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가) 기능성 대두 종류
① 검정콩
(1) 콩의 성분
(2) 영양과 효능
(3) 건강식 검종콩
② 녹색콩
(1) 녹두의 성분
(2) 영양과 효능
③ 갈색콩
(1) 팥의 성분
(2) 팥의 영양과 효능
(3) 건강식 팥
나) 기능 대두의 종류별 물질 실험결과
① 검정콩
(1) 콩의 성분
(2) 영양과 효능
(3) 건강식 검종콩
② 녹색콩
(1) 녹두의 성분
(2) 영양과 효능
③ 갈색콩
(1) 팥의 성분
(2) 팥의 영양과 효능
(3) 건강식 팥
나) 기능 대두의 종류별 물질 실험결과
본문내용
며 수량은 일본종 단파혹 1Oa당 78kg에 비하여 10a당 164∼218kg으로 2∼3배 증수되었다.
<표 1> 종피색깔별 콩품종의 가변특성 (97, 목표시험장)
품종명(일반명)
개화기( 월 일)
성숙기( 월 일)
경장 (㎝)
분지수
주경절수
검
정
콩
서리태
7 . 29
10 . 21
75
9
17
흑태
7 . 26
10 . 16
92
8
17
준저리콩
7 . 22
9 . 28
58
7
15
단파,흑
7 . 30
11 . 3
85
3
13
녹색콩
7 . 14
10 . 1
4
4
11
갈색콩
7 . 14
9 . 20
7
7
13
품종명(일반명)
주당협수
100립중(g)
자연색
수량(kg/10a)
비고
검
정
콩
서리태
159
33
청
164
재래종
흑태
131
34
황
189
준저리콩
216
9
황
218
단파,흑
53
58
황
78
일본종
녹색콩
42
28
청
244
재래종
갈색콩
120
31
청
230
② 콩의 품종별 지방산조성
콩의 품종별 지방산 조성을 보면 표2와 같이 양질의 지방산 올레산+리놀레산 함량이 서리태(속청)품종이 가장 높았으며 대두유에서 불쾌한 냄새와 관계가 깊은 리놀렌산 함량이 서리태가 타품종보다 낮았다.
<표 2> 종피색깔별 콩품종의 지방산 조정 (97, 목포시험장)
품종명
검정콩
녹색콩
갈색콩
서리태(속청)
흑태
단파흑
팔미트산
10.7
11.3
12.4
9.7
12.1
스테아르산
3.3
3.4
4.6
3.5
3.4
올레산+리놀레산
78.2
76.1
73.4
77.0
75
리놀렌산
7.4
9.2
9.6
9.8
9.1
③ 콩의 품종별 기능성 물질 함량
콩의 품종별 기능성 물질 함량을 보면 표 3에서와 같이 레시틴함량은 서리태>갈색콩>흑태>단파흑>녹색콩 순으로 높았으며 서리태는 일본종 단파흑에 비해 약3배정도 함량이 높았다. 사포닌에 있어서도 녹색콩이나 갈색콩에 비해 약 2∼5배정도 함량이 높았다.
<표 3> 종피색갈별 콩품종의 가변특성 (97, 목표시험장)
품종명
검정콩
녹색콩
갈색콩
서리태(속청)
흑태
단파흑
레시팀함량 (mg/100g)지 수 (%)
63.2
100
49.9
79.9
20.7
32.8
17.2
27.2
54.0
85.4
사포닌함량 (mg/100g)
지 수 (%)
127.6
100
-
-
-
-
71.2
55.8
28.4
22.3
④ 콩의 품종별 취반특성
콩의 품종별 취반특성을 보면(표4) 서리태와 단파흑이 흡수율도 높고 삶았을 때 경도(硬 度)가 낮으면 수용성 고형물도 높아 취반특성이 양호하다고 볼 수 있다. 식미에서 질감과 맛이 서리태와 단파흑이 가장 좋았으며 혼반용으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표 4> 종피색갈별 콩품종의 취반특성 (97, 목포시험장)
품종명
취 반 특 성
식미
수분흡수율(%)
경도
수형성고형물(Brix %)
질감
(저작감)
맛
(감미도)
생콩(수침)
삶은콩
서 리 태
132
8.9
2.8
0.22
상
상
검정콩1호
72
9.0
3.2
0.14
중
중
단파흑
125
8.0
2.6
0.27
상
상
단엽콩
100
6.0
3.4
0.17
하
하
<표 1> 종피색깔별 콩품종의 가변특성 (97, 목표시험장)
품종명(일반명)
개화기( 월 일)
성숙기( 월 일)
경장 (㎝)
분지수
주경절수
검
정
콩
서리태
7 . 29
10 . 21
75
9
17
흑태
7 . 26
10 . 16
92
8
17
준저리콩
7 . 22
9 . 28
58
7
15
단파,흑
7 . 30
11 . 3
85
3
13
녹색콩
7 . 14
10 . 1
4
4
11
갈색콩
7 . 14
9 . 20
7
7
13
품종명(일반명)
주당협수
100립중(g)
자연색
수량(kg/10a)
비고
검
정
콩
서리태
159
33
청
164
재래종
흑태
131
34
황
189
준저리콩
216
9
황
218
단파,흑
53
58
황
78
일본종
녹색콩
42
28
청
244
재래종
갈색콩
120
31
청
230
② 콩의 품종별 지방산조성
콩의 품종별 지방산 조성을 보면 표2와 같이 양질의 지방산 올레산+리놀레산 함량이 서리태(속청)품종이 가장 높았으며 대두유에서 불쾌한 냄새와 관계가 깊은 리놀렌산 함량이 서리태가 타품종보다 낮았다.
