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선로전환기 기내회로
가. 기내회로
나. 제어계전기와 단자대 및 모터회로
2. 제어계전기와 회로제어기의 동작
가. 선로전환기 동작순서
나. 제어계전기(AS)
다. 회로제어기(KR)
가. 기내회로
나. 제어계전기와 단자대 및 모터회로
2. 제어계전기와 회로제어기의 동작
가. 선로전환기 동작순서
나. 제어계전기(AS)
다. 회로제어기(KR)
본문내용
n 되는 접점
---- G/B, 2/5(이오) 접점
※여기서 '나머지 상태'라 함은 전환 중일 때도 포함한다.
○ 선로전환기와 제어계전기, 회로제어기의 동작
선로전환기가 ‘+’ 상태에 있다고 하면, 표시전원의 (+)는 제어계전기의 R3접점과 회로제어기의 6/7 접점을 통하여 표시계전기로 연결되고, (-)는 회로제어기의 3/8 접점을 통하여 표시계전기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모터회로를 보면, 전원의 CX극은 수동스위치 접점을 거쳐서 D 단자에 연결되어 있고, BX극은 제어계전기와 회로제어기의 접점을 통하여 F 또는 E단자에 연결되어 있다. 선로전환기가 ‘+’ 상태라면 R1G/B 접점은 구성되고 N2 G/A 접점은 개방되어있어 BX전원은 F, E 어느 단자에도 공급되지 않는다.
선로전환기를 ‘-’방향으로 취급하면 계전기실에서 제어전원의 극성이 바뀌어(선로전환기 ‘+’단자에는 ‘-’가, ‘-’ 단자에는 ‘+’가 공급) 제어계전기로 공급된다. 그러면 제어계전기의 접점이 N 방향으로 구성되고 모터회로에서는 회로제어기의 G/B 접점과 제어계전기의 N2 접점을 통하여 BX 전원이 F 단자에 공급되고 선로전환기는 해정을 시작한다. 기계적인 해정이 완료되면 회로제어기의 G/A, G/B, 1/6, 2/5 접점은 구성되어있고, 4/10, 5/9, 3/8, 6/7 접점은 개방되어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모터회로의 연결상태는 변함 없으나 표시회로의 상태는 바뀌게 된다. 회로제어기의 4/10, 5/9, 3/8, 6/7 접점이 개방됨에 따라 계전기실의 표시계전기는 전원에서 완전 분리되고, 회로제어기의 1/6, 2/5 접점으로 표시계전기의 전원단자를 단락 시켜 선로전환기 전환도중 혹시 있을지도 모를 서지유입을 차단한다. 선로전환기가 동작을 계속하여 전환을 완료하고 기계적인 쇄정을 마치게 되면 회로제어기의 4/10, 5/9 접점은 구성되고 G/B, 2/5 접점은 개방된다.
(그림4 : 표시 및 모터회로)
이에 따라 모터회로에서는 F 단자로 공급되던 BX 전원이 차단되어 모터는 동작을 멈추고, 회로제어기의 2/5 접점이 off 되면서 표시계전기의 전원단자를 단락시키고 있던 회로는 개방되고, 표시전원의 (+)는 제어계전기의 N4 접점과 회로제어기의 5/9 접점을, (-)는 회로제어기의 4/10 접점을 통하여 표시계전기로 연결되는데, 선로전환기의 ‘+’, ‘-’ 단자에서 전압을 측정하면 극성이 ‘+’ 방향일 때와 반대인 것을 알 수 있다.
---- G/B, 2/5(이오) 접점
※여기서 '나머지 상태'라 함은 전환 중일 때도 포함한다.
○ 선로전환기와 제어계전기, 회로제어기의 동작
선로전환기가 ‘+’ 상태에 있다고 하면, 표시전원의 (+)는 제어계전기의 R3접점과 회로제어기의 6/7 접점을 통하여 표시계전기로 연결되고, (-)는 회로제어기의 3/8 접점을 통하여 표시계전기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모터회로를 보면, 전원의 CX극은 수동스위치 접점을 거쳐서 D 단자에 연결되어 있고, BX극은 제어계전기와 회로제어기의 접점을 통하여 F 또는 E단자에 연결되어 있다. 선로전환기가 ‘+’ 상태라면 R1G/B 접점은 구성되고 N2 G/A 접점은 개방되어있어 BX전원은 F, E 어느 단자에도 공급되지 않는다.
선로전환기를 ‘-’방향으로 취급하면 계전기실에서 제어전원의 극성이 바뀌어(선로전환기 ‘+’단자에는 ‘-’가, ‘-’ 단자에는 ‘+’가 공급) 제어계전기로 공급된다. 그러면 제어계전기의 접점이 N 방향으로 구성되고 모터회로에서는 회로제어기의 G/B 접점과 제어계전기의 N2 접점을 통하여 BX 전원이 F 단자에 공급되고 선로전환기는 해정을 시작한다. 기계적인 해정이 완료되면 회로제어기의 G/A, G/B, 1/6, 2/5 접점은 구성되어있고, 4/10, 5/9, 3/8, 6/7 접점은 개방되어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모터회로의 연결상태는 변함 없으나 표시회로의 상태는 바뀌게 된다. 회로제어기의 4/10, 5/9, 3/8, 6/7 접점이 개방됨에 따라 계전기실의 표시계전기는 전원에서 완전 분리되고, 회로제어기의 1/6, 2/5 접점으로 표시계전기의 전원단자를 단락 시켜 선로전환기 전환도중 혹시 있을지도 모를 서지유입을 차단한다. 선로전환기가 동작을 계속하여 전환을 완료하고 기계적인 쇄정을 마치게 되면 회로제어기의 4/10, 5/9 접점은 구성되고 G/B, 2/5 접점은 개방된다.
(그림4 : 표시 및 모터회로)
이에 따라 모터회로에서는 F 단자로 공급되던 BX 전원이 차단되어 모터는 동작을 멈추고, 회로제어기의 2/5 접점이 off 되면서 표시계전기의 전원단자를 단락시키고 있던 회로는 개방되고, 표시전원의 (+)는 제어계전기의 N4 접점과 회로제어기의 5/9 접점을, (-)는 회로제어기의 4/10 접점을 통하여 표시계전기로 연결되는데, 선로전환기의 ‘+’, ‘-’ 단자에서 전압을 측정하면 극성이 ‘+’ 방향일 때와 반대인 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