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제목
2. 실험 목적
3. 관련이론
4. 실험 기기 및 재료
5. 실험방법
2. 실험 목적
3. 관련이론
4. 실험 기기 및 재료
5. 실험방법
본문내용
변조에 대한 수식.
즉, 주파수 변조와 위상 변조의 피 변조파 에서 차이는 캐리어 신호의 각 성분에 데이터 신호가 그대로 포함 되냐 아니면 적분되어서 포함 되냐의 차이라고 할 수 있다.
<구형파와 사인파의 데이터 신호에 대한 피 변조파의 결과>
각 데이터 신호에 대한 변조 결과를 보면, FM 신호는 데이터 신호의 진폭이 클 때 높은 주파수가 되고, PM 신호는 데이터 신호를 한번 미분한 값이 클 때, 즉, 데이터 신호의 기울기가 큰 값을 갖는 부분에서 높은 주파수가 됨을 볼 수 있다.
<각 변조를 위한 상호 관계의 블록 다이어그램>
즉, 위상 변조 신호는 데이터 신호를 한 번 미분해서 주파수 변조를 해서 얻을 수 있고, 주파수 변조 신호는 한 번 미분한 데이터 신호를 위상변조해서 얻을 수 있다.
4. 실험 기기 및 재료 : FM / PM Modulator 1set, FM/PM DeModulator 1set
전원공급기, 오실로스코프, 신호발생기
5. 실험방법
(1) FM / PM Modulator
1) +15V 단자에 +10V, -15V 단자에 -10V의 전원을 연결한다.
2) 오실로스코프로 FM / PM 출력신호를 확인한다.
3) 주파수 변조 스위치를 조작하여 FM/ PM 출력신호의 변화를 확인한다.
(2) FM / PM DeModulator
1) +15V 단자에 +10V, -15V 단자에 -10V의 전원을 연결한다.
2) 입력에 FM/ PM 의 출력신호를 입력신호로 연결한다.
3) 각각의 단자에서 신호를 오실로스코프로 확인한다.
4) 시정수( ) 스위치를 조작하여 오실로스코프로 신호를 확인한다.
즉, 주파수 변조와 위상 변조의 피 변조파 에서 차이는 캐리어 신호의 각 성분에 데이터 신호가 그대로 포함 되냐 아니면 적분되어서 포함 되냐의 차이라고 할 수 있다.
<구형파와 사인파의 데이터 신호에 대한 피 변조파의 결과>
각 데이터 신호에 대한 변조 결과를 보면, FM 신호는 데이터 신호의 진폭이 클 때 높은 주파수가 되고, PM 신호는 데이터 신호를 한번 미분한 값이 클 때, 즉, 데이터 신호의 기울기가 큰 값을 갖는 부분에서 높은 주파수가 됨을 볼 수 있다.
<각 변조를 위한 상호 관계의 블록 다이어그램>
즉, 위상 변조 신호는 데이터 신호를 한 번 미분해서 주파수 변조를 해서 얻을 수 있고, 주파수 변조 신호는 한 번 미분한 데이터 신호를 위상변조해서 얻을 수 있다.
4. 실험 기기 및 재료 : FM / PM Modulator 1set, FM/PM DeModulator 1set
전원공급기, 오실로스코프, 신호발생기
5. 실험방법
(1) FM / PM Modulator
1) +15V 단자에 +10V, -15V 단자에 -10V의 전원을 연결한다.
2) 오실로스코프로 FM / PM 출력신호를 확인한다.
3) 주파수 변조 스위치를 조작하여 FM/ PM 출력신호의 변화를 확인한다.
(2) FM / PM DeModulator
1) +15V 단자에 +10V, -15V 단자에 -10V의 전원을 연결한다.
2) 입력에 FM/ PM 의 출력신호를 입력신호로 연결한다.
3) 각각의 단자에서 신호를 오실로스코프로 확인한다.
4) 시정수( ) 스위치를 조작하여 오실로스코프로 신호를 확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