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2강 농아인의 이해
=>청각장애란
1.농과 언어 발달
가. 일차 언어의 획득
1)일차언어로서의 자연적 수화
2)일차 언어로서의 방법적 수화
● 일차언어로서의 방법적 수화
3)일차언어로의 구화중심 커뮤니케이션
2. 이차 언어로서 문자 언어의 획득
1) 읽기 능력
2) 쓰기 능력
3.농과 언어 발달
●사고와 농의 상호 관계
●농아인의 측정된 지능
1)농아인은 일반인에 비해 지적으로 열악하다는 입장
2)양적으로는 동일하나 질적으로 차이를 나타낸다는 입장
3)농아는 지적으로 정상이라는 입장
4. 농과 사회 정서 발달
가) 에릭슨의 발달 단계론과 농아인의 사회 정서 문제
첫째 단계 : 기본적 신뢰 대 불신
둘째 단계 : 자율성 대 수치성과 의심
셋째 단계 : 주도성 대 죄의식
넷째 단계 : 근면성 대 열등감
다섯째 단계 : 정체감 대 역할혼돈
여섯째 단계 : 친밀감 대 고립감
일곱째 단계 : 생산성 대 자기 침체
여덟째 단계 : 자아통정(조절)대 절망
나) 농아인의 행동 문제
5. 농세계와 농문화
=>청각장애란
1.농과 언어 발달
가. 일차 언어의 획득
1)일차언어로서의 자연적 수화
2)일차 언어로서의 방법적 수화
● 일차언어로서의 방법적 수화
3)일차언어로의 구화중심 커뮤니케이션
2. 이차 언어로서 문자 언어의 획득
1) 읽기 능력
2) 쓰기 능력
3.농과 언어 발달
●사고와 농의 상호 관계
●농아인의 측정된 지능
1)농아인은 일반인에 비해 지적으로 열악하다는 입장
2)양적으로는 동일하나 질적으로 차이를 나타낸다는 입장
3)농아는 지적으로 정상이라는 입장
4. 농과 사회 정서 발달
가) 에릭슨의 발달 단계론과 농아인의 사회 정서 문제
첫째 단계 : 기본적 신뢰 대 불신
둘째 단계 : 자율성 대 수치성과 의심
셋째 단계 : 주도성 대 죄의식
넷째 단계 : 근면성 대 열등감
다섯째 단계 : 정체감 대 역할혼돈
여섯째 단계 : 친밀감 대 고립감
일곱째 단계 : 생산성 대 자기 침체
여덟째 단계 : 자아통정(조절)대 절망
나) 농아인의 행동 문제
5. 농세계와 농문화
본문내용
농아인을 위한 국립대학교인Gallaudet University의 총장을 농아인 킹죠던박사가 취임한 예가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어떤가? 그렇지 못한 것이 현실이고 그 중요한 원인은 농아인의 사회적 지위 향상을 가로막는 장벽은 다름 아닌 일반인의 농아인에 대한 고질화된 부정적 편견이다. 여기에서 농아인들의 지위와 문화적 정체성이 어떻게 확립될 수 있는가 하는 것은 농아인 자신들의 부단한 노력도 중요하지만, 동시에 일반인들의 농아인에 대한 편견의 불식이 또한 퍽 중요하다. 우리나라에서 농아인들의 문화적 정체성은 그들의 종교활동 참여를 통해서 잘 드러자고 있다. 농아인들의 종교 생활은 그 자체가 농아인과 세상을 이어주는 통로가 되어 또 하나의 문화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농아인에 대해서 많은 것들을 알게 되었고 그들을 대할 때 우리가 어떻게 해야 할지 알 수 있다. 또한 농아동을 자식으로 둔 부모님의 교육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었다. 아무리 농아인으로 태어나더라도 부모님이 어떻게 해주느냐가 그 아이의 성격과 모든 것들을 결정 할 수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농아인들을 대할 때 이 부모들의 심정으로 그들을 대하고 정말 진정한 친구가 되어 주고 싶다.
농아인에 대해서 많은 것들을 알게 되었고 그들을 대할 때 우리가 어떻게 해야 할지 알 수 있다. 또한 농아동을 자식으로 둔 부모님의 교육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었다. 아무리 농아인으로 태어나더라도 부모님이 어떻게 해주느냐가 그 아이의 성격과 모든 것들을 결정 할 수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농아인들을 대할 때 이 부모들의 심정으로 그들을 대하고 정말 진정한 친구가 되어 주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