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속의 향로(문화재로 등록된 향로)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역사속의 향로(문화재로 등록된 향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962.12.20
소재지
경남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산31-2 표충사
시 대
고려 명종
소유자
표충사
관리자
표충사
향완이란 절에서 마음의 때를 씻어준다는 향을 피우는데 사용하는 도구로서 향로라고도 부른다. 경상남도 밀양 표충사에 있는 청동 향완은 높이 27.5㎝, 아가리 지름 26.1㎝의 크기이다. 향완에 무늬를 새기고 그 틈에 은실을 박아서 장식한 은입사(銀入絲) 기술이 매우 세련된 작품이다.
향완의 형태는 주둥이 부분에 넓은 전이 달린 몸체와 나팔모양의 받침을 갖춘 모양으로, 고려시대의 전형적인 양식을 나타내고 있다. 전과 몸체가 닿는 부분을 둥글게 처리하고 받침 둘레의 가장자리에 얕은 턱을 만들어 안정감을 주었다. 높이나 너비의 비율도 거의 1:1을 이룸으로써 균형잡힌 비례감각을 보여주고 있다. 넓은 전 윗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있는 6개의 원 안에 ‘범(梵)’자를 은입사하였으며, 그 사이사이에 구름무늬를 장식하였다. 몸체에도 역시 굵고 가는 여러 선으로 원 안에 굵게 은입사한 ‘범(梵)’자가 4곳에 배치되어 있다. 받침에는 구름과 용무늬를 장식하였는데, 굵고 가는 선을 이용하여 능숙하게 표현된 용의 모습에서 고려시대 뛰어난 은입사기법을 보여주고 있다.
넓은 전의 안쪽 면에는 57자의 은입사로 된 글자가 있는데 내용으로 미루어 명종 7년(1177)에 제작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는 국내에 남아있는 향완으로는 가장 오래된 것으로, 시대를 구분하는 자료로서 큰 가치를 지닌다. 뿐만 아니라 받침 안쪽에 새겨진 글을 보면 원래 이 향완이 있었던 곳이 현재의 표충사가 아닌 창녕 용흥사였음을 알 수 있는데, 어떻게 해서 표충사에 전래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지정4년명고려청동루은향로
종 목
보물 321호
명 칭
지정4년명고려청동루은향로
(至正四年銘高麗靑銅縷銀香爐)
분 류
불구류
수 량
1점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서울 강남구 삼성동 115 (동국대박물관 보관)
시 대
고려 충혜왕<재>
소유자
봉은사
관리자
동국대학교박물관
향로란 절에서 마음의 때를 말끔하게 씻어주는 의미를 지닌, 향을 피우는데 사용하는 기구를 총칭하는 말로 화완, 향완이라고도 한다. 향로는 모양에 관계없이 향을 피우는 도구를 총칭하는 말이고, 화완·향완은 밥 그릇 모양의 몸체에 나팔 모양의 높은 받침대를 갖춘 향로만을 말한다.
이 향로는 높이 37㎝, 지름 51㎝로 금강산 표훈사장향로 다음가는 큰 작품이다. 몸통 표면 전체에 가는 은실로 무늬가 상감되어 있다. 입에 있는 넓은 테인 전의 표면에는 연꽃 덩굴무늬가 있고, 가장자리 면에는 번개무늬가 있다. 몸통 중앙에 서로 마주보는 4곳에 이중의 원을 돌리고, 안에는 굵게 한자씩 범자를 새기고, 밖으로 꽃무늬가 돌려 있다. 그 사이의 공간에는 화려한 덩굴무늬가 장식되어 있으며, 몸통 아래에 두 줄기 윤곽선으로 된 긴 연꽃잎이 돌려있다.
굽은 2단으로 되어 있고 연꽃·덩굴무늬와 구슬을 이어놓은 무늬가 있다. 굽의 윗부분에 굵은 선을 곁들인 두 선으로 테두리를 잡은 연꽃잎이 있고, 그 아래에 덩굴무늬가 있다. 외형은 좋은 비례를 보일 뿐 아니라 표면에 가득찬 무늬는 우아하며, 은실을 상감하는 방법도 세련되었다.
