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카리스마(charisma)
2. 비전(vision)
3. 개인에 대한 고려(individualized consideration)
4. 영감적 동기유발
2. 비전(vision)
3. 개인에 대한 고려(individualized consideration)
4. 영감적 동기유발
본문내용
한다. 따라서 이러한 리더는 부하들의 지식과 합리성, 그리고 문제해결 능력을 제고시키기 위해 이들에게 새로운 방식으로 문제에 접근하게 하며, 늘 생각하게 하는 문제를 제시한다. 또한 과업달성에 흔히 쓰이는 전제조건과 일반적 방식을 다시 생각하게 하여 루틴한 업무의 기본적인 가정들 조차도 재검토하게 하는 창의적 분위기를 조성하는 리더이다. 최근 전략 연구가들은 오늘날 어떤 기업이든 치열한 경쟁에서 이기려면 내부 구성원의 지식이 풍부해야 하며, 이러한 지식이란 쉽게 모방하거나 복제할 수 없는 것으로 경쟁관계에서 우위를 선점하는 핵심역량임을 지적하고 있다. 이것은 곧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조직은 지속적인 변화를 유지해야 하며, 조직내 모든 구성원이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꾸준히 학습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리더십에 대한 동서양의 문화적 차이를 고려한다 하더라도 지적 동기유발 요인은 이러한 측면에서 미래 리더에게 요구되는 가장 중요한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창의적인 발상과 끊임없는 개혁을 목표로 하는 수평적 조직의 리더들은 부하에게 팀 빌더, 그리고 코치로서의 새로운 역할을 이행하기 위해 항상 새로운 기술을 학습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윤과 임(Yoon& Lim, 1996)의 변화유도형 리더십 연구에 의하면 西歐기업에 비해 한국기업이 가장 뒤떨어지는 리더십 요인은 지적 동기 유발 요인임이 밝혀졌으며, 이것은 곧 새로운 업무방식을 도입하여 업무를 개선시키려고 노력하는 리더가 오히려 부하들에게 부정적 영향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원인은 한국기업의 조직분위기가 혁신 등을 통한 업무개선에 적극적일 만큼 성숙되어 있지 않고 혁신작업이 오히려 부하들에게 업무 부담으로 느껴지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으나, 더욱 중요한 것은 혁신과정에 있는 부하들에게 적절한 코치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리더로서의 학습노력과 이를 지원하기 위한 조직의 체계적 노력부족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secui.com에서도 구성원들이 자신의 능력을 충분히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을 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물론 secui.com같은 작은 규모의 벤쳐기업에서는 대입하기 힘든 일이지만 최근 대기업체에서 나타나는 '사내벤쳐'의 사례도 같은 맥락에서 '영감적 동기유발'의 선례라고 할 수 있다. secui.com 또한 직급에 관계없는 의사반영을 지향하여 개개인에게 충분한 능력발휘의 기회를 부여하여 창의적 사고를 키워주어야한다.
창의적인 발상과 끊임없는 개혁을 목표로 하는 수평적 조직의 리더들은 부하에게 팀 빌더, 그리고 코치로서의 새로운 역할을 이행하기 위해 항상 새로운 기술을 학습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윤과 임(Yoon& Lim, 1996)의 변화유도형 리더십 연구에 의하면 西歐기업에 비해 한국기업이 가장 뒤떨어지는 리더십 요인은 지적 동기 유발 요인임이 밝혀졌으며, 이것은 곧 새로운 업무방식을 도입하여 업무를 개선시키려고 노력하는 리더가 오히려 부하들에게 부정적 영향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원인은 한국기업의 조직분위기가 혁신 등을 통한 업무개선에 적극적일 만큼 성숙되어 있지 않고 혁신작업이 오히려 부하들에게 업무 부담으로 느껴지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으나, 더욱 중요한 것은 혁신과정에 있는 부하들에게 적절한 코치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리더로서의 학습노력과 이를 지원하기 위한 조직의 체계적 노력부족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secui.com에서도 구성원들이 자신의 능력을 충분히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을 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물론 secui.com같은 작은 규모의 벤쳐기업에서는 대입하기 힘든 일이지만 최근 대기업체에서 나타나는 '사내벤쳐'의 사례도 같은 맥락에서 '영감적 동기유발'의 선례라고 할 수 있다. secui.com 또한 직급에 관계없는 의사반영을 지향하여 개개인에게 충분한 능력발휘의 기회를 부여하여 창의적 사고를 키워주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