것이다. 따라서 사회현실이란 상호주관적인 것이며, 서로의 행동을 해석하고 적절히 반응하는 과정에서 사람들은 사회를 끊임없이 수정하고 재창조한다는 것이다.
교환이론은 고전경제학의 공리주의적 인간관에 기초하여, 인간을 최소의 대가로 최대의 보상을 받으려는 이익추구자로 본다. 또한 행동주의심리학의 학습이론을 도입하여, 사람들은 과거에 보상을 받은 활동이면 그것을 되풀이할 가능성이 크다는 명제를 제시한다. 교환이론은 인간의 사회행위를 교환행위로 규정하고, 이러한 사회적 교환은 사회적 보상과 형벌의 체계에 의해 조건지어진 결과로 일어나는 상호작용의 본질적 모습이라고 본다.
이밖에 상호작용론과 비슷한 관심을 가지면서 현상학적 방법을 원용하여, 사람들이 사회질서를 가정하는 방법을 연구하고자 하는 민속방법론(ethnomethodology)이 있다. 이것은 사회질서의 실재성에 대한 전제를 의문시하고, 사람들이 어떻게 사회질서에 대한 감각을 창출하고 유지해 나가는가를 연구한다. 즉, 사람들이 외재적 현실이 존재한다는 느낌을 서로 조성하고 확인 또는 변경해 가는 방법을 연구하는 것이다.
결론
이로서 대강의 사회학 이론을 훑어보았다. 시대별로 어떤 사회학 이론이 있었는지, 개개 학자들마다 같은 이론을 두고 어떻게 다른 입장을 보였는지 정리해 보았다. 모르고 지나친 부분이 많더라도 이해해 주시길 바라며 끝을 맺는다.
한편, 코저는 갈등이론을 주장하고 있기는 하지만 구조기능주의가 말하는 사회체계를 근본적으로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 체계 안에서 갈등을 보다 포괄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가 강조하고자 했던 것은, 갈등이 어떻게 해서 사회통합이나 사회유지에 기여하고 있는가 하는 문제였다. 그는, 사회 내 갈등이 구성 부분간의 대립과 반목을 가져오기는 하지만 동시에 그것은 사회체계를 재통합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결국에는 사회체계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사회질서를 회복시켜 준다고 하였다. 이처럼 코저는 구조기능주의를 근본적으로 거부하기보다는 그 안에서 갈등을 설명하려 하고 있다.
3) 상호작용론 (interactionism)
상호작용론은 사회구조보다는 사람들이 서로 주고받는 일상적인 상호작용과 커뮤니케이션에 중점을 두어 사회를 설명하려고 한다. 여기에서는 상호작용론적 입장을 취하는 대표적인 이론으로서 ‘상징적 상호작용론’과 ‘교환이론’에 대해 말할 것이다. 상징적 상호작용론은 사람들이 상징, 즉 언어나 제스처로서 의미를 교환하고 그 속에서 서로의 생각·기대·행동을 조정해 가는 미시적인 사회과정에다 초점을 맞추는 이론이다. 이 이론은 사람들이 일상적인 커뮤니케이션과정 속에서 상호성을 형성하고 공통의 사회세계를 만든다고 본다. 사회란 여러 개인들간의 수많은 일상적인 관계 속에서 공동으로 구성되고 재구성되는 의미 혹은 ‘상황정의’의 교류에 의해 유지되어 간다는 것이다. 따라서 사회현실이란 상호주관적인 것이며, 서로의 행동을 해석하고 적절히 반응하는 과정에서 사람들은 사회를 끊임없이 수정하고 재창조한다는 것이다.
교환이론은 고전경제학의 공리주의적 인간관에 기초하여, 인간을 최소의 대가로 최대의 보상을 받으려는 이익추구자로 본다. 또한 행동주의심리학의 학습이론을 도입하여, 사람들은 과거에 보상을 받은 활동이면 그것을 되풀이할 가능성이 크다는 명제를 제시한다. 교환이론은 인간의 사회행위를 교환행위로 규정하고, 이러한 사회적 교환은 사회적 보상과 형벌의 체계에 의해 조건지어진 결과로 일어나는 상호작용의 본질적 모습이라고 본다.
이밖에 상호작용론과 비슷한 관심을 가지면서 현상학적 방법을 원용하여, 사람들이 사회질서를 가정하는 방법을 연구하고자 하는 민속방법론(ethnomethodology)이 있다. 이것은 사회질서의 실재성에 대한 전제를 의문시하고, 사람들이 어떻게 사회질서에 대한 감각을 창출하고 유지해 나가는가를 연구한다. 즉, 사람들이 외재적 현실이 존재한다는 느낌을 서로 조성하고 확인 또는 변경해 가는 방법을 연구하는 것이다.
결론
이로서 대강의 사회학 이론을 훑어보았다. 시대별로 어떤 사회학 이론이 있었는지, 개개 학자들마다 같은 이론을 두고 어떻게 다른 입장을 보였는지 정리해 보았다. 모르고 지나친 부분이 많더라도 이해해 주시길 바라며 끝을 맺는다.
키워드
추천자료
교육사회학-기능주의,갈등론적교육이론비교,개혁,학습욕구이론
교육사회학의 주요접근 이론
(교육사회학)기능이론과 갈등이론
사회학의 4가지 이론적 접근
교육사회학 번스타인의 이론
[교육사회학] 저항이론 -발표자료
사회이론을 통한 사회학적 통찰력
[북한문학][문예이론][민족문학론][소설문학][소설 운영전]북한문학 성격, 북한문학 원리, 북...
[조직개발] 조직개발의 정의와 특성, 이론적 배경, 목표, 전개과정 및 조직개발기법
부모-자녀 관계에 대한 이론적 관점 중 브론펜브레너(Bronfenbrenner)의 ‘생태학적 이론’과 ...
<주민참여예산제도(住民參與豫算制度)> -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이해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전개...
정책과정이론(정책과정론)의 전개
03. 스포츠 사회학 {사회이론 및 과정과 스포츠, 사회제도와 스포츠, 사회문제와 스포츠} [임...
제 2장 스포츠사회학의 주요 이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