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지식 교육의 이론과 실제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국어지식 교육의 전개
1. 국어교육과 국어지식 교육
가. 문제 제기
나. 국어교육의 하위 영역
다. 언어지식, 국어지식, 문법
라. 국어지식 영역의 정체성
2. 국어지식 교육의 필요성
가. 문제 제기
나. 국어 지식의 교육을 둘러싼 쟁점
다. 국어지식 교육의 필요성
3. 국어지식 교육과 학교문법
가. 학교문법의 유래
나. 학교 문법 교육 약사
다. 학교문법 교육의 현황 및 문제점
라. 학교문법과 국어지식 교육
마. 학교문법과 규범문법
4. 국어지식 교육의 방향
가. 국어 생활의 문제 국면
나. 문제 국면과 국어지식 교육의 방향
5. 국어지식 교육의 내용
가. 선행 연구 검토
나. 국어지식 교육의 내용 체계안
6. 국어지식 영역의 교수 학습 방법
가. 탐구학습의 개념과 필요성
나. 탐구 학습의 기본 구성 요소
다. 국어지식 교육과 탐구학습의 실제
라. 탐구 학습의 문제점
마. 탐구 방법의 도입과 국어교육학의 지평

Ⅱ. 탐구학습의 실제 - 관용 표현

본문내용

적인 탐구학습 방법을 개발 적용하는 일 등의 현장화 작업이 될 것이다. 현장화를 위한 탐구 학습의 개발 및 적용 방향은 다양하고 거의 무한하다. 이로써 최소한 국어학 관련 국어 교육학의 지평은 넓게 열리게 된다.
Ⅱ. 탐구학습의 실제 - 관용 표현
□ 목표
1. 관용어의 의미를 안다.
2. 문맥을 통해 관용어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 대상 : 고등학생
□ 탐구 과정
과정 1. 문제의 정의
흥미의 유발
의문 사항 인식
방향의 모색
단어들은 문장에서 원래의 의미대로만 사용되는가? 아니면 다른 의미로도 사용되는가?
다른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면 그것이 연결되는 다른 단어와의 관련 때문인가?
어떤 단어는 다른 단어와 연결되어 새로운 의미를 형성하는가?
형성된 새로운 의미는 단어들의 연결 관계만으로도 파악할 수 있는 것인가?
과정 2.
의문의 구체화
자료의 수집, 분석
‘눈’과 관련된 어구들은 무엇이 있는가?
그것들은 ‘눈’의 원래 의미로만 사용되고 있는가? 아니면 다른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 가?
단어와 단어가 연결되어 하나의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내기도 하는가? 그렇다면 그 의 미는 어떻게 파악할 수 있는가?
문장이나 글을 읽고 그러한 어구들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가?
- ‘눈’과 관련된 어구들을 찾고 그 의미들을 알아보자.
- ‘눈’과 연결된 단어들이 다른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면 그 의미는 무엇인가?
과정 3. 결론 진술
자료를 통한 가설 설정
가설의 검증
결론 추출
단어와 단어가 연결되어 새로운 의미를 생성하기도 하는데 그것을 관용어라 한다.
관용어의 의미는 단어들의 의미와 총합과는 별개의 것이다.
문맥을 통해서 관용어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 관용어의 의미를 알아보자.
- 관용어의 의미를 문맥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과정 4. 결론의 적용
및 일반화
가치와 태도 형성
다른 문장이나 글을 읽고 관용어를 찾을 수 있다.
다른 문장이나 글에서 관용어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 다음에서 밑줄 친 어구의 의미를 알아보자.
a. 비싼 옷을 더럽게 입는 것과 값싼 옷을 깨끗하게 입는 것은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이다.
b. 옛날 명창들은 신명이 안 나고 몸이 안 좋을 때는 그저 장난으로 박타령이나 토끼타령으로 자리를 떼우고 예술성을 발휘하려고 마음을 먹었을 때는 ‘춘향가’나 ‘심청가’를 불렀지.
※ 과정 1의 자료)
(여덟살 난 딸과 운전면허 시험을 치르고 온 어머니의 대화)
딸 : 엄마, 시험 붙었어?
