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인재육성형 인사고과에로의 이행
■ 처우중심에서 다목적 인사고과로
■ 인사고과와 보상체계의 연계강화
■ 획일적 인사고과에서 목적별 인사고과로
■ 일방적 인사고과에서 쌍방적 인사고과로
■ 비밀주의에서 공개주의로
■ 제도적 측면에서 운영적 측면으로
■ 인사부서 중심에서 현장중심으로
■ 연봉제 도입배경과 인적자원관리
■ 연봉제 도입의 효과
■ 연봉제 도입방안
■ 처우중심에서 다목적 인사고과로
■ 인사고과와 보상체계의 연계강화
■ 획일적 인사고과에서 목적별 인사고과로
■ 일방적 인사고과에서 쌍방적 인사고과로
■ 비밀주의에서 공개주의로
■ 제도적 측면에서 운영적 측면으로
■ 인사부서 중심에서 현장중심으로
■ 연봉제 도입배경과 인적자원관리
■ 연봉제 도입의 효과
■ 연봉제 도입방안
본문내용
제」도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기업이 처한 환경에 따라 능력주의를 반영하되 점진적으로 능력의 비중을 확대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본급, 제수당, 상여금으로 구성된 현행 연공급 임금체계는 기본연봉으로 통합된다. 연봉액 은 전년도 연봉액을 기준으로 하여 본인의 자기신고와 직속상사의 인사평가, 전년도 업적 등을 종합평가하여 연봉대상자와 경영간부의 협의를 통해 결정짓는다.
두산그룹의 경우 시행 첫해에는 같은 직급에서 고과결과에 따라 2-5%의 차등을 두어 연봉 을 지급하였다. 둘째 해에는 7%까지 차등폭을 확대하였다. 이와같이 연봉액의 차등폭을 점 진적으로 넓혀 나감으로써 연봉제 도입에 따른 심리적, 물리적인 저항을 최소화 시키고 있 다.
연봉제를 순수하게 운영하고 있는 우리나라 프로야구의 경우에도 기본연봉의 차등폭의 상한 을 25%로 정하고 있었다. 즉 아무리 능력과 업적이 탁월하더라도 25%이상 연봉액이 증가 할 수 없다는 원칙이다. 이러한 상한선 규제는 미국이나 일본 등 선진국의 프로야구에서는 볼 수 없는 현상이다. 따라서 금년들어 한국프로야구협회는 프로야구가 정착되었다는 판단 하에 상한선 25% 규정을 철폐하고 「순수연봉제」로 전환하였다.
따라서 기업이 처한 환경에 따라 능력주의를 반영하되 점진적으로 능력의 비중을 확대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본급, 제수당, 상여금으로 구성된 현행 연공급 임금체계는 기본연봉으로 통합된다. 연봉액 은 전년도 연봉액을 기준으로 하여 본인의 자기신고와 직속상사의 인사평가, 전년도 업적 등을 종합평가하여 연봉대상자와 경영간부의 협의를 통해 결정짓는다.
두산그룹의 경우 시행 첫해에는 같은 직급에서 고과결과에 따라 2-5%의 차등을 두어 연봉 을 지급하였다. 둘째 해에는 7%까지 차등폭을 확대하였다. 이와같이 연봉액의 차등폭을 점 진적으로 넓혀 나감으로써 연봉제 도입에 따른 심리적, 물리적인 저항을 최소화 시키고 있 다.
연봉제를 순수하게 운영하고 있는 우리나라 프로야구의 경우에도 기본연봉의 차등폭의 상한 을 25%로 정하고 있었다. 즉 아무리 능력과 업적이 탁월하더라도 25%이상 연봉액이 증가 할 수 없다는 원칙이다. 이러한 상한선 규제는 미국이나 일본 등 선진국의 프로야구에서는 볼 수 없는 현상이다. 따라서 금년들어 한국프로야구협회는 프로야구가 정착되었다는 판단 하에 상한선 25% 규정을 철폐하고 「순수연봉제」로 전환하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