입 주변 전의 뒷면에 있는 103자의 글씨 역시 은실로 만들어 졌는데, ‘지정사년’이란 글이 있어, 고려 충혜왕 5년(1334)에 만든 작품이다.
통도사은입사동제향로
종 목
보물 334호
명 칭
통도사은입사동제향로
(通度寺銀入絲銅製香爐)
분 류
불구류
수 량
1점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583 통도사
시 대
고려시대
소유자
통도사
관리자
범하스님
향로란 절에서 마음의 때를 씻어준다는 의미를 지닌 향을 피우는데 사용하는 기구를 총칭하는 말로 화완, 향완이라고도 한다. 향로는 모양에 관계없이 향을 피우는 도구를 총칭하는 말이고, 화완·향완은 밥 그릇 모양의 몸체에 나팔모양의 높은 받침대를 갖춘 향로만을 말한다.
높이 33㎝, 입지름 30㎝, 받침대 지름 24.7㎝인 이 향로의 전체는 굵고 가는 은·금실을 이용하여 연꽃무늬, 덩굴무늬, 봉황, 구름무늬로 가득차게 새겼다. 몸통 중앙 네 곳에 원을 두르고 그 주위에 꽃무늬가 있다. 현재 원 안에 범자를 찍은 둥근 주석판을 4개의 못으로 고정시켰는데, 이것은 나중에 보수한 것이다. 원 사이 공간은 덩굴무늬가 새겨 있으며, 몸통 아래에는 연꽃무늬가 돌아가며 새겨져 있다.
특히 몸통의 덩굴무늬 사이를 은판으로 채운 것은 이 향로의 두드러진 특징이다. 받침대는 3단으로 되어 있으며 윗쪽은 연꽃무늬, 아래쪽은 덩굴무늬, 중앙은 넓은 공간에 구름문과 봉황이 굵고 가는 선으로 배치되어 있다.
입 주위의 넓은 테인 전의 일부가 약간 휘어진 것이 흠이지만, 외형상 새긴 무늬가 매우 정교하고 세련된 것으로 보아, 고려 전기 작품으로 볼 수 있다.
청동은입사포류수금문향완
종 목
보물 778호
명 칭
청동은입사포류수금문향완
(靑銅銀入絲蒲柳水禽文香완)
분 류
불구류
수 량
1점
지정일
1984.08.06
소재지
경기 용인시 (호암미술관)
시 대
고려시대 후기
소유자
삼성문화재단
관리자
호암미술관
향완이란 절에서 마음의 때를 씻어주는 의미를 지닌 향을 피우는데 사용하는 기구를 말하는 것으로 향로, 화완이라고도 한다.
이 향완은 전면에 은입사되어 있고 크기는 높이 30.4㎝, 입지름 27.5㎝, 밑지름 22.3㎝이다. 은입사 기법은 청동의 표면에 홈을 파서 가는 은선을 넣어 무늬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러한 기법으로 장식하는 것은 고려시대의 향완 및 금속기에서 많이 보이는 특징이다.
향로 몸체에는 버드나무 아래에 물오리가 있는 포류수금문이 새겨 있다. 또한 연꽃무늬를 갖춘 위패형의 장식이 있고, 그 안에 5행 34자의 글이 입사 기법으로 새겼다. 그러나 그 내용에서 향완의 제작 시기를 알 수는 없다. 향로 받침대 위쪽에는 연꽃무늬가 있고, 나팔 모양의 받침대에는 덩굴무늬가 있으며, 바닥 부분에는 구름무늬가 새겨 있다.
포류수금문은 상감청자나 금속으로 된 정병류에서 주로 사용된 문양으로, 당시 만들어진 향완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무늬로 이 향완의 가치를 알 수 있게 해준다.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5.06.03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01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