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龜旨歌」
Ⅱ. 「龜旨歌」와 「首露誕生說話」
⑴ 首露王 誕生 이전 시기의 모습
⑵ 駕洛國 최초의 군주 首露王 탄생
⑶ 首露王의 登極
Ⅲ. 결론
Ⅱ. 「龜旨歌」와 「首露誕生說話」
⑴ 首露王 誕生 이전 시기의 모습
⑵ 駕洛國 최초의 군주 首露王 탄생
⑶ 首露王의 登極
Ⅲ. 결론
본문내용
기 문화는 가락국에 이르러서 비로소 그 모습을 드러낸다. 김해 부근의 고분에서 철기 유물을 발굴하였는데, 무덤이 1∼3세기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이화, 『한국사 이야기』, 한길사, 1998.
또한 그 안에서 발굴된 철부라는 도구가 철을 제련하는 연장이었다는 점과 함께 발견된 무쇠 갑옷이나 철제 무기류 등을 통해서 가락국에 이르러 비로소 철기 문화가 형성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는 다르게 생각하면 철기 문화는 비단 전쟁용 갑옷이나 무기류 등을 만드는 일 뿐만 아니라 농사에 사용할 수 있는 여러 도구 등을 만들 수 있는 것을 끌어낼 수 있다.
수로왕이 강력한 정치 체제를 구축할 수 있었던 가장 큰 힘은 그가 가지고 있었던 철기 문화가 아니었을까.
이이화는 위의 저서에서 '가락국을 금관국이라고 부르는 것이나, 수로왕이 금빛 알에서 나온 것이나 성을 김씨로 삼은 것 모두 쇠와 관련지을 수 있다.'라고 하였다.
Ⅲ. 결론
고대 사회에서는 종교가 모든 것에 우선하여 신에게 제사지내는 일이 생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었다. 따라서, 종교와 관련된 일은 그 집단의 우두머리가 맡아 하였고, 그는 아울러 정치적 지도자의 역할도 겸하였다. 그러나 사회가 발달함에 따라 정치적 지도자의 구실이 커지게 되면서 정치와 종교가 분리되게 된다. 백성들은 사회가 차츰 발달함에 따라 제정 일치 사회의 지도자가 농경과 정복 등에 대해 실질적인 능력을 나타내지 못하자 강력한 새 지도자를 원하게 되고, 제정 일치 사회의 지도자가 가지고 있었던 정치권은 분리되게 된다. 분리된 제사권과 정치권은 초기에는 어느 정도 비슷한 힘을 지녔으나 후대로 갈수록 정치권이 강력해 지게 된다. 「龜旨歌」는 이러한 사회적 배경 속에서 새롭고 강력한 정치체제의 등장을 바라는 의식 혹은 제의 속에서 불리워졌던 노래였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최 호, 『三國遺事』(홍신문화사, 1991).
이이화, 『韓國史 이야기』(한길사, 1998).
김경복 外, 『이야기 伽倻史』(청아출판사, 2001).
류효양, 「龜旨歌의 발생구조와 시대적 수용」(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87).
김승찬, 「龜旨歌 考」(김학성 外,『고전시가론』, 새문사, 1995).
조헌국, 「駕洛國記의 祭儀構造 硏究」(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83).
김정숙, 「大伽倻의 성립과 발전」
김태식, 「伽倻諸國聯盟의 成立과 變遷」(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2).
이이화, 『한국사 이야기』, 한길사, 1998.
또한 그 안에서 발굴된 철부라는 도구가 철을 제련하는 연장이었다는 점과 함께 발견된 무쇠 갑옷이나 철제 무기류 등을 통해서 가락국에 이르러 비로소 철기 문화가 형성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는 다르게 생각하면 철기 문화는 비단 전쟁용 갑옷이나 무기류 등을 만드는 일 뿐만 아니라 농사에 사용할 수 있는 여러 도구 등을 만들 수 있는 것을 끌어낼 수 있다.
수로왕이 강력한 정치 체제를 구축할 수 있었던 가장 큰 힘은 그가 가지고 있었던 철기 문화가 아니었을까.
이이화는 위의 저서에서 '가락국을 금관국이라고 부르는 것이나, 수로왕이 금빛 알에서 나온 것이나 성을 김씨로 삼은 것 모두 쇠와 관련지을 수 있다.'라고 하였다.
Ⅲ. 결론
고대 사회에서는 종교가 모든 것에 우선하여 신에게 제사지내는 일이 생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었다. 따라서, 종교와 관련된 일은 그 집단의 우두머리가 맡아 하였고, 그는 아울러 정치적 지도자의 역할도 겸하였다. 그러나 사회가 발달함에 따라 정치적 지도자의 구실이 커지게 되면서 정치와 종교가 분리되게 된다. 백성들은 사회가 차츰 발달함에 따라 제정 일치 사회의 지도자가 농경과 정복 등에 대해 실질적인 능력을 나타내지 못하자 강력한 새 지도자를 원하게 되고, 제정 일치 사회의 지도자가 가지고 있었던 정치권은 분리되게 된다. 분리된 제사권과 정치권은 초기에는 어느 정도 비슷한 힘을 지녔으나 후대로 갈수록 정치권이 강력해 지게 된다. 「龜旨歌」는 이러한 사회적 배경 속에서 새롭고 강력한 정치체제의 등장을 바라는 의식 혹은 제의 속에서 불리워졌던 노래였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최 호, 『三國遺事』(홍신문화사, 1991).
이이화, 『韓國史 이야기』(한길사, 1998).
김경복 外, 『이야기 伽倻史』(청아출판사, 2001).
류효양, 「龜旨歌의 발생구조와 시대적 수용」(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87).
김승찬, 「龜旨歌 考」(김학성 外,『고전시가론』, 새문사, 1995).
조헌국, 「駕洛國記의 祭儀構造 硏究」(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83).
김정숙, 「大伽倻의 성립과 발전」
김태식, 「伽倻諸國聯盟의 成立과 變遷」(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