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카프(KAPF)
프로 문학과 민족 문학 운동 (1920년대 중~)
[염균사(1922)→파스큘라(1924)→카프(1925~1935)]
[국민문학파와 해외문학파]
프로 문학과 민족 문학 운동 (1920년대 중~)
[염균사(1922)→파스큘라(1924)→카프(1925~1935)]
[국민문학파와 해외문학파]
본문내용
/ 산에 / 피는 꽃은/
저만치 혼자서 피어 있네. //
산에서 우는 작은 새여, /
꽃이 좋아 / 산에서 / 사노라네 //
산에는 꽃 지네 / 꽃이 지네. /
갈 봄 여름 없이 / 꽃이 지네.
- 김소월, '산유화(山有花)'(1925)
그리고 1924년에 최초의 현대 서사시 형식을 갖춘 '국경(國境)의 밤'을 내놓은 김동환(金東煥)도 20년대의 중요한 시인의 하나다. 그는 일제하의 민족 수난사를 형상화하는 한편, 향토색 짙은 민족 정서를 표현하였다.
"아하, 무사히 건넜을까,
이 한밤에 남편은
두만강을 탈없이 건넜을까?
저리 국경 강안(江岸)을 경비하는
외투(外套) 쓴 검은 순사가
왔다 갔다
오르명 내리명 분주히 하는데
발각도 안되고 무사히 건넜을까?"
- 김동환, '국경의 밤'(1925)에서
저만치 혼자서 피어 있네. //
산에서 우는 작은 새여, /
꽃이 좋아 / 산에서 / 사노라네 //
산에는 꽃 지네 / 꽃이 지네. /
갈 봄 여름 없이 / 꽃이 지네.
- 김소월, '산유화(山有花)'(1925)
그리고 1924년에 최초의 현대 서사시 형식을 갖춘 '국경(國境)의 밤'을 내놓은 김동환(金東煥)도 20년대의 중요한 시인의 하나다. 그는 일제하의 민족 수난사를 형상화하는 한편, 향토색 짙은 민족 정서를 표현하였다.
"아하, 무사히 건넜을까,
이 한밤에 남편은
두만강을 탈없이 건넜을까?
저리 국경 강안(江岸)을 경비하는
외투(外套) 쓴 검은 순사가
왔다 갔다
오르명 내리명 분주히 하는데
발각도 안되고 무사히 건넜을까?"
- 김동환, '국경의 밤'(1925)에서
키워드
추천자료
5. 18광주민주항쟁(5.18 광주민주화운동) 음악운동의 중요성과 조직, 5. 18광주민주항쟁(5.18...
남북통일(민족통일)과 교류협력, 남북통일(민족통일)과 통일운동, 통일교육, 남북통일(민족통...
일제강점기(식민지시대, 일제하)의 사회주의운동, 민중계몽운동, 농지탈환운동, 민족개조론, ...
일제하(일제강점기, 식민지시대)의 민족개조론, 인종개선론, 일제하(일제강점기, 식민지시대)...
[광주광역시]광주지역(광주광역시)의 5 18광주민주화운동(5 18광주민주항쟁, 5 18광주민중항...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통일전선운동(좌우합작운동), 정당통일운동,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독립운...
사회주의 운동조선 공산당, 민족해방 운동을 전개하다
아랍민족주의의 등장과 발전방향 (와하브 운동, 근대의 아랍민족주의, 아랍민족주의의 저항)
[한국민족운동사] 치열했던 노동 운동의 불꽃 원산 총파업 - 원산 총 파업의 발단과 전개, 절...
[한국민족운동사] 일제하 조선의 노동운동 (1910년대 1920년대)의 의의 (일제 식민지 노동운동)
[한국민족운동사] <3·1운동의 참가계층> - 지식인, 청년, 학생(구성원 각 집단의 투쟁), 농민...
[한국민족운동사] 조선공산당 - 1920년대 사회주의 운동, 조선공산당의 조직과 활동, 조선공...
[한국민족운동사-3·1운동의 쟁점] 3·1운동의 폭력·비폭력 문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