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나라의 삼보 사찰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 나라의 삼보 사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통도사
가람배치
금강 계단과 불사리의 정신

해인사
가람배치
대장경판전

송광사
가람배치
한국 불교의 승맥

결론

본문내용

’이었는데 이곳의 실내 온도와 습도는 외부의 기온, 습도 변화와 관계없이 언제나 일정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한다. 1970년대 정부는 국가적인 보배인 팔만대장경을 허술하고 낡은 목조 건물에 보관하기보다는 튼튼한 현대식 건물로 이전하는 것이 낫다는 판단 하에 새 건물을 지었지만 그 건물은 얼마 지나지 않아 습기가 차고 통풍이 제대로 되지 않아 대장경의 보존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됐다. 결국 대장경은 그대로 옛 경판전에 보관하게 됐고 해인사는 생각지도 않았던 현대식 건물 한 채를 얻어 잘 활용하고 있다는 우스운 이야기를 들었다. 옛 것에 대한 고찰이 부족한 상태로 현대 기술만을 맹신하다가 하마터면 소중한 대장경의 손실을 가져올 뻔했다는 이 이야기는 우리에게 소중한 교훈을 던져주고 있다. 또한 수백 년 동안 천재를 입지 않았던 송광사 국사전과 16국사 탱화가 1995년 2월 뒷벽을 뚫고 잠입한 괴한에 의해 16점 중 13점이 도난당하는 수난을 겪게 되어 아직까지도 영정을 되찾지 못했다는 사실 역시 ‘우리가 물려받은 귀중한 문화유산에 더욱 애정을 가지고 철저히 보존하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뼈아픈 가르침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 본다.
참고 문헌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5.06.21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36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