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산업의 정의와 성질, 산업과 기업의 관계
2. 산업의 분류
3. 산업의 파워이동과 한국의 유망산업
4. 참고문헌
2. 산업의 분류
3. 산업의 파워이동과 한국의 유망산업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예상된다. 운전석에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자동항법운항장치)과 충돌 예방장치 등 각종전자장비가 부착돼 운전자가 거의 할 일이 없게 된다. 충돌사고란 상상도 할 수 없게 된다. 향후 50년이 지나고 나면 "날아가는 자동차"가 등장할지도 모른다. 한국 자동차산업은 이런 변화하는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해야만, 오는 2020년께 세계 4위권의 초일류 자동차강국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3-2-4. 조선산업
한국의 조선산업은 외형적인 성장과 달리 기술수준의 취약 등 많은문제점을 안고 있다. 세계 선박시장은 탱커와 벌크캐리어의 노후선에 대한 대체 수요가 나타날 90년대말부터 더욱 확대되는 추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또 21세기에는 자동차운반선, 컨테이너선, 석유화학운반선 등과 같은 제품운반선의 초고속화가 진행될 전망이다. 이런 추세를 미리 짚어 기술적 대응노력을 서두르는 일이 시급하다.
3-2-5. 항공우주산업
한국의 항공우주산업은 현재 경비행기를 비롯한 일부 저급항공기를 독자 개발할 수 있는 단계에 불과하지만 앞으로의 성장가능성은 큰 것으로 진단된다. 세계 시장에서의 도약을 위해서는 국내 개발, 생산사업을 지속적으로 창출해 완제기 설계기술 등 기술습득 노력을 강화해야 할 것으로 지적된다. 이런 노력이 성공할 경우 2020년께 국내 생산과 수출이 각각 세계 4위와 5위를 기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2-6. 기계산업
2000년대 한국의 기계산업은 향후 산업생산 규모의 확대를 바탕으로, 그리고 지금의 모방단계에서 창조단계로의 기술혁신을 통해 크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와 기업이 기술혁신에 보다 많은 노력을 기울여 기술자립화를 이뤄나가는게 급선무다. 2000년께 생산과 수출면에서 세계 7위와 6위, 2020년에는 미국, 일본, 중국, 독일, 프랑스 다음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철강산업은 용융환원기술, 스트립캐스팅 등 혁신제강기술 개발을 통해 2000년에는 독일을 제치고 세계 5위 생산국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화학산업은 공해방지 폐수처리 등 환경관련 기술개발과 CFC(염화불화탄소)대체물질 등 환경관련 제품 개발을 통해 2020년까지 지속적으로 성장, 세계 8위의 수출국으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다.
3-2-7. 섬유산업
섬유산업은 창조적인 패션·디자인 개발과 염색가공 신소재 등 분야의 기술개발이 급선무다. 생산구조도 다품종소량생산체제로의 전환을 서둘러야 한다. 이런 자구노력이 성공할 경우 2000년대엔 세계적인 패션국가로 탈바꿈, 현재보다 2배의 생산규모를 갖는 한편 화섬부문에서는 세계 4위수준을 유지할 전망이다.
참고문헌 및 사이트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4&dir_id=413&docid=70644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4&dir_id=413&docid=272551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13&dir_id=130504&docid=259398
3-2-4. 조선산업
한국의 조선산업은 외형적인 성장과 달리 기술수준의 취약 등 많은문제점을 안고 있다. 세계 선박시장은 탱커와 벌크캐리어의 노후선에 대한 대체 수요가 나타날 90년대말부터 더욱 확대되는 추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또 21세기에는 자동차운반선, 컨테이너선, 석유화학운반선 등과 같은 제품운반선의 초고속화가 진행될 전망이다. 이런 추세를 미리 짚어 기술적 대응노력을 서두르는 일이 시급하다.
3-2-5. 항공우주산업
한국의 항공우주산업은 현재 경비행기를 비롯한 일부 저급항공기를 독자 개발할 수 있는 단계에 불과하지만 앞으로의 성장가능성은 큰 것으로 진단된다. 세계 시장에서의 도약을 위해서는 국내 개발, 생산사업을 지속적으로 창출해 완제기 설계기술 등 기술습득 노력을 강화해야 할 것으로 지적된다. 이런 노력이 성공할 경우 2020년께 국내 생산과 수출이 각각 세계 4위와 5위를 기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2-6. 기계산업
2000년대 한국의 기계산업은 향후 산업생산 규모의 확대를 바탕으로, 그리고 지금의 모방단계에서 창조단계로의 기술혁신을 통해 크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와 기업이 기술혁신에 보다 많은 노력을 기울여 기술자립화를 이뤄나가는게 급선무다. 2000년께 생산과 수출면에서 세계 7위와 6위, 2020년에는 미국, 일본, 중국, 독일, 프랑스 다음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철강산업은 용융환원기술, 스트립캐스팅 등 혁신제강기술 개발을 통해 2000년에는 독일을 제치고 세계 5위 생산국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화학산업은 공해방지 폐수처리 등 환경관련 기술개발과 CFC(염화불화탄소)대체물질 등 환경관련 제품 개발을 통해 2020년까지 지속적으로 성장, 세계 8위의 수출국으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다.
3-2-7. 섬유산업
섬유산업은 창조적인 패션·디자인 개발과 염색가공 신소재 등 분야의 기술개발이 급선무다. 생산구조도 다품종소량생산체제로의 전환을 서둘러야 한다. 이런 자구노력이 성공할 경우 2000년대엔 세계적인 패션국가로 탈바꿈, 현재보다 2배의 생산규모를 갖는 한편 화섬부문에서는 세계 4위수준을 유지할 전망이다.
참고문헌 및 사이트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4&dir_id=413&docid=70644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4&dir_id=413&docid=272551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13&dir_id=130504&docid=259398
추천자료
[A+평가 레포트]한미 FTA 협상에 따른 한국 쇠고기산업 대응방안
한국 자동차산업의 발전, 한국 자동차산업의 특징, 한국 자동차산업의 위상, 한국 자동차산업...
[중국][중국산업][중국의 산업][중국경제]중국의 산업기술, 기업브랜드와 중국의 관광산업, ...
[바이오산업][유럽연합][EU][미국][한국]바이오산업의 정의, 바이오산업의 특성과 바이오산업...
자동차 산업 유망 분야 기술 발전 미래 전망 - 하이브리드 자동차, 연료 전지 자동차, 지능형...
스타(연예인)와 팬, 스타시스템(연예산업, 연예인)과 스타파워, 스타시스템(연예산업, 연예인...
한중(한국과 중국) 산업협력과 농업협력, 한중(한국과 중국) 공업협력과 자동차산업협력, 한...
글로벌 환경의 변화 마케팅,환경.단수산업,혁신마케팅,엠엔에이,레노버엠엔에이,엔엔에이성공...
[총요소생산성]총요소생산성(TFP)의 개념, 총요소생산성(TFP)의 성장, 총요소생산성(TFP)의 ...
Good to Great & Build to Last - 한국 철강 산업 포스코(POSCO)와 INI스틸(INI Steel) ...
이동통신移動通信산업과 국내시장의 현황,이동통신산업 블랙리스트제도, 블랙리스트제도와 화...
고령화시대와 실버산업[고령화사회 원인, 현황, 위협요인, 실버산업 현황, 전망, 유망분야, ...
인간행동과사회환경_산업혁명을 정의하고, 미래의 유망직업에 대해 제시하시오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산업혁명을 정의하고, 미래의 유망직업에 대해 제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