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예언자의 선포에서 오늘의 예언서로
2. 19세기 이전의 예언서 연구: ‘토라(율법)의 해석자’
3. 19세기 이후의 예언서 연구의 주류
2. 19세기 이전의 예언서 연구: ‘토라(율법)의 해석자’
3. 19세기 이후의 예언서 연구의 주류
본문내용
보존하려고 노력하는 이스라엘의 고대 전통(수 7장; 신 13:6이하 그 외)과는 다르다”는 점을 지적한다. 또한 그는 “예언자들의 백성 전체에 대한 심판 선언은 항상 구원을 약속해 주는 소위 구원 예언자들의 메시지(렘 14:13; 23:16이하 그 외)와도 전혀 다르다”는 점도 강조한다.
이러한 점들을 마리문서(Mari-Text)나 고대 중동에서도 그 유사점을 찾아볼 수 없는 이스라엘 문서 예언자들만이 지니는 독특한 면이라는 것이다. 고대 이스라엘의 예언 현상과 유사한 평행구를 많이 보여주는 마리문서에 의하면 예언자들은 왕에게 조건적 심판을 선포하는 반면에, 이스라엘의 문서 예언자들은 자기 백성 모두에게 무조건적 심판을 선언하기 때문이다. 철저한 제의비판(암 5:21이하; 사 1:10이하)과 중보기도의 엄격한 금지(렘14:11; 15:1)는 예언의 이러한 과격성에 잘 부합된다.
볼프와 그의 제자들이 슈미트와 예레미야스의 예언이해는 예언자의 전승의 수용에 주안점을 두었던 폰 라트와는 달리 그들은 예언자의 전승의 재해석 내지는 전승의 거부에 중심을 두었다. 그들의 연구에 의하면 문서 예언자들의 심판선포는 그 유사점을 찾아볼 수 없이 전혀 새로운 것이며 자기 백성들에게 무조건적인 심판을 선언했다는 과격한 내용을 담고 있다. 문서 예언의 과격한 선포는 고대 이스라엘의 전통들에게도, 문서 이전의 예언자들에게서도, 문서 예언자들과 동시대에 활동한 구원 예언자들과 제의 예언자들에게서도, 또한 이웃 국가인 고대 근동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현상이라는 것이다. 즉 문서 예언의 ‘과격성’을 발견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점들을 마리문서(Mari-Text)나 고대 중동에서도 그 유사점을 찾아볼 수 없는 이스라엘 문서 예언자들만이 지니는 독특한 면이라는 것이다. 고대 이스라엘의 예언 현상과 유사한 평행구를 많이 보여주는 마리문서에 의하면 예언자들은 왕에게 조건적 심판을 선포하는 반면에, 이스라엘의 문서 예언자들은 자기 백성 모두에게 무조건적 심판을 선언하기 때문이다. 철저한 제의비판(암 5:21이하; 사 1:10이하)과 중보기도의 엄격한 금지(렘14:11; 15:1)는 예언의 이러한 과격성에 잘 부합된다.
볼프와 그의 제자들이 슈미트와 예레미야스의 예언이해는 예언자의 전승의 수용에 주안점을 두었던 폰 라트와는 달리 그들은 예언자의 전승의 재해석 내지는 전승의 거부에 중심을 두었다. 그들의 연구에 의하면 문서 예언자들의 심판선포는 그 유사점을 찾아볼 수 없이 전혀 새로운 것이며 자기 백성들에게 무조건적인 심판을 선언했다는 과격한 내용을 담고 있다. 문서 예언의 과격한 선포는 고대 이스라엘의 전통들에게도, 문서 이전의 예언자들에게서도, 문서 예언자들과 동시대에 활동한 구원 예언자들과 제의 예언자들에게서도, 또한 이웃 국가인 고대 근동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현상이라는 것이다. 즉 문서 예언의 ‘과격성’을 발견하게 된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