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이론적 배경
1.성희롱
2.성차별
Ⅲ.본론
1. 직장내 성희롱
2.사례
3.성희롱 방지를 위한 대책
Ⅳ.결론
Ⅱ.이론적 배경
1.성희롱
2.성차별
Ⅲ.본론
1. 직장내 성희롱
2.사례
3.성희롱 방지를 위한 대책
Ⅳ.결론
본문내용
개인정보 보호와 신속 공정, 결과의 적정기일 내에 통보할 것 등을 사업주는 명확히 해야 한다.
② 사용자단체는 영세중소기업의 직장내 성희롱 예방을 위하여 사내지침, 고충해결기구 등에 관한 조언이나 필요한 자료를 제공해야 한다.
(6) 성희롱에 관련된 자들의 책임을 명확히 해야 한다.
성희롱은 피해자뿐만 아니라 가해자 그리고 동료들에게도 피해를 입히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책임을 명확히 하는 것이 좋다. 즉 성희롱 가해자의 책임, 피해자의 책임, 상관의 책임, 동료의 책임 등을 명문화하는 것이 좋다. 자가평가표를 만들어 성희롱에 관하여 스스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7) 성희롱 징벌 조치와 보복금지를 명문화한다.
성희롱에 가해자에게는 적절한 징계조치가 있을 것임을 분명히 한다. 성희롱 상황에 의거해서 견책, 감봉, 정권, 정직, 면직, 제명, 해고 등이 있을 수 있음을 분명히 규정한다. 파견근로자가 성희롱 피해를 입었을 경우 성희롱 가해자에 대해서는 징계조치를 해야 하는 규정도 명문화해야 한다.
또 어떠한 형태로든지 성희롱 불평인 등에 대한 보복은 그에 상응한 징계조치가 있을 것임을 단호히 하여 성희롱 불평인 등에 대한 보복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Ⅳ.결론
성희롱이 직장에서 근절되지 않는 이유는 성희롱이 직장내 활력소라는 잘못된 통념을 갖고 있고 또 가해자는 피해자가 성희롱을 당했을 때 어떤 감정이 드는지 모르고 또 안다하더라도 그 감정을 무시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가해자는 이런 행위를 함으로써 자신의 권위와 힘을 과시하려고 합니다. 이것은 사회적으로 봤을 때 성의 상품화라는 왜곡된 성문화의 산물로써 여성을 하나의 인격체로 보지 않기 때문입니다.
우리 사회는 지금 남녀 차별적인 전통적인 성 윤리와 서양에서 들어온 서양 윤리와의 이중적인 가치관 교육으로 남녀 모두 올바른 가치관을 확립하지 못하였습니다.
남녀차별은 우리 관습에 깊숙이 자리잡고 있어서 법률적 조치로도 쉽게 고쳐지지 않습니다. 성희롱은 특히 그렇습니다. 남녀차별금지법 제정 때에 성희롱의 구체적 행위로 육체적 행위 뿐만 아니라 언어나 시각적 행위를 들었는데 남자들은 친밀감의 표시로 할 수 있는 행위들도 성희롱에 걸린다는 사실에 반발했지만 당하는 여성들의 성적 수치감과 굴욕감은 이루 말로 표현할 수 없을 만큼 심한 고통을 줍니다.
성희롱은 최근 직장뿐만 아니라 학교, 교회 등에도 많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가해자들이 자신의 어머니나 아내, 딸이 곁에 있어도 스스럼없이 할 수 있는 행동인가, 또 자신의 어머니나 아내, 딸이 다른 남자로부터 당해도 괜찮은 행위인가를 생각한다면 쉽게 행동하지는 못할 것입니다.
본론에서 말했듯이 성희롱을 방지하기 위해 자신의 조직이 처한 상황에 따라서 바람직한 모형을 설정하여 이를 기반으로 성희롱 정책을 수립, 집행해야 할 것이며, 또한 성희롱 정책은 법이나 제도적인 요소만으로는 고쳐지기 어려우므로 윤리적, 도덕적으로도 접근해야 할 것입니다. 조직의 구성원들이 서로 존경하며, 남녀 근로자들이 상호 대등한 입장으로 서로를 바라볼 때 비로소 성희롱은 근절 될 것입니다.
(참고문헌)
①http://myhome.netsgo.com/BEYONDI/default.htm
②http://myhome.netsgo.com/yullin/index1.htm
③http://www.forwoman.pusan.kr/
④http://www.mokpowomen.or.kr/
④성희롱 당신의 직장이 안전합니까?/한국 여성 민우회 지음, 서울: 21세기 북스, 2000
⑤이것이 성희롱이다/우영은 옮김, 서울: 여성사, 1994
⑥성희롱 정책:이론과 실제/천대윤 지음, 서울:선학사, 1999
② 사용자단체는 영세중소기업의 직장내 성희롱 예방을 위하여 사내지침, 고충해결기구 등에 관한 조언이나 필요한 자료를 제공해야 한다.
(6) 성희롱에 관련된 자들의 책임을 명확히 해야 한다.
