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목차
1 주 차
오리엔테이션
· 예절 정의, 종류,
2 주 차
현대인의 생활예절 Ⅰ
· 동서양 테이블 매너
3 주 차
현대인의 생활예절 Ⅱ
· 교복 예절
4 주 차
인사 / 절하는 방법
· 상황에 맞게 인사하는 방법
· 전통절에 대한 이론 및 실습
5 주 차
호칭 / 언어 예절
· 일상 생활과 촌수에 따른 호칭
· 바른 말씨와 어휘 선택 및 응용
6 주 차
관(성인식)
· 관례의 정의 및 정신
· 관례의 절차 및 조건
· 현재 전통관례를 체험할 수 있는 곳
7 주 차
관(성인식)
· 관례복 설명
· 관례식 연습
8 주 차
혼(전통 결혼식)
· 혼례의 정의 및 정신
· 혼인의 조건
9 주 차
혼(전통 결혼식)
· 혼인 절차의 변천과정(우리나라 혼례만)
· 혼례복 설명
· 혼례식 연습
10 주 차
상
· 상례의 정의
· 상례의 변천
11 주 차
상
· 전통상례 절차
· 비디오 시청(실습을 할 수 없기 때문에)
12 주 차
제
· 제사의 기원
· 제사의 정의 및 실제
13 주 차
제
· 제사의 순서 및 제사상 차리는 방법(설명)
· 제사상 실습
14 주 차
다 례
· 세계의 차 문화
· 한국의 차 문화
15 주 차
다 례
· 차 우리기
· 차 마시기
16 주 차
기 말 고 사
· 평 가
오리엔테이션
· 예절 정의, 종류,
2 주 차
현대인의 생활예절 Ⅰ
· 동서양 테이블 매너
3 주 차
현대인의 생활예절 Ⅱ
· 교복 예절
4 주 차
인사 / 절하는 방법
· 상황에 맞게 인사하는 방법
· 전통절에 대한 이론 및 실습
5 주 차
호칭 / 언어 예절
· 일상 생활과 촌수에 따른 호칭
· 바른 말씨와 어휘 선택 및 응용
6 주 차
관(성인식)
· 관례의 정의 및 정신
· 관례의 절차 및 조건
· 현재 전통관례를 체험할 수 있는 곳
7 주 차
관(성인식)
· 관례복 설명
· 관례식 연습
8 주 차
혼(전통 결혼식)
· 혼례의 정의 및 정신
· 혼인의 조건
9 주 차
혼(전통 결혼식)
· 혼인 절차의 변천과정(우리나라 혼례만)
· 혼례복 설명
· 혼례식 연습
10 주 차
상
· 상례의 정의
· 상례의 변천
11 주 차
상
· 전통상례 절차
· 비디오 시청(실습을 할 수 없기 때문에)
12 주 차
제
· 제사의 기원
· 제사의 정의 및 실제
13 주 차
제
· 제사의 순서 및 제사상 차리는 방법(설명)
· 제사상 실습
14 주 차
다 례
· 세계의 차 문화
· 한국의 차 문화
15 주 차
다 례
· 차 우리기
· 차 마시기
16 주 차
기 말 고 사
· 평 가
본문내용
1
3.00 호칭, 언어
2
1
1
4
3.10 호칭
3.20 언어예절
1
1
2
1
1
2
4.00 관(성인식)
2
1
3
4.10 관례의 정의 및 정신
4.20 관례의 절차 및 조건
4.30 관례복 연습
1
1
1
1
1
1
5.00 혼
1
1
1
3
5.10 혼례의 정의 및 정신
5.20 혼인의 조건
5.30 혼인의 연습
1
1
1
1
1
1
6.00 상
2
2
6.10 상례의 정의
6.20 상례의 변천
6.30 전통상례 절차
1
1
1
1
7.00 제
1
1
1
1
4
7.10 제사의 기원
7.20 제사의 정의 및 실제
7.30 제사의 순서 및 방법
7.40 제사상 실습
1
1
1
1
1
1
1
1
8.00 다 도
1
1
1
1
4
8.10 차 문화
8.20 다례의 순서와 예절
1
1
1
1
1
3
합 계
4
8
6
2
1
3
1
25
2. 평가 문항
1) 차를 우려내는 약다법 중 기본 약다법 순서에 괄호안에 알맞은 용어를 고르시오
물끓이기 ⇒ ( ) ⇒ 탕수 식히기 ⇒ ( ) ⇒ ( ) ⇒ ( ) ⇒ 귓대에 따르기 ⇒ 마시기
① 차 넣기 ② 다관과 찻잔 헹구기 ③ 탕수 붓기 ④ 찻잔 비우기
답 : ② - ① - ③ - ④
2) 생김새에 따라 찻물이 잘 끊어지지 않고 몸통으로 흘러 내리는 특징이 있는 다관의 한 부분 A의 명칭은?
