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제목
2. 실험 목적
3. 이론 및 원리
(1) 수분함량(Moisture Content)
(2) 평형수분함량(EMC)과 평형상대습도(ERH)
(3) 수분활성도(Water Activity, Aw)
(4) 등온흡습곡선(Moisture Sorption Isotherm, MSI)
(5) 수분활성도와 식품의 반응속도
(6) 수분활성도(Aw) 측정법
1)Landrock법
2) Conway unit를 이용한 측정법
(7) 데시케이터(desiccator)
4. 실험 방법
(1) 수분함량 측정법(상압가열건조법)
(2) 수분활성도 측정법
1)Landrock법
2) Conway unit를 이용한 측정법
5. 실험기구 및 시약
(1) 실험기구
(2) 시약
6. 참고 문헌
2. 실험 목적
3. 이론 및 원리
(1) 수분함량(Moisture Content)
(2) 평형수분함량(EMC)과 평형상대습도(ERH)
(3) 수분활성도(Water Activity, Aw)
(4) 등온흡습곡선(Moisture Sorption Isotherm, MSI)
(5) 수분활성도와 식품의 반응속도
(6) 수분활성도(Aw) 측정법
1)Landrock법
2) Conway unit를 이용한 측정법
(7) 데시케이터(desiccator)
4. 실험 방법
(1) 수분함량 측정법(상압가열건조법)
(2) 수분활성도 측정법
1)Landrock법
2) Conway unit를 이용한 측정법
5. 실험기구 및 시약
(1) 실험기구
(2) 시약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수분함량을 변화시키기 우해 흡습수단으로는 적어도 RH 90%, 37℃이 항 온항습기 안에서, 또한 탈습수단으로는 40~50℃의 진공건조기 안에서 각각 임의의 시간처 리를 하여 수분함량을 다르게 조정한다. 이들 시료는 일시적으로 유리용기에 밀폐 저장하여 둔다.
③ 위의 각 그룹의 시료 중에서 2g씩을 정확히 칭량하여 70℃, 762㎜Hg의 진공하에서 16시 간 흡인건조하고 각 그룹의 시료의 수분 함량을 측정한다.
④ 이어서 1계열마다 각 5g씩의 시료를 전자자동천칭으로 신속히 칭취하여 직경 7~8㎝ 정 도의 금속제 작은 접시(pan)에 균일하게 넣는다.
0.1N-NaOH용액에 의한 적정치(㎖)
황산중량농도(%)
상대습도(%)
-
-
100.0
1.10
5.95
98.1
1.81
8.40
97.0
2.65
12.36
94.8
3.51
16.36
92.1
4.58
21.40
87.6
⑤ 이 금속제 접시를 특제의 Conway unit(desiccator 또는 petridish) 안의 가대 위에 얹고 구리스나 바셀린을 바른 유리판으로 상부를 밀폐한다. 또한 이 측정기구 안에는 미리 소정 의 온도에서 일정한 RH를 나타내는 여러 농도의 황산을 넣어둔다.
표 4 - 조제한 황산농도와 상대습도
⑥ 위의 ④, ⑤의 조작은 1계열의 시료에 대하여 적어도 5가지의 다른 RH를 갖는 측정기구 를 준비하여 실시하며, 이때 낮은 RH로부터 높은 RH로 순서대로 실시한다.
⑦ 소정의 온도(25℃의 경우가 많다)에서 각 시료를 1시간 유지시킨 후에 중량의 증감을 측 정해서 결과 그래프를 작성하고 중량 증감이 없는 영점의 RH로서 Aw를 구한다.
⑧ 각 그룹에 대해서 4), 7)의 일련의 조작을 반복하여 등온흡습곡선을 얻는다.
2) Conway unit를 이용한 측정법
① Conway의 미량확산장치(Conway unit)의 외실에 표준시약의 결정을 약 5g 넣고 증류수 를 소량 가해 적신다. 이때, 증류수를 가하는 양은 결정을 적실 정도만 하면 된다.
② 내실에는 알루미늄 호일로 만든 작은 접시를 놓아 그 속에 시료 1.5g을 정확히 칭량하여 넣는다. 이때, 한 개의 시료의 측정에 5개의 Conway unit, 즉 5종류의 Aw가 다른 표준시약 을 사용하면 대개의 시료는 측정범위에 들어간다.
③ 백색 바셀린을 unit에 발라 밀봉하여 25℃에서 정확히 2시간 방치한 후 시료의 중량을 재 빨리 정확히 칭량한다.
④ 시료의 중량의 증감을 표준시약 Aw에 대해서 plot하여 선으로 연결하면 중량의 증감 0 에 교차하는 점을 구할 수 있다. 이 교차점으로부터 수직선을 아래로 내려 Aw를 읽으면 이것이 시료의 Aw이다.
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등온흡습곡선을 얻을 수 있다.
5. 실험기구 및 시약
(1) 실험기구
1) 수분함량 측정법(상압가열건조법)
① 칭량병(weighing bottle) 또는 알루미늄제 칭량접시
② 정온건조기(dry oven)
③ 도가니 집게(crucible tong)
④ 데시케이터(desiccator)
⑤ 수욕(water bath)
⑥ 정제해사 또는 규조토
2) Landrock법
① 항온항습기 : 온도는 20~50℃, 습도는 95% 정도까지의 것을 사용한다.
② 진공건조기 : 온도범위는 40~50℃ 정도의 것을 사용한다.
③ Desiccator : 적당한 부피를 가진 밀폐 가능한 것을 사용한다.
④ 전자저울
3) Conway unit를 이용한 측정법
① Conway의 미량확산장치(Conway unit)
② 항온기 : 온도조절범위 20~50℃의 것을 사용한다.
