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 예방 프로그램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살 예방 프로그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프로그램 필요성 및 추진 여부 검토

Ⅱ. 상황분석
1. 청소년과 자살
2. 자살 관련 글
3. 학습자 집단의 확보 계획

Ⅲ. 요구조사
1. 설문조사
2. 설문조사 분석

Ⅳ. 프로그램 선정
1. 내용 및 일정
2. 자기성장 프로그램
3. 사이코드라마와 개별 상담

Ⅴ. 인적 자원 선발 및 관리

Ⅵ. 예산편성
1. 총예산 수급방법
2. 수강료결정의 적절성
3. 예상소요 경비

Ⅶ. 홍보

Ⅷ. 평가

본문내용

사 J.L.모레노가 창시한 심리요법으로 흔히들 심리극(心理劇)이라고도 한다. 특히 극의 주제가 사적인 문제를 취급할 때만 사이코드라마라고 하고, 공적인 문제를 주제로 할 때는 소시오드라마(sociodrama)라고 한다.
사이코드라마에서는 일정한 대본이 없고 등장인물인 환자에게 어떤 역과 상황을 주어 그가 생각나는 대로 연기를 하게 하여 그의 억압된 감정과 갈등을 표출하게 하여 적응장애(適應障碍)를 고치는 방법이다. 이 경우 자신이 상대역을 하고 상대방이 자신의 역할을 하는 식으로 역할을 교환하면 타인이 자기를 보는 것처럼, 객관적으로 자신을 볼 수 있으며 통찰하기도 쉽다. 이것을 역할 연기(role-playing)라고 한다.
심리극에는 시나리오가 있어서는 안 되며, 사전에 연습을 해서도 안 되고 오로지 즉흥극이어야만 한다. 특정한 옷을 입을 필요도 없으며 무대도구도 필요하지 않다. 다만 무대장면을 상상만 하면 된다. 그러나 그것으로는 극 속으로 뛰어들 수 없을 경우에는 무대를 어둡게 하거나 여러 가지 색의 조명이 사용된다.
극은 감독이 지도하지만 감독은 환자가 갖고 있는 문제(열등감 ·심술 ·적개심 등)를 미리 알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극이 문제의 핵심에서 벗어나는 경우 감독은 즉시 시정해 주어야 한다.
심리극에는 관객도 있다. 심리극의 관객은 연기를 하는 사람과 똑같은 문제를 가진 사람들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극을 보고 극에 참여함으로써 각자의 심리적 장애를 치료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것은 일종의 집단심리요법이 된다. 심리극은 이론적으로는 모레노의 역할이론에 기초를 두고 있다.
Ⅴ. 인적 자원 선발 및 관리
본 프로그램의 지행은 전체적으로 기관 산하의 청소년 문화 연구원 상담사와 전문 카운슬러들이 관리를 담당한다. 이들은 프로그램의 핵심인 집단, 개별 상담을 주관하여, 다른 자원 봉사자들을 관리한다. 이외 레크레이션을 담당하는 레크레이션 전문 요원과 청소년들의 심리상태를 분석하고 진단할 수 있는 정신과 계통 전문의를 초빙한다. 학습지도는 대학생 자원 봉사자를 활용하되 되도록 교육과 상담에 대한 전문적인 마인드를 지니고 있는 자를 선정한다.
Ⅵ. 예산편성
1. 총예산 수급 방법: 본 프로그램은 특성상 대상 청소년들에게 수강료를 과중하게 부담시킬 수 없다. 또한 청소년들이 속해 있는 지역사회나 학교에게도 과중한 부담을 안길 수 가 없는 현실이다. 그러나 청소년들의 자살은 이미 국가적인, 사회적인 차원의문제로 대두되었고 청소년 문화와 정서와 관련하여 꾸준한 관심을 보이고 있는 곳이 더러 있으므로, 이 비용은 교육청과 각종 청소년 문화 센터 등에 의존하는 동시에 청소년과 관련한 여러 기금 단체에 적극적으로 홍보하여 프로그램 비용의 일부를 이러한 스폰서에 의존하도록 한다. 또한 지역 사회와 학교의 예산의 극히 일부를 프로그램의 진행에 지원받아 활용하도록 한다.
2. 수강료 결정의 적절성: 청소년들에게서 자살 예방과 관련하여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보다 긍정적인 자아개념과 목표를 가지고 살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이니만큼 청소년들에게 수강료를 받고 프로그램을 진행시키기 어려운 입장에 놓여 있으므로 수강생들에게는 무료로 운영하도록 한다.
3. 예상 소요 경비
종목
산출근거
레크레이션 강사 초빙
시간당 30,000원 x 1 = 30,000원
카운셀러 초빙
시간당 20,000원 x 27.5 = 550,000원
프로그램 진행 비용
= 50,000원
상담원 활동비
10,000 x 2명 = 20,000원
학습지도 자원봉사자 활동비
10,000 x 4명 = 40,000원
정신과 전문의 초빙비용
= 10,0000원
시설 사용료
= 15,0000
간식비
1500원 x 8일 x 40 = 480,000원
예비비
= 20,0000원
총계
= 1620,000
Ⅶ. 홍보
“세상은 아직 아름답다”
아무리 힘들고..각박하다 하지만
세상은 아직 아름다운과 따스함이 남아 있는 곳입니다.
여러분의 소중한 생명을 아무렇게나 버리려 하지 마십시오....
일 시: 200X 년 4월 1일~ 4월 30일
시 간: 오후 2시부터 다섯시반
장 소: 청소년 문화 센터
주 최: 청소년 지도원
Ⅷ. 평가
참가자 평가서
이번 프로그램을 마치고 느낀점에 대해 솔직하게 적어 주십시오.
어떤 과정이 유익했다고 생각합니까.
어떤 과정이 미흡했다고 생각합니까.
프로그램을 진행함에 있어서 시설은 어떠했는지?
프로그램을 통해 얻은 것이 있다면 무엇입니까.
다음에도 이러한 프로그램이 있다면 참가할지 적어주세요.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04.02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10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