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권시대, 지역 거버넌스의 현실과 잠재력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분권시대, 지역 거버넌스의 현실과 잠재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분권과 거버넌스, 낯익은 주제?
2. 지방분권의 배경과 최근 흐름
3. 지역 거버넌스의 현실
4. 지역 거버넌스의 유형과 잠재적 방향
5. 다시 분권으로, 지역으로

본문내용

.
우리가 지향하는 지방분권과 지역 거버넌스를, 어떤 실체로서 민주화라는 보석함에 들어 있는 '잘 엮인 구슬목걸이'로 여기면 좋겠다. 구슬 하나하나가 다층적이고 다양한 정부체계와 시장의 많은 구성원들 그리고 시민사회를 만들고 이끌어 가는 주체들로서, 각각의 탄생배경과 진화과정은 비록 다르지만 하나도 버릴 수가 없다. 옆에 있는 구슬, 그것이 다른 자치단체이든 시민사회든 기업이든, 합리적 경쟁과 함께 겸허한 마음으로 협력하고 배울 때 목걸이 전체가 골고루 다듬어지면서 오래도록 빛날 것이다.
참고문헌
건설교통부. (2002) 2001년도 국토이용에 관한 연차보고서.
경상북도. (2003). 경상북도의 지방분권 추진방향. 3.22 한국정부학회 포럼 발표자료.
곽진영. (2004) 미국사회에서의 로컬 거버넌스 사례: 파트너십과 네트워킹을 중심으로. 21세기 미국의 거버넌스. 서울대 미국학연구소/미래인력연구원 공편. 서울대학교 출판부.
김병준. (2003) 한국지방자치론 - 지방정치, 자치행정, 자치경영. 서울: 법문사.
김석준. (2002) 거버넌스의 분석틀: 21세기 한국사회와 정치의 뉴 거버넌스 모색, 김석준ㆍ곽진영 외. (2002) 거버넌스의 정치학. 서울 : 법문사.
김석태. (2004) 광역시·도 통합론 비판과 그 대안으로서 광역거버넌스의 가능성. 한국정부학회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 8.25(경북 경산)
김형기. (2004) 지방분권시대, 분권ㆍ자치ㆍ혁신을 위한 지역시민사회의 역할. 지방분권화시대의 지역시민사회 활성화 방안. 6.9 중앙일보ㆍ시민사회포럼 공동정책 세미나 기조강연.
대구광역시. (2003) 대구광역시의 지방분권 추진방향. 한국정부학회 포럼 발표자료.
문병기. (2003) 로컬 거버넌스 관련 제 이론적 접근, 이은구ㆍ원구환 외. (2003) 로컬 거버넌스 (제1장). 서울: 법문사
서창록ㆍ이연호ㆍ곽진영. (2002) 거버넌스의 개념: 거버넌스의 개념과 쟁점에 관한 소고, 김석준 외 (2002) 거버넌스의 정치학. 서울: 법문사.
원구환. (2003) 로컬 거버넌스의 등장과 발전, 이은구ㆍ원구환 외. (2003) 로컬 거버넌스 (제1장). 서울 : 법문사.
유영국. (2004) 국가 민주화와 지방권력의 보수화: 부산지역의 경우. 2004년 민주연구단체협의모임 학술심포지움 proceedings 『지역민주화와 지역권력, 지역운동』 : 31~46.
이극찬. (1986) 정치학. 서울: 법문사.
이달곤. (2004) 지방정부론. 서울: 박영사.
이종수. (2002) 지방정부이론 - 이론화를 위한 비교론적 분석. 서울: 박영사.
전국 시장ㆍ군수ㆍ구청장협의회. (2004) 지방분권시대가 열린다 - 지방살리기 3대 특별법의 주요 내용 및 향후 과제. 2004. 1.
전종섭. (2000) 시민사회의 뉴거버넌스: 행정책임성의 변화. 김영섭 외, 위대한 사회를 향하여. 서울: 법문사 (361~385)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2003) 참여정부 지방분권의 비전과 추진방향. 5.22
정정길ㆍ최종원ㆍ이시원ㆍ정준금. (2003) 정책학원론. 서울: 대명출판사.
최장집. (2002)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한국 민주주의의 보수적 기원과 위기. 폴리테이아 총서 1. 서울: 후마니타스.
한국지방자치학회. (2000) 한국지방자치론(제 3판). 서울 : 삼영사.
Etzioni, Amitai. (1968) The active society: a theory of societal and political processes. London: Collier-Macmillan; New York: Free Press.
Hirst, P. (2000) Democracy and Governance. Jon Pierre, ed., Debating Governance. Oxfored University Press.(곽진영(2004)에서 재인용)
Langrod, G. (1985) Local Government and Democracy. Korean Association for Public Administration.(ed.) Selected Readings in Public Administration(II). Seoul: Da San Publishing.(유영국(2004)에서 재인용)
Logan, John & Harvey Molotch. (1987) Urban Fortunes: The Political Economy of Place. Berkeley & L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Nam, Won Joon & Heung Suk Choi. (2004) The Citizen-oriented "e-Government Portal System" in Gangnam. 26th International Congress of Administrative Sciences. July 14-18. Seoul, Korea.(별쇄본 발표자료)
Rosenau, James. (1995) Governance, Order and Change in World Politics. James Rose & Ernst-Otto Czempiel(ed.) Governance without Government. Cambridge University. 1995.
Stoker, Gerry. (2003) Transforming Local Governance: From Thatcherism to New Labour. NY: Palgrave.
SUNY at Buffalo. (1996) Governance in Erie County: A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and Action. The Governance Project Reports and Papers. (문병기(2003)에서 재인용)
Wells, Lloyd P. & Larry Lommel. (1998) Recreating Democracy: Breathing New Life Into American Communities. Woolwich, Maine: Center for Consensual Democracy.(문병기(2003)에서 재인용)

키워드

  • 가격2,5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5.05.31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95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