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청능훈련 목표
청능훈련 목적
목 적
청각 활용
청각 교육의 조건
1) 개인 조건
2) 가정적 조건
3) 시각적 환경
4) 물리적 환경
5) 시설 및 교구
청능훈련 방법
1) 자료
2) 음의 인식
3) 음의 변별
4) 말의 변별
5) 말의 이해 변별
청능훈련의 지도내용
1) 1단계
2) 2단계
3) 3단계
청능훈련 평가
청능훈련의 유의점
독화 지도
청능훈련 목적
목 적
청각 활용
청각 교육의 조건
1) 개인 조건
2) 가정적 조건
3) 시각적 환경
4) 물리적 환경
5) 시설 및 교구
청능훈련 방법
1) 자료
2) 음의 인식
3) 음의 변별
4) 말의 변별
5) 말의 이해 변별
청능훈련의 지도내용
1) 1단계
2) 2단계
3) 3단계
청능훈련 평가
청능훈련의 유의점
독화 지도
본문내용
마이크를 통하여 음 듣기
·환경음 주의하기 - 탈것, 문소리, 우는/웃는 소리
·보청기 착용하기
·음의 유무 판별
·음의 차이 판별
2) 2단계
·의성어, 의태어 듣고 변별
·소리 강약/대소, 장단, 빠르기, 고저 구별
·낱말 듣고 구별 - 유무, 크기, 성별에 따른 목소리 구별, 음절수 변별
3) 3단계
·복습
·문장 듣고 변별
·노래 부르기
·보청기 숙달하기
<청능훈련 평가>
1) 어음 변별 기능
2) 독립 어음의 변별: 모음 변별, 자음 변별
3) 잡음 하에서의 청각적 변별
4) 보청기 적응도
5) 발성 및 발어 능력
① 보청기 적응도
② 듣기 능력
③ 발어 능력
<청능훈련의 유의점>
① 청각장애가 발견되는 즉시 청능훈련을 실시한다.
② 청능훈련은 특정 시간에만 행하는 것이 아니고 생활 전반을 통하여 행한다.
③ 훈련의 성과를 너무 성급하게 기대해서는 안된다. 처음부터 소리에 대한 반응을 강요하지 않는 것이 좋다.
④ 아동이 예기치 못한 큰 소리를 갑작스럽게 들려주지 않도록 주의한다/
⑤ 아동의 청력의 질과 정도 및 장애의 상태에 맞추어 훈련한다.
⑥ 귀와 몸에 맞는 보청기를 착용한다.
⑦ 아동에게 가장 쾌적하고 아동이 가장 잘 들을 수 있는 음량을 확인하여 들려주는 것이 부모아 교사의 중요한 역할이다.
⑧ 청각장애아의 듣기 능력의 발달은 사람에 따라 차이가 있다. 아동의 듣기 능력의 발달 수준에 맞추어 지도 내용을 재구성하여 지도하여야 한다.
⑨ 청능훈련은 지각한 소리를 해석하고 판단하는 능력을 발달시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잔존청력이 아무리 작더라도 조기에 정상적인 훈련을 받으면 아동에 따라 다르기느 s하지만 듣고 변별할 수 있는 능력이 얼마든지 발달할 수 있다.
독화 지도
.speechreading
.말의 시각적인 정보를 통하여 화자가 말한 내용을 이해하는 시각적 정보를 통하여 화자가 말한 내용을 이해하는 시각적 기술
.고려점
① 청각장애 아동이 독화 수행은 언어와 어휘발달, 말명료성, 읽기 이해 수행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② 단어 수준에서 읽기하는 사람은 단어 수준에서 독화하도록 지도
③ 독화에서의 성공과 향상 정도는 음성 언어에 의한 의사소통을 증진시키겠다는 청각장애인의 동기와 밀접하게 관련있다.
④ 아동의 청력 상태가 좋을수록 말의 청각-시각적 성취도가 높다
⑤ 어떠한 방법들을 통해서든지 언어 능력이 향상되면 독화능력도 향상된다. 언어능력의 향상과 독화능력의 향상은 정적 관계에 있다.
