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언
2. 바울의 첫 체험 - 회심인가 소명인가
3. 장벽 설치 수단으로서의 율법 비판
4. 언약 공동체 가입 통로로서의 믿음 주장
5. 결 어
2. 바울의 첫 체험 - 회심인가 소명인가
3. 장벽 설치 수단으로서의 율법 비판
4. 언약 공동체 가입 통로로서의 믿음 주장
5. 결 어
본문내용
9.25-26;30.6;31.31-34;신10.16등)고 보았기 때문이며 3)바울이 강력히 제기한 신앙인의도 유대로부터의 분리를 위한 것이 아니고 유대교 내의 갱신운동의 측면이 강하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서중석 교수의 주장은 바울의 입장을 사회적 정황속에서 적절히 파악하였다고 할 수 있다. 회심과 소명의 연관성의 측면에 대한 논의 전개에 대한 아쉬움이 있지만, 바울의 입장에서 유대교를 어떻게 생각하였을까? 그리고 유대교에서 자신을 어떻게 바라보기를 원했을까?의 측면에서 보면 타당한 결론이라고 보여진다. 그러면 유대교에서 바울을 어떻게 취급했을까? 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도 당시 시대적 정황속에서 바울에 대한 분리를 생각할 정도로 문제의 심각성은 제기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서중석 교수의 주장은 바울의 입장을 사회적 정황속에서 적절히 파악하였다고 할 수 있다. 회심과 소명의 연관성의 측면에 대한 논의 전개에 대한 아쉬움이 있지만, 바울의 입장에서 유대교를 어떻게 생각하였을까? 그리고 유대교에서 자신을 어떻게 바라보기를 원했을까?의 측면에서 보면 타당한 결론이라고 보여진다. 그러면 유대교에서 바울을 어떻게 취급했을까? 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도 당시 시대적 정황속에서 바울에 대한 분리를 생각할 정도로 문제의 심각성은 제기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