<표 2> 종피색깔별 콩품종의 지방산 조정 (97, 목포시험장)
품종명
검정콩
녹색콩
갈색콩
서리태(속청)
흑태
단파흑
팔미트산
10.7
11.3
12.4
9.7
12.1
스테아르산
3.3
3.4
4.6
3.5
3.4
올레산+리놀레산
78.2
76.1
73.4
77.0
75
리놀렌산
7.4
9.2
9.6
9.8
9.1
③ 콩의 품종별 기능성 물질 함량
콩의 품종별 기능성 물질 함량을 보면 표 3에서와 같이 레시틴함량은 서리태>갈색콩>흑태>단파흑>녹색콩 순으로 높았으며 서리태는 일본종 단파흑에 비해 약3배정도 함량이 높았다. 사포닌에 있어서도 녹색콩이나 갈색콩에 비해 약 2∼5배정도 함량이 높았다.
<표 3> 종피색갈별 콩품종의 가변특성 (97, 목표시험장)
품종명
검정콩
녹색콩
갈색콩
서리태(속청)
흑태
단파흑
레시팀함량 (mg/100g)지 수 (%)
63.2
100
49.9
79.9
20.7
32.8
17.2
27.2
54.0
85.4
사포닌함량 (mg/100g)
지 수 (%)
127.6
100
-
-
-
-
71.2
55.8
28.4
22.3
④ 콩의 품종별 취반특성
콩의 품종별 취반특성을 보면(표4) 서리태와 단파흑이 흡수율도 높고 삶았을 때 경도(硬 度)가 낮으면 수용성 고형물도 높아 취반특성이 양호하다고 볼 수 있다. 식미에서 질감과 맛이 서리태와 단파흑이 가장 좋았으며 혼반용으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표 4> 종피색갈별 콩품종의 취반특성 (97, 목포시험장)
품종명
취 반 특 성
식미
수분흡수율(%)
경도
수형성고형물(Brix %)
질감
(저작감)
맛
(감미도)
생콩(수침)
삶은콩
서 리 태
132
8.9
2.8
0.22
상
상
검정콩1호
72
9.0
3.2
0.14
중
중
단파흑
125
8.0
2.6
0.27
상
상
단엽콩
100
6.0
3.4
0.17
하
하
추천자료
[식품영양학]유전자변형식품(GMO)의 등장과 문제점 및 대응방안
[식품위생학] 식품위생의 개념과 환경오염에 의한 식품오염에 대하여
[단체급식관리B]식품에 관련된 많은 정보들 관련 추세를 조사하고, 식품회사, 관련기관 등 관...
[식품화학] 식품 유지의 산가 측정 & 과산화물가 측정
[식품화학실험] 식품의 산도, 알칼리도
식품과 생활 책 요약 - 스트레스와 질병, 영양소와 건강, 건강식품, 농산식품
식품 저장학 (식품의 변질요인 정리)
[발효][발효균][미생물][발효유][발효식품][주류][건강][비료]발효와 발효균, 발효와 미생물,...
GMO 식품 건강과 식품영향
[식품알레르기] 식품알레르기의 종류와 증상 ; 식품알레르기의 진단과 치료 방법
건강식품의 시장동향과 소비행태 (건강식품의 시장동향)
농업경영학=국내외 농식품산업이 빠르게 변하고 있다. 빠르게 변하는 농식품산업의내 외부 환...
건강기능식품의 종류, 전망 및 건강기능식품의 안정성 확보 방안
세계의정치와경제>>가공식품 식품첨가물 분석(주요 첨가물의 특성, 건강에 대한 영향과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