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제 교육 연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문법교육에 대한 전제적 태도

3. 시제 교육의 내용 : 무엇을

4. 시제 교육의 방법 : 어떻게

5. 결론

본문내용

나)
si sang
tek bird
dat child
lo robin
pa, ba 복수형
문법교육에서는 다만 교사가 수업 계획에 따라 계획된 자료들을 제시해 주고 이 자료를 분류 관찰하게 하여 가설을 세우게 한 다음 학생들이 제시하는 자료를 통해 검증함으로써 규칙화하고 이 규칙에 규범성을 부여하여 이것을 다른 예에 실제로 적용해 보는 방식을 택하는 것이 다를 뿐이다.
이러한 수업 방식은 학생들이 단순히 언어학적 성과물을 이해하는 것보다 훨씬 더 학생들의 흥미를 자극할 수 있을 것이고, 실제로 학생들의 이해를 체계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일상 언어 생활에 쉽게 적용할 수 있게 해 줄 것이다. 무엇보다 이러한 과정은 곧 문제 해결력을 높이며 사고의 체계화 수준을 높여 줄 것이다.
시제 교육에서 예를 들어 '겠'의 경우 다음과 같은 자료들을 제시할 수 있다.
(가)
내일은 비가 오겠다.
지금쯤 광주에는 비가 오겠다.
어제 비가 왔겠다.
그 일은 내가 하겠다.
(가)의 자료를 통해 '겠'이 현실의 사태(구름이 드리워져 있다, 일기 예보에서 광주에 비가 온다고 했다, 땅에 물이 고여 있다)를 바탕으로 확인하지 않은 내용을 추정한다거나, 아직 일어나지 않은 일에 대한 결심
) 이 결심도 사실은 현실의 사태를 바탕으로 아직 일어나지 않은 일에 대한 결심을 '그 일은 내가 한다, 그 일은 내가 했다'보다는 상대적으로 비확정적으로 서술하는 서술 태도를 나타낸다.
을 나타낸다는 가설을 세우고 이를 다른 '겠'의 사용을 통해 검증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이어 (나)의 자료들을 통해 '겠'이 상대적으로 비확정적인 서술 태도를 취하고 있음을 보일 수 있다.
(나)
내일은 비가 온다.
어제는 비가 왔다.
그 일은 내가 한다.
4.3. 적용 단계에서는 시제 어미가 들어갈 부분을 공란으로 만들어 두고 이것을 채워 넣도록 하는 방식을 택할 수 있다. 좀더 적극적으로 시제가 잘못된 학생의 글을 제시해 주고 이것을 바로잡는 훈련을 한다든가, 아니면 시제를 바꿈으로써 다양한 표현의 차이를 경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단계에서 중요한 것은 실제로 학생들이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언어를 대상으로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문어보다는 구어가 중심이 되어야 하고, 한 문장의 수준이 아니라 담화의 수준이 되어야 한다. 문법교육을 위해 지어진 문장이 아니라 학생들 스스로의 말을 통해 교육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4.4. 시제 교육을 통해 형성하고자 목적하는 태도를 시간 표현을 바르게 하고자 하는 태도와 우리 민족의 시간 의식을 존중하는 태도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언어 사용과 관련한 모국어 교육에서 후자는 특히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문법교육에서 시제의 체계를 과거, 현재, 미래의 삼분법으로 가르치고 국어 현상을 그 체계에 대입하도록 하면, '았 = 과거, 겠 = 미래' 혹은 역으로 '과거 = 았, 미래 = 겠' 하는 식으로 정확하게 대응하는 언어가 체계적인 언어라는 태도를 가지게 된다. 이런 태도는 국어를 '비체계적인 언어'로 판단하게 한다. 그리고 더 나아가 '전화 왔다'는 '전화 와 있다'로 고쳐 써야 한다든가, 아니면 그것이 과거나 현재가 아닌 현재 완료인데 우리말은 이것을 구분해 주지 못하는 언어로 시제가 체계적이지 못하다라는 생각을 하게 하고, 급기야는 우리 민족은 원래 시간 의식이 부족한 민족으로 언제나 '코리언타임'이 문제라는 가치 비하적인 태도를 유발한다.
따라서 먼저 우리말에 대한 잘못된 인식(주로 영어 문법 체계에 우리말을 적용해 보려는)에서 벗어나게 하고 나아가 우리말의 사유 체계를 제대로 인식하게 함으로써 다양한(올바른, 혹은 자신과 다른) 삶의 체계를 이해하고 존중하게 하거나, 바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것은 문법교육을 통해 습득 형성되어야 한다.
) 민족의 삶의 태도에 관한 문제는 단순히 전통의 이해와 계승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현실적으로 기성 세대와 새로운 세대 간의 조화의 문제이다.
5. 결 론
문법교육은 문법에 대한 교육과 다르다는 생각과, 우리 민족의 시간관이 비합리적이라는 잘못된 시간 의식이 시제 교육과 무관하지 않다는 생각에서 시제 교육에 관해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언급하였다.
문법교육이 언어학적 소산물일 수만은 없다. 문법교육에는 사회적, 심리적, 역사적, 철학적, 교육적 조건 등 다양한 조건들이 함께 작용해야 한다. 그리고 영어권이 아닌 언어권의 문법교육은 영어의 문법 체계에 의한 간섭을 고려해야 한다. 문법교육이 제 자리를 잡기 위해서는 그 교육적 처치에 대한 문제와 함께 이런 문제들이 심각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 문헌
김광해(1995), "언어 지식 영역의 교수 학습 방법", 국어교육연구2.
김규영(1987<증보판>), 『시간론』, 서강대학교출판부.
김성환(1986), "中論에 의한 시간의 본질 연구", 동국대학교석사논문.
남기심(1985<3판>), 『국어문법의 시제문제에 관한 연구』, 탑출판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연구소(1996), 『고등학교 문법』, 교육부.
이성영(1995), "언어 지식 영역 지도의 필요성과 방향", 국어교육연구2.
임칠성(1991), "현대국어의 시제어미 연구", 전남대박사논문.
주시경(1910), 『국어문법』,.박문서관
최현배(1937;1987<14판>), 『우리말본』, 정음문화사
허 웅(1987), 『국어 때매김법의 변천사』,샘문화사
Boman,T.(1968), Das hebraische Denken im Vergleich mit dem griechischen.;허혁 역(1975;1985<3판>), 『히브리적 사유와 그리스적 사유의 비교』, 분도출판사.
Capra,F.(1975), The Tao of Physics.; 이성범·김용정 역(1979;1987<8판>), 『현대물리학과 동양사상』, 범양사출판부.
Jespersen,O.(1924), The Philosophy of Grammar.; 이환묵·이석무 역(1987), 『문법철학』, 한신문화사.
Louise, M.., Time - Rhythm and Respose; 윤원철 역(1986), 『시간』, 평단문화사.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5.04.15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29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