답 : 부 리
9) 차 마실 때 예절에 어긋나는 것은?
① 차사발은 두 손으로 안전하게 감싸쥐고 천천히 두세번에 마신다.
② 엄지 손가락의 끝이 잔입술 위로 많이 올라오면 보기에 좋지 않다.
③ 입안에 남은 차의 뒷맛을 감상하는 것도 차의 풍미를 아는 일이다.
④ 말차를 차사발에 점다하여 마실 때 손님이 많으면 다같이 마신다.
답 : ④
※ 2단계 분석
1번 문제 오답률 : 59%
- 분 석 : Pilot Test에서 오답률보다 약간 적게 나왔다. 수업을 들은지 그리 오래 지나지 않아 표본집단보다 조금 더 기억이 잘 되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2번 문제 오답률 : 29%
- 분 석 : Pilot Test에서 비교적 쉬운 문제로 분류하여 평가 문제로 선별한 결과 역시 표본집단 보다 현저하게 많은 학생들이 정답을 기입하였다.
9번 문제 오답률 : 73%
- 분 석
1 번
2 번
3 번
4 번
합 계
선택 비율
21%
13%
39%
27%
100%
Pilot Test에서 비교적 어려운 문제로 분류하여 평가문제로 선별한 결과 표본집단과 아주 비슷한 오답률을 보였다. 특히 3번 예시에 많은 학생이 오답을 표기한 이유는 뒷맛이란 어휘 자체가 부정적인 문장에 많이 쓰이기 때문인 것 같다.
3 단 계 평 가
안녕하세요, 학생 여러분!
이 설문지는 시험이 아니고
다례수업에 대한 설문지입니다.
3개월 전 다례수업을 들은 후 여러분들이
얼마나 관심을 가지고 있고 도움이 되었는지
알아보는 것이니 솔직하게 응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1. 집에 다례를 할 수 있는 도구가 있는가?
① 다례를 할 수 있는 다구를 갖추고 있다.
② 다구는 없지만 대체할 도구가 있다.
③ 그냥 커피 잔이나 머그컵으로 차를 마실 수 있다.
④ 밥그릇과 사발만 있다.
2. 일상생활에 있어서 다례수업이 도움이 되었는가?
① 매일 차를 마실 정도로 도움이 많이 되었다.
② 종종 차를 마실 때 생각날 정도..
③ 별로 도움이 되지 않았다.
④ 필요 없었다.
3. 다례 수업이후 차에 대해 관심이 얼마나 생겼는가?
① 자신의 정신수양을 위한 취미가 될 정도로 관심이 생겼다.
② 가족이나 친구 간에 대화할 때면 차를 마실 정도이다.
③ TV나 인터넷에서 접하게 되면 읽어보는 정도이다.
④ 기회가 되면 한번 하고 싶다는 마음만 있을 정도이다.
⑤ 수업전이나 후나 별다른 마음의 변동이 없다.
4. 다례 수업 때 배운 다례 순서는 잘 기억하고 있는가?
① 전부 순서대로 잘 기억한다.
② 기억은 하나 순서가 맞는지 모를 정도이다.
③ 어렴풋이 기억은 난다.
④ 수업은 들었던 것 같다.
⑤ 전혀 기억하지 못한다.
5. 차의 종류에 대해 몇 가지 정도 알고 있나?
① 20개 이상
② 10개 ~ 20개 사이
③ 5개 ~ 10개 사이
④ 5개 미만
6. 다례 수업을 듣고서 주변사람들에게 추천 또는 이야기를 해봤는가?
예( ) 아니오( )
7. 추천 또는 이야기를 해봤다면 몇 명에게 추천을 해봤나?
① 1~3명
② 4~6명
③ 7~9명
④ 10명 이상
8. 다이어트와 관련하여 “카테킨”이라는 성분에 대해 아는가?
① 잘 알고 있다.
② 대략 알고 있다.
③ 어디선가 얼핏 들어본 것 같다.
④ 전혀 모르겠다.
9. “다례” 하면 떠오르는 것을 적어보시오.