성희롱은 피해자뿐만 아니라 가해자 그리고 동료들에게도 피해를 입히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책임을 명확히 하는 것이 좋다. 즉 성희롱 가해자의 책임, 피해자의 책임, 상관의 책임, 동료의 책임 등을 명문화하는 것이 좋다. 자가평가표를 만들어 성희롱에 관하여 스스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7) 성희롱 징벌 조치와 보복금지를 명문화한다.
성희롱에 가해자에게는 적절한 징계조치가 있을 것임을 분명히 한다. 성희롱 상황에 의거해서 견책, 감봉, 정권, 정직, 면직, 제명, 해고 등이 있을 수 있음을 분명히 규정한다. 파견근로자가 성희롱 피해를 입었을 경우 성희롱 가해자에 대해서는 징계조치를 해야 하는 규정도 명문화해야 한다.
또 어떠한 형태로든지 성희롱 불평인 등에 대한 보복은 그에 상응한 징계조치가 있을 것임을 단호히 하여 성희롱 불평인 등에 대한 보복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Ⅳ.결론
성희롱이 직장에서 근절되지 않는 이유는 성희롱이 직장내 활력소라는 잘못된 통념을 갖고 있고 또 가해자는 피해자가 성희롱을 당했을 때 어떤 감정이 드는지 모르고 또 안다하더라도 그 감정을 무시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가해자는 이런 행위를 함으로써 자신의 권위와 힘을 과시하려고 합니다. 이것은 사회적으로 봤을 때 성의 상품화라는 왜곡된 성문화의 산물로써 여성을 하나의 인격체로 보지 않기 때문입니다.
우리 사회는 지금 남녀 차별적인 전통적인 성 윤리와 서양에서 들어온 서양 윤리와의 이중적인 가치관 교육으로 남녀 모두 올바른 가치관을 확립하지 못하였습니다.
남녀차별은 우리 관습에 깊숙이 자리잡고 있어서 법률적 조치로도 쉽게 고쳐지지 않습니다. 성희롱은 특히 그렇습니다. 남녀차별금지법 제정 때에 성희롱의 구체적 행위로 육체적 행위 뿐만 아니라 언어나 시각적 행위를 들었는데 남자들은 친밀감의 표시로 할 수 있는 행위들도 성희롱에 걸린다는 사실에 반발했지만 당하는 여성들의 성적 수치감과 굴욕감은 이루 말로 표현할 수 없을 만큼 심한 고통을 줍니다.
성희롱은 최근 직장뿐만 아니라 학교, 교회 등에도 많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가해자들이 자신의 어머니나 아내, 딸이 곁에 있어도 스스럼없이 할 수 있는 행동인가, 또 자신의 어머니나 아내, 딸이 다른 남자로부터 당해도 괜찮은 행위인가를 생각한다면 쉽게 행동하지는 못할 것입니다.
본론에서 말했듯이 성희롱을 방지하기 위해 자신의 조직이 처한 상황에 따라서 바람직한 모형을 설정하여 이를 기반으로 성희롱 정책을 수립, 집행해야 할 것이며, 또한 성희롱 정책은 법이나 제도적인 요소만으로는 고쳐지기 어려우므로 윤리적, 도덕적으로도 접근해야 할 것입니다. 조직의 구성원들이 서로 존경하며, 남녀 근로자들이 상호 대등한 입장으로 서로를 바라볼 때 비로소 성희롱은 근절 될 것입니다.
(참고문헌)
①http://myhome.netsgo.com/BEYONDI/default.htm
②http://myhome.netsgo.com/yullin/index1.htm
③http://www.forwoman.pusan.kr/
④http://www.mokpowomen.or.kr/
④성희롱 당신의 직장이 안전합니까?/한국 여성 민우회 지음, 서울: 21세기 북스, 2000
⑤이것이 성희롱이다/우영은 옮김, 서울: 여성사, 1994
⑥성희롱 정책:이론과 실제/천대윤 지음, 서울:선학사, 1999
키워드
추천자료
성폭력과 성추행
여성과 폭력에 대한 보고서
여성과 성폭력
한국사회와 이주여성노동자
[성폭력][성폭력범죄][성폭력범죄처벌법][성범죄]성폭력의 유형, 성폭력 범죄 실태, 성폭력 ...
노동시장에서 양성평등
여성근로에 대한 특별보호 규정 검토
[성폭력][성폭력의 피해후유증][성폭력의 대처법][성범죄][성추행]성폭력의 정의, 성폭력의 ...
[남녀고용평등법]남녀고용평등법의 제정, 남녀고용평등법의 구성, 남녀고용평등법의 목적, 남...
양성평등(남녀평등)과 사회, 양성평등(남녀평등)과 교육, 양성평등(남녀평등)과 성차별, 양성...
한국의 노동시장에서 여성들이 겪고 있는 성불평등적인 현상 3가지를 설명하고 이를 정책적으...
[사회문제론B형] 한국 사회에서 남성과 여성, 가족에 대한 고정관념이 어떤 사회문제를 만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