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공자의 시경관
2. 공자의 산시설이란?
3. 산시설의 찬성
4. 산시설의 반대
5. 결론
2. 공자의 산시설이란?
3. 산시설의 찬성
4. 산시설의 반대
5. 결론
본문내용
일시(逸詩)는 시경과 같은 시대에 읊어진 고시로서 지금 전하는 시경(詩經)에서 빠진 것. -좌전
⑤기타 제자서
-->기타 제자서에도 시경을 시 삼백이라고 칭하였다.
--<순자><묵자><장자>에서도 볼 수 있다.
5, 결론
공자는 음악을 좋아하고 통달한 사람으로 시 삼백에 관심을 쏟아 여기에 정리를 가한 것이다. 공자는 음악의 정리와 함께 지금 전하는 시경의 편차에 어느 정도 관여하였다고 보는 것이 옳을 듯하다. 이와 같은 공자의 시에 대한 관심과 공부가 결국 후인으로 하여금 산시의 죄인으로 오인 받게 된 원인이라 할 수 있다.
공자가 전적으로 그 많은 시들을 산시(선별하고)하고 산수(가다듬었다)했다고는 볼 수 없지만 현재의 시경에 수록된 시들 중 많은 부분은 공자의 손길이 닿은 것으로 보여 진다.
⑤기타 제자서
-->기타 제자서에도 시경을 시 삼백이라고 칭하였다.
--<순자><묵자><장자>에서도 볼 수 있다.
5, 결론
공자는 음악을 좋아하고 통달한 사람으로 시 삼백에 관심을 쏟아 여기에 정리를 가한 것이다. 공자는 음악의 정리와 함께 지금 전하는 시경의 편차에 어느 정도 관여하였다고 보는 것이 옳을 듯하다. 이와 같은 공자의 시에 대한 관심과 공부가 결국 후인으로 하여금 산시의 죄인으로 오인 받게 된 원인이라 할 수 있다.
공자가 전적으로 그 많은 시들을 산시(선별하고)하고 산수(가다듬었다)했다고는 볼 수 없지만 현재의 시경에 수록된 시들 중 많은 부분은 공자의 손길이 닿은 것으로 보여 진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