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군 문화로서의 병영문화
Ⅱ. 병영문화의 진단(우리나라를 중심으로)
Ⅲ. 병영문화의 병폐와 문제의 핵심
Ⅳ. 건강한 병영문화 확립방안
Ⅴ. 희망의 병영문화를 기대하며
Ⅱ. 병영문화의 진단(우리나라를 중심으로)
Ⅲ. 병영문화의 병폐와 문제의 핵심
Ⅳ. 건강한 병영문화 확립방안
Ⅴ. 희망의 병영문화를 기대하며
본문내용
예산의 증액을 늘려 이들에 대한 복지시설의 확충은 당연한 사항이며 특히 사이버세대로 특징되는 이들에 대하여 이와 관련된 복지시설의 확충에 주력해야 할 것이다.
6. 자율적 의무이행의 풍토를 조성
군의 복무는 인적 희생을 전제로 하는 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므로 오로지 강요만을 주장할 수는 없는 것이다. 자율적으로 군에 입대를 희망할 정도의 복지수준과 급여수준, 근무환경과 제대 후의 과감한 보상정책이 이를 뒤따라야 할 것이며 일정기간 군에 복무한 것이 인생의 가장 보람된 한 과정이 될 수 있는 정도의 수준으로 군 조직이나 문화를 일신해야 할 것이다. 말로만 외치는 자율적 병역이행은 어쩌면 공염불에 불과할 뿐이며 한계를 지니기에 과감한 정책적인 배려가 요구되는 사항이다.
Ⅴ. 희망의 병영문화를 기대하며
28사단의 총기난사사건이 우발적이든 계획적이든 이러한 사건은 더 이상 우리 군내부에서 발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사건을 일으킨 원인이 작은 폭언과 폭행 그리고 소대 내에서의 왕따로 인하여 발생한 것이든 아니든 이 또한 중요한 문제는 아니다. 이미 사건은 벌어졌으며 이에는 이들 피해자 유가족과 사건 발생 부대의 조속한 구제와 정상회복이 문제이다. 그러나 근본적인 문제의 해결 없이는 제2 제3의 김 일병은 나타날 수 있음을 정책당국자나 군관계자는 반드시 명심해야 할 것이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아날로그식의 조직이나 사고로는 해결되기가 불가능하다. 결국 사고의 전환을 통하여 이번 사건을 계기로 군대현장의 병영문화를 일신해야 할 것이다. 또한 병무당국은 그 임무에 맞게 정병의 선발과 충원을 통하여 진정으로 군복무가 가능한 사람을 선발하고 하자가 있다면 이를 사전에 군에 통보하여 군이 관리하는 측면에서 미리 정보를 주어야 할 것이다. 필자가 의도적으로 본 보고서에서 다루지 않은 군 기강의 문제는 바로 조직 유연성의 문제로 해석되고 기존의 기강문제를 다룬 정도라면 기강확립이나 억압적인 교육방식은 한계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훈련소의 인분사건, 이병 자살사건, 각종의 탈영사건 등등 이러한 병영문화의 일탈에서 오는 병영의 아픈 현상들이 더 이상 발생하지 않고 군 생활이 군가의 노래가사에 버금가는 그런 군의 미래를 희망하면서 글을 맺을까 한다.
Ⅰ. 군 문화로서의 병영문화
Ⅱ. 병영문화의 진단(우리나라를 중심으로)
Ⅲ. 병영문화의 병폐와 문제의 핵심
Ⅳ. 건강한 병영문화 확립방안
Ⅴ. 희망의 병영문화를 기대하며
6. 자율적 의무이행의 풍토를 조성
군의 복무는 인적 희생을 전제로 하는 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므로 오로지 강요만을 주장할 수는 없는 것이다. 자율적으로 군에 입대를 희망할 정도의 복지수준과 급여수준, 근무환경과 제대 후의 과감한 보상정책이 이를 뒤따라야 할 것이며 일정기간 군에 복무한 것이 인생의 가장 보람된 한 과정이 될 수 있는 정도의 수준으로 군 조직이나 문화를 일신해야 할 것이다. 말로만 외치는 자율적 병역이행은 어쩌면 공염불에 불과할 뿐이며 한계를 지니기에 과감한 정책적인 배려가 요구되는 사항이다.