·환경음 주의하기 - 탈것, 문소리, 우는/웃는 소리
·보청기 착용하기
·음의 유무 판별
·음의 차이 판별
2) 2단계
·의성어, 의태어 듣고 변별
·소리 강약/대소, 장단, 빠르기, 고저 구별
·낱말 듣고 구별 - 유무, 크기, 성별에 따른 목소리 구별, 음절수 변별
3) 3단계
·복습
·문장 듣고 변별
·노래 부르기
·보청기 숙달하기
<청능훈련 평가>
1) 어음 변별 기능
2) 독립 어음의 변별: 모음 변별, 자음 변별
3) 잡음 하에서의 청각적 변별
4) 보청기 적응도
5) 발성 및 발어 능력
① 보청기 적응도
② 듣기 능력
③ 발어 능력
<청능훈련의 유의점>
① 청각장애가 발견되는 즉시 청능훈련을 실시한다.
② 청능훈련은 특정 시간에만 행하는 것이 아니고 생활 전반을 통하여 행한다.
③ 훈련의 성과를 너무 성급하게 기대해서는 안된다. 처음부터 소리에 대한 반응을 강요하지 않는 것이 좋다.
④ 아동이 예기치 못한 큰 소리를 갑작스럽게 들려주지 않도록 주의한다/
⑤ 아동의 청력의 질과 정도 및 장애의 상태에 맞추어 훈련한다.
⑥ 귀와 몸에 맞는 보청기를 착용한다.
⑦ 아동에게 가장 쾌적하고 아동이 가장 잘 들을 수 있는 음량을 확인하여 들려주는 것이 부모아 교사의 중요한 역할이다.
⑧ 청각장애아의 듣기 능력의 발달은 사람에 따라 차이가 있다. 아동의 듣기 능력의 발달 수준에 맞추어 지도 내용을 재구성하여 지도하여야 한다.
⑨ 청능훈련은 지각한 소리를 해석하고 판단하는 능력을 발달시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잔존청력이 아무리 작더라도 조기에 정상적인 훈련을 받으면 아동에 따라 다르기느 s하지만 듣고 변별할 수 있는 능력이 얼마든지 발달할 수 있다.
독화 지도
.speechreading
.말의 시각적인 정보를 통하여 화자가 말한 내용을 이해하는 시각적 정보를 통하여 화자가 말한 내용을 이해하는 시각적 기술
.고려점
① 청각장애 아동이 독화 수행은 언어와 어휘발달, 말명료성, 읽기 이해 수행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② 단어 수준에서 읽기하는 사람은 단어 수준에서 독화하도록 지도
③ 독화에서의 성공과 향상 정도는 음성 언어에 의한 의사소통을 증진시키겠다는 청각장애인의 동기와 밀접하게 관련있다.
④ 아동의 청력 상태가 좋을수록 말의 청각-시각적 성취도가 높다
⑤ 어떠한 방법들을 통해서든지 언어 능력이 향상되면 독화능력도 향상된다. 언어능력의 향상과 독화능력의 향상은 정적 관계에 있다.
추천자료
지체 장애,시각장애, 청각장애에 대한 이해
[청각장애아조기교육] `청각장애아의 조기교육
청각장애인의 정보화를 위한 장애요인과 극복방안
장애체험보고서(청각장애)
청각장애인의 정보화 장애요인과 대응방안
청각장애 아동의 진로와 직업교육
[직업재활]장애인직업재활(직업재활정책, 직업재활서비스, 직업재활서비스전달체계)의 의의, ...
[특수교육]청각장애아 교육의 문제점과 해결책-내가 생각하는 청각장애아 교육의 문제점과 해...
청각장애인의 특성/청각장애인에 대한 영향/보청기의 속성/보청기의 종류/보청기의 기본구조/...
장애영역 탐구 프로젝트(청각장애, 지체장애, 정신지체)
장애인(청각장애), 수화를 다룬 영화 <시크릿러브> 영화감상문
장애인복지 프로포절, 청각장애청소년 학습능력증진과 사회성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장애아동(지체부자유 아동, 시각장애 아동, 청각장애 아동)
특수아교육=청각장애, 지체 및 건강장애의 개념, 원인, 특성, 판별 및 평가 방법, 교육방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