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사랑만 있고 남을 생각하지 않는 현대인의 소외상태를 말하는 할 수 있겠다. 마지막 명령인 "자제하라"에 대한 대답은 자제하지 않고 쾌락에 열중하고 있는 모습이 제시된다. 작가는 자신을 살펴볼 때, 세 가지 명령 중의 어느 한 가지도 지키지 못하는 상태임을 인식하며 현실을 황무지의 상태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비가 내리지 않을 것임을 깨닫는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보면 천둥의 명령이 주어졌고 인간이 이 명령을 지키기만 한다면 황무지가 구원될 수 있으므로 그는 구원에로 상당히 접근했다 할 수있다.
이처럼 천둥의 명령에 대한 대답을 통하여 작가가 자신의 현재의 처지를 다시 한 번 생강한 후 많은 인용으로 구성된 마지막 부분으로 이 작품은 끝난다. 아직도 구원의 비가 내리지 않았기 때문에 작가의 등 뒤에는 황무지가 펼쳐져 있고, 그는 낚시질을 하고 있다. 그가 기다리고 있는 비는 황무지의 재생을 가져올 수 있는 비로 이 작품의 서두에 나온 4월의 잔인한 비와는 종류가 다르다. 그가 "하다못해 내 땅이라도 정리해 볼거나" 라고 말하며 죽음의 세계로 들어가려 하는 것은 그가 진정한 삶을 위한 낚시질을 하려는 것을 나타낸다. 런던교가 무너지는 것은 개인적인 절망의 경험이며, 정신적 재생을 준비하도록 한다. 또한 단테로부터 인용한 구절은 기독교뿐만 아니라 불교와 힌두교의 금욕주의라는 주제에 초점을 맞춘다. 우파니샤드(원뜻은 사제간에 ‘가까이 앉음’이라는 의미에서,그 사이에 전수되는 신비한 가르침’도 의미하게 되었으며 인도라는 정신적인공간 안에서 과거 수천여년 동안 사람들의 철학과 종교와 삶의 대부분을 지배함)를 끝맺는 말인 "샨티"라는 말로 끝나는 것은 궁극적인 축복의 상태를 지향하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다시 말하여 엘리엇은 이 말로써 현대의 황무지의 구원의 방향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샨티"라는 마지막 부분은 도덕적, 영적인 면에서 우파니사드와 별로 유사점이 없는 이 시편에 사용하기에는 이상한 부분이지만,아마도 엘리엇은 이 말로써 이상적인 해결을 지향하는 것이 아닌가 싶다.
여지껏 부려 433행에 이르는 너무나 벅찬 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다.
이 정도 분량의 시를 읽고 이해하며 이 난해한 내용을 종합적으로 분석해야 했으므로 3일 밤, 낮은 나에게 너무나 고통스러운 시간들이었다.
하지만 레포트를 완성한 이 시점에서 뭔지 모를 뿌듯함과 엘리엇이 여지것 말한 해탈..즉 자유로움을 느낀다.^^;
Waste Land를 한마디로 어떤 시다 라고 결론 지을 수는 없지만 우리가 살고 있는 현대 사회에 비춰볼 때 현대인들의 척박함과 사회의 부패는 예나 지금이나 계속되어 오고 있는 것 같다. 엘리엇의 구원의 희망처럼 현대의 황무지도 하루속히 구원되어 이상적인 사회로 발전해 나갔으면 하는 바램이다.
- THE END -
* 참고 문헌
1>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 문학교육 사이트 http://www.seelotus.com에서 인용
2> ‘연호정과 추억만들기’ 사이트 http://www.spoem.com 중에서 ‘최희섭(전주대 영문학과교수)’의 글 인용
이처럼 천둥의 명령에 대한 대답을 통하여 작가가 자신의 현재의 처지를 다시 한 번 생강한 후 많은 인용으로 구성된 마지막 부분으로 이 작품은 끝난다. 아직도 구원의 비가 내리지 않았기 때문에 작가의 등 뒤에는 황무지가 펼쳐져 있고, 그는 낚시질을 하고 있다. 그가 기다리고 있는 비는 황무지의 재생을 가져올 수 있는 비로 이 작품의 서두에 나온 4월의 잔인한 비와는 종류가 다르다. 그가 "하다못해 내 땅이라도 정리해 볼거나" 라고 말하며 죽음의 세계로 들어가려 하는 것은 그가 진정한 삶을 위한 낚시질을 하려는 것을 나타낸다. 런던교가 무너지는 것은 개인적인 절망의 경험이며, 정신적 재생을 준비하도록 한다. 또한 단테로부터 인용한 구절은 기독교뿐만 아니라 불교와 힌두교의 금욕주의라는 주제에 초점을 맞춘다. 우파니샤드(원뜻은 사제간에 ‘가까이 앉음’이라는 의미에서,그 사이에 전수되는 신비한 가르침’도 의미하게 되었으며 인도라는 정신적인공간 안에서 과거 수천여년 동안 사람들의 철학과 종교와 삶의 대부분을 지배함)를 끝맺는 말인 "샨티"라는 말로 끝나는 것은 궁극적인 축복의 상태를 지향하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다시 말하여 엘리엇은 이 말로써 현대의 황무지의 구원의 방향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샨티"라는 마지막 부분은 도덕적, 영적인 면에서 우파니사드와 별로 유사점이 없는 이 시편에 사용하기에는 이상한 부분이지만,아마도 엘리엇은 이 말로써 이상적인 해결을 지향하는 것이 아닌가 싶다.
여지껏 부려 433행에 이르는 너무나 벅찬 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다.
이 정도 분량의 시를 읽고 이해하며 이 난해한 내용을 종합적으로 분석해야 했으므로 3일 밤, 낮은 나에게 너무나 고통스러운 시간들이었다.
하지만 레포트를 완성한 이 시점에서 뭔지 모를 뿌듯함과 엘리엇이 여지것 말한 해탈..즉 자유로움을 느낀다.^^;
Waste Land를 한마디로 어떤 시다 라고 결론 지을 수는 없지만 우리가 살고 있는 현대 사회에 비춰볼 때 현대인들의 척박함과 사회의 부패는 예나 지금이나 계속되어 오고 있는 것 같다. 엘리엇의 구원의 희망처럼 현대의 황무지도 하루속히 구원되어 이상적인 사회로 발전해 나갔으면 하는 바램이다.
- THE END -
* 참고 문헌
1>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 문학교육 사이트 http://www.seelotus.com에서 인용
2> ‘연호정과 추억만들기’ 사이트 http://www.spoem.com 중에서 ‘최희섭(전주대 영문학과교수)’의 글 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