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론
■ 본론
▪ 친일파의 정의
▪ 식민 통치 아래서의 친일 행위
▪ 친일파의 판별
▪ 친일파 처벌의 법적·도덕적 근거
▪ 친일파 청산의 효용
▪ 반민족행위처벌범과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 친일 문제에 대한 합리적 접근
■ 결론
■ 본론
▪ 친일파의 정의
▪ 식민 통치 아래서의 친일 행위
▪ 친일파의 판별
▪ 친일파 처벌의 법적·도덕적 근거
▪ 친일파 청산의 효용
▪ 반민족행위처벌범과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 친일 문제에 대한 합리적 접근
■ 결론
본문내용
태가 있었고, 친일 행위들 안에도 수동적 친일과 적극적 친일이 있었으므로, 이런 스펙트럼에 의한 접근은 방법론적으로 우월하다.
넷째, 저항 운동 연구에 보다 많이 투자해야 한다. 현실적으로, 민족정기를 높이는 데는 부끄러운 친일 행위들을 집요하게 파헤치고 친일파를 마구 욕하는 것보다 일본 식민 통치 당국의 혹독한 고문과 형벌에도 불구하고 조국의 해방을 위해 목숨을 바친 선인들의 업적을 기리는 것이 훨씬 낫다. 효과도 크고 부작용도 적을 것이다.
둘러보면, 우리 사회가 저항 운동에 관한 연구에 너무 작은 투자를 해왔다는 사실이 이내 눈에 들어온다. 독립 운동은 무척 어렵고 숭고한 일이며, 독립 운동에 투신한 분들은 인간적으로도 무척 흥미로운 분들이다. 그러나 우리 독립운동가들 가운데 변변한 전기를 가진 분들은 몇 되지 않는다. 그래서인지 독립 운동가들은 대부분 무명 인사들로 남았고, 오히려 친일파들이 유명해졌다는 희비극적 상황이 나왔다. 친일 문제에 집착하는 사람들이 왜 항일 독립 운동에 대해선 그리 소홀한가? 민족정기를 높이는 일이 그리고 시급하다면, 아직도 허술한 항일 운동사의 정립에 보다 큰 힘을 쏟아야 할 것 아닌가?
이제 일본의 식민 통치가 끝난 지 반세기가 넘었다. 반세기는 결코 짧은 시간이 아니다. 세상이 느리게 바뀌던 옛적에도 강산이 다섯 번 바뀌었을 시간이요, 현대식으로 따지면 사회의 주역이 두 번 바뀐 세월이다. 비록 친일 문제가 우리에겐 찬찬히 들여다보기도 힘들만큼 큰 문제이긴 하지만 이제는 그 문제에 보다 차분하게 접근할 만한 시간적 거리가 생긴 것도 사실이다. 이제는 사정이 다르다. 지금 친일 문제에 대해 감정을 앞세워 민중주의적으로 접근하는 것은 정당화되기 어렵다. 그동안 흐른 세월이 제공한 조망을 한껏 이용해서, 조선의 식민지 경험이라는 숲을 먼저 살피고 친일 행위들이라는 나무들을 살펴야 한다. 아울러 항일 독립 운동이라는 중요한 나무들에 대해 보다 큰 관심을 보여야 한다. 그렇게 한 뒤에야 비로소 어려운 세월을 견뎌낸 우리 선인들의 삶이 제대로 드러나고, 그것에 대한 평가가 보다 공정하게 내려지고, 식민지의 경험이 우리사회에 드리운 짙은 그늘이 조금이라도 걷힐 것이다.
과거는 운명 자체다…
이 우주의 어느 것도, 아마도 우주 자체를 빼놓고는, 닫힌 체계가 아니다. 아무리 자족하고 밖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처럼 보여도, 찬찬히 따지고 보면, 모든 생명체들과 사회들은 활짝 열린 체계들이다. 그런 체계들은 엄격한 인과율에 지배되고, 인과율의 작용은 하도 많고 복잡해서, 그 모습을 기술하는 것은 그만두고라도, 상상하기도 힘들다. 이런 사정 때문에, 우리는 개인으로서나 사회로서나, 과거의 산물이다. 과거는 운명자체다.
그리고 과거는 우리에게 전체로 다가온다. 과거가 인과율의 많고 복잡한 작용의 결과이므로, 과거의 어느 부분을 골라내서 받아들이거나 버리는 일은 논리적으로 그르고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우리는 과거를 하나의 유기적 전체로 받아들여야 한다.
내 생각은 이렇다. 우리가 지금 시대에 친일파가 어쩌고 저쩌고 떠들어대기만 하는것은 바보 같은 짓이다. 이미 다 죽어버린 친일파들에게 신경 쓰느니 잊혀진 독립 운동가들에게 관심을 가져야할 시기라고 본다. 김구 선생의 경우도, 자서전인 백범일지가 널리 읽힐 뿐, 그분의 파란만장한 삶을 제대로 이야기한 전기는 없는 형편이다.
일제시대는 이제 지나간 역사이다. 역사는 되돌릴 수 없다. 우리가 이제 그 일제시대에 우리 민족에게 해를 가했다는 친일파를 챙기는 것 보다 우리 민족을 위해 평생을 몸 바치신 독립 운동가들을 위할 때가 아닌가 싶다.