※ 3단계 분석
인 원 : 중학교 1학년 30명
확 률
문 제
1 번
2 번
3 번
4 번
5 번
1번 문제
6.67%
43.33%
46.67%
3.33%
2번 문제
13.33%
63.33%
16.67%
6.67%
3번 문제
16.67%
13.33%
26.67%
40%
3.33%
4번 문제
6.67%
46.67%
43.33%
3.33%
5번 문제
3.33%
16.67%
73.33%
6.67%
6번 문제
예(11명, 36.67%)
아니오(19명, 63.33%)
7번 문제
72.73%
18.19%
9.09%
8번 문제
6.67%
30%
46.67%
16.67%
※ 9번 문제 분석
① 녹 차(13명, 43.33%)
② 차 마시는 예절(9명, 30%)
③ 한 복(3명, 10%)
④ 정신수양(2명, 6.67%)
⑤ 기 타(3명, 10%)
★ 참고문헌 및 인터넷 주소
dadokorea.pwc.co.kr
21세기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성균관대학교 예절교육 수업자료
명강의 교수법(윤옥한 저)
3.00 호칭, 언어
2
1
1
4
3.10 호칭
3.20 언어예절
1
1
2
1
1
2
4.00 관(성인식)
2
1
3
4.10 관례의 정의 및 정신
4.20 관례의 절차 및 조건
4.30 관례복 연습
1
1
1
1
1
1
5.00 혼
1
1
1
3
5.10 혼례의 정의 및 정신
5.20 혼인의 조건
5.30 혼인의 연습
1
1
1
1
1
1
6.00 상
2
2
6.10 상례의 정의
6.20 상례의 변천
6.30 전통상례 절차
1
1
1
1
7.00 제
1
1
1
1
4
7.10 제사의 기원
7.20 제사의 정의 및 실제
7.30 제사의 순서 및 방법
7.40 제사상 실습
1
1
1
1
1
1
1
1
8.00 다 도
1
1
1
1
4
8.10 차 문화
8.20 다례의 순서와 예절
1
1
1
1
1
3
합 계
4
8
6
2
1
3
1
25
2. 평가 문항
1) 차를 우려내는 약다법 중 기본 약다법 순서에 괄호안에 알맞은 용어를 고르시오
물끓이기 ⇒ ( ) ⇒ 탕수 식히기 ⇒ ( ) ⇒ ( ) ⇒ ( ) ⇒ 귓대에 따르기 ⇒ 마시기
① 차 넣기 ② 다관과 찻잔 헹구기 ③ 탕수 붓기 ④ 찻잔 비우기
답 : ② - ① - ③ - ④
2) 생김새에 따라 찻물이 잘 끊어지지 않고 몸통으로 흘러 내리는 특징이 있는 다관의 한 부분 A의 명칭은?
답 : 부 리
9) 차 마실 때 예절에 어긋나는 것은?
① 차사발은 두 손으로 안전하게 감싸쥐고 천천히 두세번에 마신다.
② 엄지 손가락의 끝이 잔입술 위로 많이 올라오면 보기에 좋지 않다.
③ 입안에 남은 차의 뒷맛을 감상하는 것도 차의 풍미를 아는 일이다.
④ 말차를 차사발에 점다하여 마실 때 손님이 많으면 다같이 마신다.
답 : ④
※ 2단계 분석
1번 문제 오답률 : 59%
- 분 석 : Pilot Test에서 오답률보다 약간 적게 나왔다. 수업을 들은지 그리 오래 지나지 않아 표본집단보다 조금 더 기억이 잘 되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2번 문제 오답률 : 29%
- 분 석 : Pilot Test에서 비교적 쉬운 문제로 분류하여 평가 문제로 선별한 결과 역시 표본집단 보다 현저하게 많은 학생들이 정답을 기입하였다.
9번 문제 오답률 : 73%
- 분 석
1 번
2 번
3 번
4 번
합 계
선택 비율
21%
13%
39%
27%
100%
Pilot Test에서 비교적 어려운 문제로 분류하여 평가문제로 선별한 결과 표본집단과 아주 비슷한 오답률을 보였다. 특히 3번 예시에 많은 학생이 오답을 표기한 이유는 뒷맛이란 어휘 자체가 부정적인 문장에 많이 쓰이기 때문인 것 같다.
3 단 계 평 가
안녕하세요, 학생 여러분!
이 설문지는 시험이 아니고
다례수업에 대한 설문지입니다.
