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과 음악 및 미술 교과의 학업성취 평가 방향 탐색을 위한 고려사항에 관하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현실 결정력을 가지는 평가의 변화는 현실과 이론이 동시에 고려되어야 한다.

2. 현실문제해결중심 대안은 교과의 본질추구 위해 가능성이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3. 각 교과의 본질을 추구하기 위한 평가의 방향 설정을 위한 몇 가지 질문

4. 교과의 학업성취평가의 발달수준이 곧 교과교육의 수준을 가늠할 수 있다.

참고문헌

본문내용

세밀하고 평가결과가 다양한 점수로 주어진다고 해서 평가가 발달했다고 할 수는 없다. 어디까지나 그러한 평가준거의 구조와 평가결과의 다양성은 위에서 거론된 타당성이 전제되어야 한다. 그렇다면 어느 수준의 정교성이나 다양성이 가장 타당할 것인가? 이 질문에 대한 절대적 답을 찾기는 불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서로 경합하는 실제 대안들이 있을 때, 관련 전문가들이 담론을 통하여 그 대안들 중 어느 것이 타당한 동시에 더 발전적일 것인가에 대한 결론을 내리는 것이 쉽지는 않더라도 항상 가능하다고 본다.
참고문헌
O'Conner, M. C. (1992). Rethinking aptitude, achievement, and instruction: Cognitive science research and the framing of assessment policy. in Gifford, B. R. & O'Connor, M. C. (Ed). Changing assessments. London: Kluwer Academic Pub.
박도순(1991).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구조와 의미. 대학교육적성검사의 발전방향, 한국교육학회 교육평가연구회 제8차 학술발표자료, 63-75.

키워드

  • 가격7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5.04.26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44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