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의 리더십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김대중 리더십

3. 노무현 리더십

4. 결론

본문내용

지 않고 협상력을 발휘한다는 점이다.
전문가들은 무엇보다 노무현 대통령이 국민을 중심에 두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스스로 말해왔듯 이것이 자기 중심의 일방향성을 버리고 상대방 존중의 쌍방향성을 획득하기 위한 전제라는 것이다. 이와 관련,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의 언급은 또 다른 반면교사가 된다. ‘여당이나 야당이나 모두 무대에 서있는 배우이고, 국민이 관객이다. 국민들이 우리를 보고 틀렸다고 하면 우리가 이겼다고 해도 지는 싸움을 하는 것이다.’
국정 우선순위를 명확히 하고 집중해야 한다는 지적도 여전히 나온다. 지난해 10월 대통령 리더십에 대한 내일신문 여론조사에 따르면 대통령이 국정 우선순위 결정을 잘못하고 있다는 응답이 61.2%였다. 국민은 경제에 대한 집중을 요구하는데 대통령의 관심은 다른 곳에 가 있다는 것이다. 이래서는 당장 경제적 어려움을 피부로 느끼는 국민들의 신뢰도는 점점 떨어질 수밖에 없고, 지지와 응집력을 상실한 대통령이 일관성 있는 정책을 수행하고 당초의 목표대로 개혁을 완수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노무현 대통령은 고집을 버리고 하루빨리 자신의 리더십의 장단점을 깨닫고, 오로지 장점의 극대화를 위해 당장 내일부터 실행에 옮겨야 할 것이다.
4. 결론
새로운 권력은 새로운 리더십을 요구한다. 새로운 리더십은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사고틀 및 이를 실천할 새로운 조직과 인물에 의해 수행된다. 새로운 리더십은 민주적인 리더십인 동시에 개혁적인 리더십이어야 한다. 이 리더십은 대통령 일인에 의존한 사인화된 리더십이 아니라 개혁주체의 집단적 힘에 기초한 집단적 리더십이어야 한다. 또한 그것은 지도자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리더십이 아니라 지도자의 의지가 조직적, 제도적으로 관철되는 조직적 리더십이어야 한다. 국민에 의해 지지되고 제도에 의해 보장되지 못하는 제도적 개혁은 오래 지속되기 어렵다. 이런 점에서 대통령에게 요구되는 리더십은 민주적이고 개혁적이되 집단적이고 제도적인 리더십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리더십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대통령의 결단과 노력이 필요하다. 국민의 지지와 신뢰를 기반으로 하지 않은 개혁은 아무리 뚜렷한 명분과 방향성이 있다 해도 사상누각과 마찬가지로 허물어지고 만다. 노무현 대통령은 김대중 정부의 실패와 성공 요인을 분석하고 진정 국민을 위하는 정책이 무엇인지 되짚어 남은 임기 동안 절반의 방황을 갈음할 수 있는 새로운 리더십을 보여야 할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6.02
  • 저작시기2005.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57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