Ⅴ. 희망의 병영문화를 기대하며
28사단의 총기난사사건이 우발적이든 계획적이든 이러한 사건은 더 이상 우리 군내부에서 발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사건을 일으킨 원인이 작은 폭언과 폭행 그리고 소대 내에서의 왕따로 인하여 발생한 것이든 아니든 이 또한 중요한 문제는 아니다. 이미 사건은 벌어졌으며 이에는 이들 피해자 유가족과 사건 발생 부대의 조속한 구제와 정상회복이 문제이다. 그러나 근본적인 문제의 해결 없이는 제2 제3의 김 일병은 나타날 수 있음을 정책당국자나 군관계자는 반드시 명심해야 할 것이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아날로그식의 조직이나 사고로는 해결되기가 불가능하다. 결국 사고의 전환을 통하여 이번 사건을 계기로 군대현장의 병영문화를 일신해야 할 것이다. 또한 병무당국은 그 임무에 맞게 정병의 선발과 충원을 통하여 진정으로 군복무가 가능한 사람을 선발하고 하자가 있다면 이를 사전에 군에 통보하여 군이 관리하는 측면에서 미리 정보를 주어야 할 것이다. 필자가 의도적으로 본 보고서에서 다루지 않은 군 기강의 문제는 바로 조직 유연성의 문제로 해석되고 기존의 기강문제를 다룬 정도라면 기강확립이나 억압적인 교육방식은 한계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훈련소의 인분사건, 이병 자살사건, 각종의 탈영사건 등등 이러한 병영문화의 일탈에서 오는 병영의 아픈 현상들이 더 이상 발생하지 않고 군 생활이 군가의 노래가사에 버금가는 그런 군의 미래를 희망하면서 글을 맺을까 한다.
Ⅰ. 군 문화로서의 병영문화
Ⅱ. 병영문화의 진단(우리나라를 중심으로)
Ⅲ. 병영문화의 병폐와 문제의 핵심
Ⅳ. 건강한 병영문화 확립방안
Ⅴ. 희망의 병영문화를 기대하며
추천자료
우리문화의 수수께끼를 읽고
[게임산업전략][영상산업전략][문화산업전략][BT산업전략][유통산업전략][E-비즈니스산업전략...
[아르누보 탄생배경][아르누보 특성][아르누보 건축][아르누보 복식][아르누보 문화][아르누...
[국제결혼]국제결혼과 이주여성문제, 결혼이주여성과 다문화가정의 증가, 국제결혼의 실태와 ...
[조직행동]조직행동의 개념, 조직행동의 분류, 조직행동과 임파워먼트, 남성편향적 공직문화...
[미디어 리터러시][컴퓨터 리터러시][디지털 리터러시][대중문화컨텐츠 리터러시][멀티 리터...
[종교][종교 개념][종교 특징][종교 이론][종교 역할][종교 사회화][종교와 종교관][종교와 ...
[청소년복지][청소년문제][청소년문화]청소년문화, 청소년문제에 따른 청소년복지정책 고찰과...
‘한류’(韓流) 현상의 문화산업정책적 함의 - 한류 문화 현상 특징, 마케팅 성공사례, 성공요...
[21C]21세기(21C)의 그린벨트, 21세기(21C)의 복지환경, 21세기(21C)의 노인복지, 21세기(21C...
[경상북도, 경북, 경산시, 문화유적]경상북도(경북) 경산시의 역사, 경상북도(경북) 경산시의...
[한국사회문제D형] 서로 다른 사회적·문화적 가치가 한 지역 내에서 공존하는 문제가 왜 어렵...
[한국사회문제D형] 서로 다른 사회적·문화적 가치가 한 지역 내에서 공존하는 문제가 왜 어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