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70)> 등의 저서로 집약된다. <우리말본>은 주시경 이래의 문법연구를 계승, 발전시켜 20세기 전반기 문법연구를 집대성한 것으로 한글 전용, 한글가로쓰기운동, 한글 풀어쓰기 실험, 한글맞춤법 통일안 제정, <우리말 큰사전> 편찬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그 밖에 <페스탈로치의 교육사상(1927)>, <나라 건지는 교육(1963)>, <조선민족 갱생의 도(道)(1930)>, <나라 사랑의 길(1958)> 등이 있다. 55년 제 1회 학술원공로상, 62년 건국공로훈장 단장, 67년 5·16민족상 본상을 받았으며, 70년 국민훈장 무궁화장이 추서되었다.
● 1972년 6월 7일
문화 교육부.
교육용 기초한자 1,781자 선정 발표.
● 1972년 8월 16일
문화 교육부.
중학교 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 선정.
● 1974년 7월 11일
문화 교육부.
문화 교육부 민관식 장관은 '교과서 한자 병용 방침' 발표.
● 1976년 9월 22일
문화 교육부.
초등학교 한자교육 부활 않기로 발표.
● 1988년 1월 19일
문화 교육부.
새로운 한글맞춤법 및 표준어 널리 알림.
● 1988년 2월 17일
남극 과학기지인 세종 기지 준공.
● 1989년 3월 1일
문교부 고시 제 88-1호
문화 교육부 주관으로 1988년 1월 19일에 일반인에게 알리고 '한글 맞춤법'을 시행.
● 1989년 6월 21일
유네스코.
문명퇴치 공로상인 <세종 대왕상> 만듦.
● 1990년 8월 24일
국무회의, 공휴일 변경 의결, 한글날을 국경일에서 빼기로 의결.
● 1990년 11월 1일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제 13155호.
1991년 1월 1일 부터 한글날을 국경일에서 빼기로 함.
● 1990년 12월 27일
대법원, 인명용 한자로 2,731자만 이름에 쓰도록 결정. 1991년 4월 1일부터 실시.
● 1992년 6월 17일
남북한, 프랑스에서 기계화 위한 한글의 로마자표기법 통일안에 합의.
● 1993년 2월
옥외 광고물 관리법 중 한글쓰기 규정. (9월 25일부터 시행)
모든 옥외 광고물의 문자는 한글 맞춤법, 국어 로마자 표기법,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한글로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부득이한 경우 외국어를 쓰게 될 때는 한글과 함께 씀. 그리고 이를 지키지 않을 때는 영업정지 또는 고발하도록 대통령 시행령 13조 발표.
● 1995년 3월 7일
한글 운동가이자 한글 기계화의 선구자 공병우 박사 세상 떠남. 안과 의사,·한글 기계화 운동가,·사진작가로 활동. 평안북도 벽동 출생. 1926년 조선의사 검정시험에 합격, 36년 일본 나고야 대학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38년에는 공안과 병원장에 취임 하였다. 이후 한글타자기 개발에 전념하였으며, 공병우식 국문타자기를 발명하였다. 69년에는 공병우타자기 연구소장에 취임하여 맹인점자 타자기·한영겸용타자기를 개발하였고, 70년대에는 한글 네벌식 글자판 반대투쟁에 앞장서 박정권에 고초를 겪기도 하였다. 81년 이후는 미국으로 건너가 줄곧 민주화운동과 한글 기계화 운동을 펴 미국 서재필 재단에서 <서재필상>을 받기도 하였다. 한글기계화가 늦는 것이 안타까워 계속 초성·중성·종성의 세벌식 자판으로 교포 사회의 컴퓨터와 타자기의 글자판을 통일하고 세벌식의 한글 워드 프로세서를 만들어 보급했다. 미국에 간지 8년 만인 89년에 영구 귀국한 공병우는 남은 인생을 한글 기계화 운동에 전념할 생각으로 옛 공안과 건물을 한국 문화원으로 고쳐 한글 운동 본부로 활용하면서 한글기계화 운동을 계속하였다.
● 1998년 11월 8일
율촌 장학회.
율촌 장학회(이사장 신춘호 농심회장)는 국한문 혼용 교과서인 '중학교 한국어' 1~3학년용 6책을 간행했다.
● 1999년 2월 9일
도로 표지판과 공문서에 한자 병용 발표.
김종필 총리와 신낙균 문화 관광부 장관은 도로 표지판과 공문서에 한자 병용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 1999년 5월 31일
주민 등록증 한자 병기 검토.
김종필 총리가 행정 자치부에 검토지시.
* 자료출처 *
동아 출판사, 이기문 감수 - 동아 새 국어사전 1991년 판
한글학회, 한글 새소식 1991년 1월치. 리의도 - 한글날과 '국경일'
하이텔 한글사랑 다솜, 이대로 - 한글전용에 관한 법률과 규정 소개
토담, 고길섭 - 언어로 보는 현대사, 우리 시대의 언어게임 1995년 판
한메 소프트, 한메 디지탈 대백과 사전 1997년 판
성안당, 남영신 - 한+ 국어사전 1999년 판
하이텔 한글 사랑, 손혁재 - 오늘은..
● 1972년 6월 7일
문화 교육부.
교육용 기초한자 1,781자 선정 발표.
● 1972년 8월 16일
문화 교육부.
중학교 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 선정.
● 1974년 7월 11일
문화 교육부.
문화 교육부 민관식 장관은 '교과서 한자 병용 방침' 발표.
● 1976년 9월 22일
문화 교육부.