어머니 : 말도 마라, 얘. 오늘 또 미역국 먹었다.
딸 : 엄마는 미역국을 싫어하잖아.
이 대화에서 의사소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이유는 무엇 때문인가?
이와 같은 단어와 단어가 연결되었을 때 전혀 다른 의미로 사용되는 것들이 있는가?
※ 과정 2의 자료)
이몽룡과 성춘향은 오월 단오에 광한루에서 만나 서로 눈이 맞아 사랑을 하게 된 사이였다...... 그들은 만난 지 얼마 안 되어 눈에 흙이 들어갈 때까지 서로가 한몸같이 사랑하기로 두 손 걸고 별님에게 약속하였다.
...... 그렇지만 훤칠하고 준수한 이도령과 사랑을 약속한 춘향에게는 뚱뚱하고 배 나온 변사또는 눈에 차지도 않았을 뿐만 아니라 눈에 들지도 않았다. 그와는 달리 변사또에게는 춘향이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정도로 어여쁘게만 보였다.
...... 이러한 어머니의 말을 듣자 춘향은 눈이 둥그래지다 못해 눈이 등잔만해졌다. 믿었던 어머니마저 눈 하나 깜빡하지 않고 마음을 돌리는 것이 너무 속이 상했던 것이다.
그래도 춘향은 자신의 심정을 몇 번이고 변사또에게 아뢰며 정절을 지키겠다고 하였으나 변사또는 눈도 깜짝 안 하고 아예 그런 말을 할 때는 눈도 주지 않았다. 아무리 말을 해도 춘향이 듣지 않자 변사또는 눈에 모를 세우고 호통을 쳤으나 춘향은 오히려 눈에 쌍심지를 켜고 대들 뿐이었다. 이러한 춘향의 태도는 변사또의 눈에 불이 나게 할 뿐이었다.
※ 참고 문헌 ※
국어지식 교육론, 김광해 저, 서울대학교 출판부,1997 (주교재)
한국어 문법 교육론, 박영순 저, 도서출판 박이정,1998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 교육인적 자원부, 2001
국어교육학 원론, 교학사, 박영목 외 3명 ,1998
주교재 중 참고
권재일 (1995),「국어학적 관점에서 본 언어지식 영역의 지도 내용」,『국어교육연구』 제 2집,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연구소.
김광해 (1995), 「언어 지식 영역의 교수 학습 방법」, 『국어교육연구』 제2집,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연구소
김광해 (1996ㄱ),「국어발전의 양상」,『신청어문』 제 24집.
김수업 (1989),「국어교육의 원리」,청하.
이성영 (1995), 『국어교육의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이용주, 구인환, 김은전, 박갑수, 이상익, 김대행, 윤희원 (1993), 「국어교육학 연구와 교육의 구성」, 『사대논총』 46,
서울대 사대
최영환 (1995),「언어능력의 신장의 관점에서 본 언어지식 역역의 지도 내용」,『국어교육연구』 제 2집,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 어교육연구소.
최영환 (1992) 「국어교육에서 문법지도의 위상」,『국어교육학연구』제 2 집
Ⅰ. 국어지식 교육의 전개
1. 국어교육과 국어지식 교육
가. 문제 제기
나. 국어교육의 하위 영역
다. 언어지식, 국어지식, 문법
라. 국어지식 영역의 정체성
2. 국어지식 교육의 필요성
가. 문제 제기
나. 국어 지식의 교육을 둘러싼 쟁점
다. 국어지식 교육의 필요성
3. 국어지식 교육과 학교문법
가. 학교문법의 유래
나. 학교 문법 교육 약사
다. 학교문법 교육의 현황 및 문제점
라. 학교문법과 국어지식 교육
마. 학교문법과 규범문법
4. 국어지식 교육의 방향
가. 국어 생활의 문제 국면
나. 문제 국면과 국어지식 교육의 방향
5. 국어지식 교육의 내용
가. 선행 연구 검토
나. 국어지식 교육의 내용 체계안
6. 국어지식 영역의 교수 학습 방법
가. 탐구학습의 개념과 필요성
나. 탐구 학습의 기본 구성 요소
다. 국어지식 교육과 탐구학습의 실제
라. 탐구 학습의 문제점
마. 탐구 방법의 도입과 국어교육학의 지평
Ⅱ. 탐구학습의 실제 - 관용 표현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05.03.16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83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