참고자료 : 죽은 자들을 위한 변호 <복거일>
넷째, 저항 운동 연구에 보다 많이 투자해야 한다. 현실적으로, 민족정기를 높이는 데는 부끄러운 친일 행위들을 집요하게 파헤치고 친일파를 마구 욕하는 것보다 일본 식민 통치 당국의 혹독한 고문과 형벌에도 불구하고 조국의 해방을 위해 목숨을 바친 선인들의 업적을 기리는 것이 훨씬 낫다. 효과도 크고 부작용도 적을 것이다.
둘러보면, 우리 사회가 저항 운동에 관한 연구에 너무 작은 투자를 해왔다는 사실이 이내 눈에 들어온다. 독립 운동은 무척 어렵고 숭고한 일이며, 독립 운동에 투신한 분들은 인간적으로도 무척 흥미로운 분들이다. 그러나 우리 독립운동가들 가운데 변변한 전기를 가진 분들은 몇 되지 않는다. 그래서인지 독립 운동가들은 대부분 무명 인사들로 남았고, 오히려 친일파들이 유명해졌다는 희비극적 상황이 나왔다. 친일 문제에 집착하는 사람들이 왜 항일 독립 운동에 대해선 그리 소홀한가? 민족정기를 높이는 일이 그리고 시급하다면, 아직도 허술한 항일 운동사의 정립에 보다 큰 힘을 쏟아야 할 것 아닌가?
이제 일본의 식민 통치가 끝난 지 반세기가 넘었다. 반세기는 결코 짧은 시간이 아니다. 세상이 느리게 바뀌던 옛적에도 강산이 다섯 번 바뀌었을 시간이요, 현대식으로 따지면 사회의 주역이 두 번 바뀐 세월이다. 비록 친일 문제가 우리에겐 찬찬히 들여다보기도 힘들만큼 큰 문제이긴 하지만 이제는 그 문제에 보다 차분하게 접근할 만한 시간적 거리가 생긴 것도 사실이다. 이제는 사정이 다르다. 지금 친일 문제에 대해 감정을 앞세워 민중주의적으로 접근하는 것은 정당화되기 어렵다. 그동안 흐른 세월이 제공한 조망을 한껏 이용해서, 조선의 식민지 경험이라는 숲을 먼저 살피고 친일 행위들이라는 나무들을 살펴야 한다. 아울러 항일 독립 운동이라는 중요한 나무들에 대해 보다 큰 관심을 보여야 한다. 그렇게 한 뒤에야 비로소 어려운 세월을 견뎌낸 우리 선인들의 삶이 제대로 드러나고, 그것에 대한 평가가 보다 공정하게 내려지고, 식민지의 경험이 우리사회에 드리운 짙은 그늘이 조금이라도 걷힐 것이다.
과거는 운명 자체다…
이 우주의 어느 것도, 아마도 우주 자체를 빼놓고는, 닫힌 체계가 아니다. 아무리 자족하고 밖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처럼 보여도, 찬찬히 따지고 보면, 모든 생명체들과 사회들은 활짝 열린 체계들이다. 그런 체계들은 엄격한 인과율에 지배되고, 인과율의 작용은 하도 많고 복잡해서, 그 모습을 기술하는 것은 그만두고라도, 상상하기도 힘들다. 이런 사정 때문에, 우리는 개인으로서나 사회로서나, 과거의 산물이다. 과거는 운명자체다.
그리고 과거는 우리에게 전체로 다가온다. 과거가 인과율의 많고 복잡한 작용의 결과이므로, 과거의 어느 부분을 골라내서 받아들이거나 버리는 일은 논리적으로 그르고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우리는 과거를 하나의 유기적 전체로 받아들여야 한다.
내 생각은 이렇다. 우리가 지금 시대에 친일파가 어쩌고 저쩌고 떠들어대기만 하는것은 바보 같은 짓이다. 이미 다 죽어버린 친일파들에게 신경 쓰느니 잊혀진 독립 운동가들에게 관심을 가져야할 시기라고 본다. 김구 선생의 경우도, 자서전인 백범일지가 널리 읽힐 뿐, 그분의 파란만장한 삶을 제대로 이야기한 전기는 없는 형편이다.
일제시대는 이제 지나간 역사이다. 역사는 되돌릴 수 없다. 우리가 이제 그 일제시대에 우리 민족에게 해를 가했다는 친일파를 챙기는 것 보다 우리 민족을 위해 평생을 몸 바치신 독립 운동가들을 위할 때가 아닌가 싶다.
참고자료 : 죽은 자들을 위한 변호 <복거일>
추천자료
한국 농구의 역사
한국 개고기의 역사에 대해서
한국 교육의 역사와 문제
한국 여성지위의 역사
한국 재벌의 역사, 특징, 유래, 변화, 특징, 현황, 사례, 관리, 역할, 문제점, 시사점, 나의...
한국 근대 역사학의 성립
한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에 대해 기술하고 학습자 거주 지역 노인복지관 프로그램에 대한 학...
한국 자원복지의 역사(우리나라 자원복지활동의 발달과정)
한국 사회복지의 역사(우리나라 사회복지 발달과정)
한국 사회복지의 역사
한국 사회복지의 역사
한국의 사회복지의 역사적 전개
한국 사회복지의 역사
한국의 교정복지 역사(우리나라 교정복지의 변화와 전개 및 특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