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적 학습과 조작적 학습에 관한 고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고전적 학습
(1)Pavlov의 실험절차
(2)고전적 조건형성의 주요개념
(3)고전적 조건형성의 학습절차 및 내용

·조작적 조건형성
(1)실험절차
(2)조작적 조건형성의 주요개념
에릭슨의 발달단계
1. 신뢰감 대 불신감
2. 자율감 대 수치심
3. 주도성 대 죄의식
4. 근면성 대 열등감
5. 정체감 대 역할혼미
6. 친밀감 대 고립감
7. 생산성 대 자기침체
8. 자아 통합감 대 절망

본문내용

못하고 무력해지고 마는 사람이 된다고 한다.
6. 친밀감 대 고립감
이 시기는 성인 초기에 해당하는 시기이다. 이 시기는 사회 참여를 필수적으로 하게 되고 자유와 책임을 가지고 스스로의 삶을 즐기기 시작하는 시기이다. 이전 단계에서는 자가 자신에 대해서만 골몰해 왔으나 이제는 직업 선택의 문제, 배우자 선택의 문제, 친구 선택 의 문제까지 연장하게 된다. 요약하면, 이 시기는 이전 단계의 자아정체감에서 타인의 정 체감을 융해시키고자 노력하는 시기이다. Erickson은 이런 융해의 과정을 통해서 타인과 의 친밀한 관계를 이룩해 나간다고 한다. 따라서, 자아정체감을 확립하지 못함 사람은 타 인과의 친밀한 관계를 이룩할 수 없다는 결론을 얻게 된다. 타인과 친밀한 관계를 가진다 는 것은 타인을 이해하고 또 자기 자신도 이해되어질 때 가능한 것이다. 이해란 정체감이 라는 말로 대신할 수 있다. 따라서 자아정체감이나 타인의 정체감을 발견할 수 없을 때 인간은 고립하여 방황하게 된다. 이러한 사람들은 형식적·피상적 수준에서만 대인관계를 맺는다.
7. 생산성 대 자기침체
이 시기는 흔히 인생의 중반기라고 볼 수 있는 시기이다. 그러므로 전 단계에서 두 사람 간에 친밀감이 확립된 사람은 그들의 주된 관심은 두 사람만의 관계를 넘어서 보다 넓은 그 밖의 타인에게까지 확대되기 시작한다. 따라서 성인후기는 자신의 문제가 아니라 다음 세대를 낳아 양육하고 교육하는 문제에 집착하는 시기이다. 이 말은 좋은 부모가 된다는 그 이상의 뜻을 내포하고 있다. 그 동안 자신이 축적해 온 희망, 가치 혹은 지혜를 다음 세대에 물려주고자 하는 의욕이라고도 말할 수 있고, 젊은이들에게 필요한 인물이 되고자 하는 의욕이라고도 할 수 있으며, 창의성과도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부모감을 성취하지 못하거나 다음 세대를 위해 무엇인가 할 수 없을 때 인간은 침체성을 느끼거나 자기 동화에 빠져 자신의 욕구와 안전만이 주요 관심사가 된다.
8. 자아 통합감 대 절망
인생의 마지막 시기인 노년기에 해당되는 이 시기는 통합성이나 절망감을 형성하는 시기 라고 했다. 신체적인 노쇠와 직업에서의 은퇴, 친구나 배우자의 사망 등이 일어나는 인생 말기이므로, 이런 사건 등이 개인으로 하여금 인생에 대한 무력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 이 시기의 성공과 실패는 다가오는 신체적 사회적 상실을 어떻게 수용하느냐에 달렸다는 것이 Erickson의 주장이다. 대부분의 개인은 노년기에 이르게 되면 자신이 살아온 생애를 뒤돌아보면서 살아온 인생의 여정을 음미하게 된다. 이런 음미과정에서 자신의 인생이 무 의미한 것이었다고 느끼면 절망에 빠지게 되지만 절망 속에서도 자신을 그럴 수밖에 없었 다고 생각하면서 나름대로 생의 의미를 찾고 책임을 부여하고 보람을 느끼게 되면 참된 삶의 지혜와 경륜을 터득하게 된다. 이런 지혜와 경륜에서 과거 7단계들을 수확하게 되어 마침내는 보다 높은 차원의 인생철학으로 전후의 자기 삶을 통합시켜 나가는 생활을 하게 된다는 것이 Erickson의 견해이다.

추천자료

  • 가격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4.24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41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