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설
Ⅱ.게르만법
1. 不行使에 의한 權利喪失(Verschweigung)
2. 永久的 法狀態의 適法性의 推定(Unvordenklichkeit)
3. 제도의 존재이유
Ⅲ. 로마법
1. 取得時效
(1) 使用取得(usucapio)
1)점유기간(tempus)
2)주체
3)객체
4)정당한 원인
a) 매 매
b) 증 여
c) 변 제
d) 가자·유증
e) 포기행위
f) 기타의 권원
5)意義
(2) 長期占有의 抗辯(praescriptio longi temporis)
(3) 유스아누스법에 있어서의 취득시효
1)一般取得時效
2)特別取得時效
(4) 制度의 存在理由
2. 消滅時效(Praescriprio extinctiva)
(1) 訴權의 消滅時效
(2) 役權의 소멸시효
Ⅱ.게르만법
1. 不行使에 의한 權利喪失(Verschweigung)
2. 永久的 法狀態의 適法性의 推定(Unvordenklichkeit)
3. 제도의 존재이유
Ⅲ. 로마법
1. 取得時效
(1) 使用取得(usucapio)
1)점유기간(tempus)
2)주체
3)객체
4)정당한 원인
a) 매 매
b) 증 여
c) 변 제
d) 가자·유증
e) 포기행위
f) 기타의 권원
5)意義
(2) 長期占有의 抗辯(praescriptio longi temporis)
(3) 유스아누스법에 있어서의 취득시효
1)一般取得時效
2)特別取得時效
(4) 制度의 存在理由
2. 消滅時效(Praescriprio extinctiva)
(1) 訴權의 消滅時效
(2) 役權의 소멸시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