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의 당악과 향악(속악)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려의 당악과 향악(속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고려의 鄕樂과 鄕樂呈才
1.1. 고려시대의 鄕樂曲
1.2. 고려의 鄕樂呈才

2. 고려의 唐樂과 唐樂呈才
2.1. 고려시대의 唐樂曲
2.2. 고려의 唐樂呈才

3. 당악정재와 향악정재의 구성 비교

본문내용

일종. 고려시대 대표적인 唐樂呈才의 하나이기도 한 壽延長은 上元에 君王에게 進酒하고 祝壽하는 내용의 춤임. 임금의 壽를 찬양한 壽延長은 『樂學軌範』·『宮中呈才舞蹈笏記』등의 문헌에 기록된 점으로 미루어 조선말기까지 전승되었으나, 현재에는 연주되지 않음. 『樂學軌範』, 卷4. 3a2-4a6.
宴大淸引子 : 唐樂呈才 壽延長에서 연주된 반주음악의 한 곡명. 이 반주곡은 壽延長 이외의 五羊仙의 반주음악으로도 사용됨. 『高麗史』, 卷71.7b2; 『樂學軌範』, 卷3.3a7 및 卷4.3a8
中腔令 : 唐樂呈才 壽延長에서 연주된 반주음악의 한 곡명. 이 곡은 조선초기에 새로 창제된 覲天庭·聖澤·六花隊·荷皇恩 같은 呈才의 반주음악으로도 사용됨. 『樂學軌範』, 卷4.14b3, 16b10, 19b11, 21b8.
破子令 : 唐樂呈才 壽延長에서 연주된 반주음악의 한 곡명. 이 반주곡은 壽延長 이외 五羊仙의 반주음악으로도 사용됨. 破子는 성종(1468∼1494) 당시 당악을 연주할 樂工取才를 위한 시험곡의 하나로도 사용됨. 『高麗史』, 卷71.8b5; 『經國大典』, 卷3.38b1.
3. 당악정재와 향악정재의 구성 비교
구 성
당 악 정 재
향 악 정 재
開場
竹竿子
두 사람이 선두로 출장
죽간자·구호·치어가 없고, 배면복흥으로 시작됨
口號
있음
致語
있음


춤을 추다가
춤을 추다가
노래
한문으로 된 노래를 부르고
우리말로 된 노래를 부르고

다시 춤을 춤
다시 춤을 춤
收場
口號
있음
구호·치어·죽간자가 없고, 면복흥퇴함
致語
있음
竹竿子
두 사람이 선두로 퇴장
【참고문헌】 송방송, 『고려음악사연구』, 일지사, 1988
  • 가격1,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04.19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36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