3개월 전 다례수업을 들은 후 여러분들이
얼마나 관심을 가지고 있고 도움이 되었는지
알아보는 것이니 솔직하게 응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1. 집에 다례를 할 수 있는 도구가 있는가?
① 다례를 할 수 있는 다구를 갖추고 있다.
② 다구는 없지만 대체할 도구가 있다.
③ 그냥 커피 잔이나 머그컵으로 차를 마실 수 있다.
④ 밥그릇과 사발만 있다.
2. 일상생활에 있어서 다례수업이 도움이 되었는가?
① 매일 차를 마실 정도로 도움이 많이 되었다.
② 종종 차를 마실 때 생각날 정도..
③ 별로 도움이 되지 않았다.
④ 필요 없었다.
3. 다례 수업이후 차에 대해 관심이 얼마나 생겼는가?
① 자신의 정신수양을 위한 취미가 될 정도로 관심이 생겼다.
② 가족이나 친구 간에 대화할 때면 차를 마실 정도이다.
③ TV나 인터넷에서 접하게 되면 읽어보는 정도이다.
④ 기회가 되면 한번 하고 싶다는 마음만 있을 정도이다.
⑤ 수업전이나 후나 별다른 마음의 변동이 없다.
4. 다례 수업 때 배운 다례 순서는 잘 기억하고 있는가?
① 전부 순서대로 잘 기억한다.
② 기억은 하나 순서가 맞는지 모를 정도이다.
③ 어렴풋이 기억은 난다.
④ 수업은 들었던 것 같다.
⑤ 전혀 기억하지 못한다.
5. 차의 종류에 대해 몇 가지 정도 알고 있나?
① 20개 이상
② 10개 ~ 20개 사이
③ 5개 ~ 10개 사이
④ 5개 미만
6. 다례 수업을 듣고서 주변사람들에게 추천 또는 이야기를 해봤는가?
예( ) 아니오( )
7. 추천 또는 이야기를 해봤다면 몇 명에게 추천을 해봤나?
① 1~3명
② 4~6명
③ 7~9명
④ 10명 이상
8. 다이어트와 관련하여 “카테킨”이라는 성분에 대해 아는가?
① 잘 알고 있다.
② 대략 알고 있다.
③ 어디선가 얼핏 들어본 것 같다.
④ 전혀 모르겠다.
9. “다례” 하면 떠오르는 것을 적어보시오.
※ 3단계 분석
인 원 : 중학교 1학년 30명
확 률
문 제
1 번
2 번
3 번
4 번
5 번
1번 문제
6.67%
43.33%
46.67%
3.33%
2번 문제
13.33%
63.33%
16.67%
6.67%
3번 문제
16.67%
13.33%
26.67%
40%
3.33%
4번 문제
6.67%
46.67%
43.33%
3.33%
5번 문제
3.33%
16.67%
73.33%
6.67%
6번 문제
예(11명, 36.67%)
아니오(19명, 63.33%)
7번 문제
72.73%
18.19%
9.09%
8번 문제
6.67%
30%
46.67%
16.67%
※ 9번 문제 분석
① 녹 차(13명, 43.33%)
② 차 마시는 예절(9명, 30%)
③ 한 복(3명, 10%)
④ 정신수양(2명, 6.67%)
⑤ 기 타(3명, 10%)
★ 참고문헌 및 인터넷 주소
dadokorea.pwc.co.kr
21세기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성균관대학교 예절교육 수업자료
명강의 교수법(윤옥한 저)
키워드
추천자료
(유아체육 수업 계획서) 유아체육 활동 계획서 (3개의 과정 모음집) - 민첩성, 협응성 체육놀...
음률 대집단 모의수업 계획서
대수막대를 이용한 유리수의 덧셈 수업 계획서
체육교과 배구 수업 계획서
중학생 호신술 실기수업 계획서
강의 계획서(수업 계획안) - 정수와 유리수
방과후수업, 기행문쓰기수업 교수자료(교육자료), 민속놀이수업, 대한민국(한국)수업 교수자...
음악과 단소연주, 미술과 서예 수업자료(교수학습자료), 체육과 줄넘기운동, 국어과 경필쓰기...
언어지도 모의 수업 계획서
TeeBall 수업 계획서
(보육시설) 학부모 참여수업 계획서
어린이집 보육실습일지(부분수업과 종일수업 진행내용 계획서)
유아 수업 계획서
대학국어 수업의 의의와 문제점, 개선방향, 현황, 의미, 강의 계획서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