③ 전자저울
(2) 시약
1) Landrock법
①진한 H2SO4 : 특급 시약을 사용한다.
2) Conway unit를 이용한 측정법
① 포화염류용액 : 각종 표준시약을 사용한다.
6. 참고 문헌
(1) 식품가공학. 손태화 외 3인 저. 형설출판사. 2002, 95~99pp.
(2) 식품공학. 변유량 외 14인 저. 지구문화사. 2002, 425~431pp.
(3) 식품분석학. 강국희 외 3인 저.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99, 75~81pp, 221~223pp.
(4) 일반화학실험. 화학교재연구회. 자유아카데미. 2003, 30p.
(5) 정량분석화학(Ⅰ). Daniel C. Harris 저. 이동선 역. 대웅출판사. 1999, 29p.
(6) 최신식품화학. 한명규 저. 형설출판사. 2002, 24~30pp.
(7) 표준식품분석학. 채수규 외 4인 저. 지구문화사. 1999, 619~623pp.
③ 위의 각 그룹의 시료 중에서 2g씩을 정확히 칭량하여 70℃, 762㎜Hg의 진공하에서 16시 간 흡인건조하고 각 그룹의 시료의 수분 함량을 측정한다.
④ 이어서 1계열마다 각 5g씩의 시료를 전자자동천칭으로 신속히 칭취하여 직경 7~8㎝ 정 도의 금속제 작은 접시(pan)에 균일하게 넣는다.
0.1N-NaOH용액에 의한 적정치(㎖)
황산중량농도(%)
상대습도(%)
-
-
100.0
1.10
5.95
98.1
1.81
8.40
97.0
2.65
12.36
94.8
3.51
16.36
92.1
4.58
21.40
87.6
⑤ 이 금속제 접시를 특제의 Conway unit(desiccator 또는 petridish) 안의 가대 위에 얹고 구리스나 바셀린을 바른 유리판으로 상부를 밀폐한다. 또한 이 측정기구 안에는 미리 소정 의 온도에서 일정한 RH를 나타내는 여러 농도의 황산을 넣어둔다.
표 4 - 조제한 황산농도와 상대습도
⑥ 위의 ④, ⑤의 조작은 1계열의 시료에 대하여 적어도 5가지의 다른 RH를 갖는 측정기구 를 준비하여 실시하며, 이때 낮은 RH로부터 높은 RH로 순서대로 실시한다.
⑦ 소정의 온도(25℃의 경우가 많다)에서 각 시료를 1시간 유지시킨 후에 중량의 증감을 측 정해서 결과 그래프를 작성하고 중량 증감이 없는 영점의 RH로서 Aw를 구한다.
⑧ 각 그룹에 대해서 4), 7)의 일련의 조작을 반복하여 등온흡습곡선을 얻는다.
2) Conway unit를 이용한 측정법
① Conway의 미량확산장치(Conway unit)의 외실에 표준시약의 결정을 약 5g 넣고 증류수 를 소량 가해 적신다. 이때, 증류수를 가하는 양은 결정을 적실 정도만 하면 된다.
② 내실에는 알루미늄 호일로 만든 작은 접시를 놓아 그 속에 시료 1.5g을 정확히 칭량하여 넣는다. 이때, 한 개의 시료의 측정에 5개의 Conway unit, 즉 5종류의 Aw가 다른 표준시약 을 사용하면 대개의 시료는 측정범위에 들어간다.
③ 백색 바셀린을 unit에 발라 밀봉하여 25℃에서 정확히 2시간 방치한 후 시료의 중량을 재 빨리 정확히 칭량한다.
④ 시료의 중량의 증감을 표준시약 Aw에 대해서 plot하여 선으로 연결하면 중량의 증감 0 에 교차하는 점을 구할 수 있다. 이 교차점으로부터 수직선을 아래로 내려 Aw를 읽으면 이것이 시료의 Aw이다.
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등온흡습곡선을 얻을 수 있다.
5. 실험기구 및 시약
(1) 실험기구
1) 수분함량 측정법(상압가열건조법)
① 칭량병(weighing bottle) 또는 알루미늄제 칭량접시
② 정온건조기(dry oven)
③ 도가니 집게(crucible tong)
④ 데시케이터(desiccator)
⑤ 수욕(water bath)
⑥ 정제해사 또는 규조토
2) Landrock법
① 항온항습기 : 온도는 20~50℃, 습도는 95% 정도까지의 것을 사용한다.
② 진공건조기 : 온도범위는 40~50℃ 정도의 것을 사용한다.
③ Desiccator : 적당한 부피를 가진 밀폐 가능한 것을 사용한다.
④ 전자저울
3) Conway unit를 이용한 측정법
① Conway의 미량확산장치(Conway unit)
② 항온기 : 온도조절범위 20~50℃의 것을 사용한다.
③ 전자저울
(2) 시약
1) Landrock법
①진한 H2SO4 : 특급 시약을 사용한다.
2) Conway unit를 이용한 측정법
① 포화염류용액 : 각종 표준시약을 사용한다.
6. 참고 문헌
(1) 식품가공학. 손태화 외 3인 저. 형설출판사. 2002, 95~99pp.
(2) 식품공학. 변유량 외 14인 저. 지구문화사. 2002, 425~431pp.
(3) 식품분석학. 강국희 외 3인 저.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99, 75~81pp, 221~223pp.
(4) 일반화학실험. 화학교재연구회. 자유아카데미. 2003, 30p.
(5) 정량분석화학(Ⅰ). Daniel C. Harris 저. 이동선 역. 대웅출판사. 1999, 29p.
(6) 최신식품화학. 한명규 저. 형설출판사. 2002, 24~30pp.
(7) 표준식품분석학. 채수규 외 4인 저. 지구문화사. 1999, 619~623pp.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