초등학교 한자교육 부활 않기로 발표.
● 1988년 1월 19일
문화 교육부.
새로운 한글맞춤법 및 표준어 널리 알림.
● 1988년 2월 17일
남극 과학기지인 세종 기지 준공.
● 1989년 3월 1일
문교부 고시 제 88-1호
문화 교육부 주관으로 1988년 1월 19일에 일반인에게 알리고 '한글 맞춤법'을 시행.
● 1989년 6월 21일
유네스코.
문명퇴치 공로상인 <세종 대왕상> 만듦.
● 1990년 8월 24일
국무회의, 공휴일 변경 의결, 한글날을 국경일에서 빼기로 의결.
● 1990년 11월 1일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제 13155호.
1991년 1월 1일 부터 한글날을 국경일에서 빼기로 함.
● 1990년 12월 27일
대법원, 인명용 한자로 2,731자만 이름에 쓰도록 결정. 1991년 4월 1일부터 실시.
● 1992년 6월 17일
남북한, 프랑스에서 기계화 위한 한글의 로마자표기법 통일안에 합의.
● 1993년 2월
옥외 광고물 관리법 중 한글쓰기 규정. (9월 25일부터 시행)
모든 옥외 광고물의 문자는 한글 맞춤법, 국어 로마자 표기법,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한글로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부득이한 경우 외국어를 쓰게 될 때는 한글과 함께 씀. 그리고 이를 지키지 않을 때는 영업정지 또는 고발하도록 대통령 시행령 13조 발표.
● 1995년 3월 7일
한글 운동가이자 한글 기계화의 선구자 공병우 박사 세상 떠남. 안과 의사,·한글 기계화 운동가,·사진작가로 활동. 평안북도 벽동 출생. 1926년 조선의사 검정시험에 합격, 36년 일본 나고야 대학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38년에는 공안과 병원장에 취임 하였다. 이후 한글타자기 개발에 전념하였으며, 공병우식 국문타자기를 발명하였다. 69년에는 공병우타자기 연구소장에 취임하여 맹인점자 타자기·한영겸용타자기를 개발하였고, 70년대에는 한글 네벌식 글자판 반대투쟁에 앞장서 박정권에 고초를 겪기도 하였다. 81년 이후는 미국으로 건너가 줄곧 민주화운동과 한글 기계화 운동을 펴 미국 서재필 재단에서 <서재필상>을 받기도 하였다. 한글기계화가 늦는 것이 안타까워 계속 초성·중성·종성의 세벌식 자판으로 교포 사회의 컴퓨터와 타자기의 글자판을 통일하고 세벌식의 한글 워드 프로세서를 만들어 보급했다. 미국에 간지 8년 만인 89년에 영구 귀국한 공병우는 남은 인생을 한글 기계화 운동에 전념할 생각으로 옛 공안과 건물을 한국 문화원으로 고쳐 한글 운동 본부로 활용하면서 한글기계화 운동을 계속하였다.
● 1998년 11월 8일
율촌 장학회.
율촌 장학회(이사장 신춘호 농심회장)는 국한문 혼용 교과서인 '중학교 한국어' 1~3학년용 6책을 간행했다.
● 1999년 2월 9일
도로 표지판과 공문서에 한자 병용 발표.
김종필 총리와 신낙균 문화 관광부 장관은 도로 표지판과 공문서에 한자 병용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 1999년 5월 31일
주민 등록증 한자 병기 검토.
김종필 총리가 행정 자치부에 검토지시.
* 자료출처 *
동아 출판사, 이기문 감수 - 동아 새 국어사전 1991년 판
한글학회, 한글 새소식 1991년 1월치. 리의도 - 한글날과 '국경일'
하이텔 한글사랑 다솜, 이대로 - 한글전용에 관한 법률과 규정 소개
토담, 고길섭 - 언어로 보는 현대사, 우리 시대의 언어게임 1995년 판
한메 소프트, 한메 디지탈 대백과 사전 1997년 판
성안당, 남영신 - 한+ 국어사전 1999년 판
하이텔 한글 사랑, 손혁재 - 오늘은..
추천자료
표준어 규정의 내용과 문제점에 대한 고찰
[한글][국어][맞춤법][띄어쓰기]한글 맞춤법과 띄어쓰기(한글 맞춤법의 핵심 원칙, 띄어쓰기 ...
표준어규정과 표준어사용
[사투리][방언][지역어][표준어][표준말][방언학][지역사투리][지역방언]지역별 사투리(방언)...
표준어와 방언
표준어 규정과 오용 사례, 표준어의 중요성
[동성애A+] 동성애(HOMOSEXUALITY) 정의와 관련 용어, 역사와 인식 고찰
6.10 만세 운동의 시대적 배경과 6.10 만세 운동의 준비, 6.10 만세운동의 전개와 영향, 6.10...
[한국문화의 이해] 술의 기원, 한국 술의 역사_고대시대부터 해방 후까지, 식민지 시대의 주...
[한국문화사] 술의 이해 - 술의 어원, 술의 기원, 우리나라 술의 역사(고구려부터 광복 이후...
[한국문화사] <술> 술의 어원과 기원, 술의 역사(소주, 맥주, 막걸리, 청주, 약주), 누룩의 ...
거대한 음모 동북공정, 고구려를 지켜라!- 중국의 역사왜곡
[세상읽기와 논술 A형] 가족이나 지인 또는 역사적 위인들 중 자신이 존경하는 사람을 택해 ...
한국어어문규범_방언이 표준어에 편입된 사례를 지적하고 표준어와 방언의 바람직한 관계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