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의 구조와 기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안구

2. 안부속기(accessory organ)

3. 시신경과 시로

본문내용

안검과 안구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킨다. 주누선 은 안와 상벽 외측의 누선와 속에 있으며, 상안검거근의 건막에 의해 안와부와 안검부로 나누어진다. 부누선은 상·하원개결막에 있는 크라우제(Krause)샘과 볼프링(Wolfring)샘으로 되어 있다. 주누선과 부누선에서 분비되는 눈물은 누점, 누소관, 누낭, 비루관을 지나서 하비강으로 배출된다.
누점 은 내안각에서 약 5mm 떨어진 상·하안검연에 각각 위치하며, 직경 약 0.3mm의 작은 구멍이다. 누소관 은 상·하안검 에 각각 있으며, 누점에서부터 수직으로 2mm, 수평으로 8mm 쯤 주행하여 상·하 누소관이 합쳐져서 누낭의 외벽에 연결된다.
누낭 은 안와연의 비측, 전후누낭능 사이의 누낭와 내에 있는 주머니로 외측벽에 누소관이 연결되고 밑으로 좁아지면서 비루관이 된다. 비루관은 약 15∼24mm로 하비강의 외벽에 개통된다. 이 관의 방향은 내안각과 같은 측의 비익을 연결하는 선과 일치한다.
<그림 3-5> 누기
눈물의 기능은 결막낭 내의 습기를 보존하여 건조를 방지하며, 각막의 건조를 방지하고 각막에 산소를 공급한다. 그리고 누액 속에는 리소자임(lysozyme)이라는 효소가 있어 결막낭 내의 세균을 분해 또는 증식을 억제하며, 안검과 안구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기능도 한다. 눈을 감거나 수면을 취할 때, 눈물의 분비는 없다.
2.5 외안근(extraocular muscle)
안구를 움직이는 주요 근육은 네 개의 직근과 두 개의 사근으로 구성되어 있다. 직근에는 내직근 , 외직근 , 상직근 , 하직근 이 있고, 사근에는 상사근과 하사근 이 있다. 직근의 길이는 약 40mm이고, 각막윤부로부터 4∼9mm에 부착되어 있다.
외안근의 신경 지배를 보면 동안 신경(제3 뇌신경)은 내직근, 상직근, 하직근 및 하사근을 지배하고, 외향 신경(제6 뇌신경)은 외직근을, 활차 신경(제4 뇌신경)은 상사근을 지배한다. 외안근에서 혈액 공급은 안동맥이 담당하며, 내직근·상직근·하직근은 두 개의 전모양동맥이 있고, 외직근에는 한 개의 전모양동맥이 분포되어 있다.
안근 의 기능으로 직근 은 안구의 수직과 수평 운동, 폭주와 개산 운동을, 사근은 안구의 회전운동을 하고, 내직근과 외직근의 안쪽에 있는 제어인대가 안구의 과도한 운동을 제어하는 구실을 한다.
3. 시신경과 시로
시신경은 시각에 관여하는 감각 신경이다. 신경은 망막의 신경 섬유층에 있는 신경절 세포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약 110만개의 축삭 으로 구성된 신경 줄기이다. 시신경 섬유 중 80%는 시섬유이고 20%는 동공 섬유로 되어 있으며, 시신경 섬유는 중추 신경계이므로 Schwann 초가 없어 재생 능력이 없다.
시신경은 눈의 후극쪽에서 코쪽의 약 3mm와 아래쪽 약 1mm의 공막에 개구하는데 환상으로 짧게 되어 안구의 후방 표면에 이르며, 이 시신경은 지나가는 위치에 따라 공막 내부, 안와 내부, 시신경관 내부, 두개강 내부의 네 부분으로 분류할 수 있다.
공막 내부는 0.7mm의 길이로 사상판 내에서는 수초가 없으므로, 직경이 1.5mm이고, 사상판을 통과한 후부터는 시신경이 수초에 싸여 있기 때문에 직경이 약 3mm가 된다.
안와 내부의 시신경은 S자 모양이며, 길이는 25∼30mm로, 공막에서 시신경공까지의 거리 19mm 보다 길어 안구가 움직일 때 시신경도 여유있게 움직일 수 있다.
시신경관 내부는 약 4∼9mm의 길이로 시신경초가 골막과 단단히 붙어있다.
두개강 내부는 약 10mm의 길이로 시신경 교차를 하기 위하여 반대편 시신경과 연합한다(김덕훈 외 2인, 1996).
이와 같이 망막의 시신경 섬유는 안구 후극부의 약간 위쪽 3mm 정도 코쪽으로 있는 시신경 유두에 모인 후 사상판 사이를 지나 안구를 나와 안와 뒤쪽 끝의 시신경공을 통해 두개강 내로 들어간 다음 시신경 교차부로 주행한다.
망막의 코쪽에서 나온 시신경 섬유 는 시신경 교차에서 반대편 시삭으로 교차하고, 귀쪽에서 나온 시신경 섬유는 같은 쪽 시삭으로 직행한다.
시신경 교차를 지난 시신경 섬유는 양쪽 시삭 을 이루어 후외방으로 주행하여 외측슬상체에 도달한다. 여기서 다시 시방선 을 지나 대뇌 후두부에 있는 시피질에 도달하면 물체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그림 3-6)(윤동호 외 2인, 1999).
결국 시로 란 망막에서부터 대뇌 후두엽에 있는 시각중추에 이르기까지의 신경 섬유의 경로를 말하며, 시신경, 시신경 교차, 외측슬상체 , 시방선 및 시각중추 로 구성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03.27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02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