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EE 1394의 이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IEEE 1394란?

2. 디지털 네트워킹을 위한 차세대 인터페이스

3. IEEE1394를 이용한 동영상 편집

본문내용

에 DV를 저장할 경우, Mac이나 PC 모두 내부에는 DV 데이터 스트림을 갖고 있는 파일 형태로 저장되는데, 앞서 언급했듯이 초당 약 25M bps로 엄청난 저장공간이 필요하다.
헤더 파일을 감안하면 1초에 약 3.4MB, 1분에 약 200MB, 1시간에 12~13GB 정도가 소요된다. DV는 데이터의 보존성으로 인해 비손실 압축을 택하고 있어 압축률이 떨어지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으로, 이처럼 엄청난 용량 저장공간의 문제뿐만 아니라 파일을 다룰 때나 변환시에도 PC에 매우 부담을 주므로 테이프에 다시 옮겨 보관할 경우가 아니라면 압축률이 높은 코덱으로 변환하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다.
한 가지 예로 DV가 초당 약 3~4MB의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하드디스크 전송속도의 한계점에도 이르고, 엄청난 양 때문에 MPEG2에 비해 디코딩시 CPU 부담이 적은데도 실제 코덱을 인코딩 혹은 디코딩하는 속도는 더 느리게도 나타난다.
우선 DV 코덱으로 PC에 저장되는 과정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고 많이 사용하는 다른 코덱의 특징을 살펴보기로 하자.
DV 코덱은 PC에서 *.avi, Mac에서 Quick Time의 확장자를 갖는데, 이는 확장자만 같을 뿐이지 기존에 접하던 AVI나 QuickTime과는 전혀 다른 파일이 생성된다. AVI를 예로 들면 AVI 내부에는 MPEG4, MPEG2, Indeo, DV 등 여러 가지 내부 비디오 스트림에 패키징돼 저장될 수 있으며, 이들 모두 *.avi 라는 확장자를 갖는다.
다만, AVI의 헤더 부분에 어떤 스트림이 인코딩됐는지 기록돼 윈도우 미디어플레이어 등이 이를 인식함으로써 그에 알맞은 코덱을 사용해 화면에 디코딩하게 되는 것이다.
가. PC의 DV 코덱과 다른 비디오 코덱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DV는 비손실 압축 방법에 의해 저장되기 때문에 압축률이 낮아 압축률이 좋은 다음의 포맷들로 용도에 따라 변환해 사용하는 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표 3>은약 825.0MB(약 4.4분)의 DV 파일을 이용해 해당 코덱으로 변환했을 경우의 특성과 크기를 비교한 것이다.
화질은 DV, MPEG2 > Video CD, MPEG1 > Indeo > Real Video로 볼 수 있으며, MPEG4는 VBR(Variable Bit Rate)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에 따라 화질에 차이가 나타날 수 있어 단순비교는 어렵다.
대개는 DV를 인터넷상에서 사용하고자 한다면, MPEG1 혹은 MPEG4로 인코딩하는 방법이 합리적이며 화질을 최대한 보존하되 저장공간을 줄이기 위해서는 MPEG2 코덱이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참고로 DV를 다른 포맷으로 변환을 할 경우, 움직임이 있는 파일의 경우 줄무늬가 발생할 때가 있는데, 이는 MS의 DV 디코더가 인터레이스 모드만 지원하므로 디코딩 과정에서 발생하는 화질의 문제가 그대로 인코딩되기 때문이다.
현재 소니에서 제공하는 DV 디코더는 논인터레이스를 지원해 한결 좋은 화질을 제공한다. MS와 파나소닉이 공동 제작한 DV 디코더 코덱을 추후 업그레이드해 이 문제가 해결될 예정이다.
File Type
Codec
Resolution
Frame Rate
Data Size(MB)
DV AVI
DV Soft
720×480
29.97fps
825.0MB
MPEG
MPEG 1
320×240
29.97fps
57.5MB
Video CD
352×240
29.97fps
39.9MB
MPEG 2
720×480
29.97fps
153.0MB
WMV
MPEG 4
320×240
15fps
48.3MB
AVI
Indeo
320×240
30fps
193.0MB
RA
Real Video
320×240
30fps
18.6MB
나. MGI Video 4의 DV 캡쳐 화면
국내에 가장 많이 보급된 보급형 비디오 편집 프로그램으로 최근 버전 4.0이 출시돼 3.0에서보다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Videowave III에서는 윈도우Me에서 사용할 때 DV 드라이버 명칭이 Localizing 과정에서 바뀌어 카메라가 인식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다. 물론 DV 드라이버가 61883(1394AV)과 이미지 장치 등으로 나뉘어 생기는 문제점도 있어 Videowave III 사용에 많은 장애가 따랐다.
이번 비디오웨이브 4.0은 이런 문제들이 해소됐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고급스럽게 바뀌었다. 새롭게 추가된 주요 기능은 비디오 템플릿 추가, Scene 검출 기능, 타임워프(슬로우 모션 기능), Windows 미디어 및 RealVideo 지원, 이펙트 추가, PIP 기능, 더욱 다양한 비디오 포맷 지원 등이다.
다. 프리미어 6.0의 DV 캡쳐 화면
프로 및 아마추어 비디오 제작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프리미어가 오랜 침묵을 깨고 DV를 완벽하게 지원하는 6.0 버전을 출시해 많은 DV 애호가들이 열광하고 있다.
프리미어는 그동안 5.1 이후에는 업데이트가 되지 않아 많은 사용자들이 많은 불편을 감수해야만 했으나 6.0의 출현으로 모든 1394 OHCI 카드를 지원해 Mac과 PC 모두 완벽한 1394 지원이 이뤄졌다.
DV 지원은 모든 DV 장치들, 즉 소비자용과 프로페셔널용 모두를 지원하며, 각 디바이스의 컨트롤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 사용자가 자신에 맞는 컨트롤 기능을 선택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음과 같은 새로운 기능이 추가됐다.
기존의 Premiere 사용자들에게는 익숙한 인터페이스와 전문가가 필요로 하는 대부분의 기능이 추가돼 마니아는 물론 프로 사용자에게도 상당히 매력적인 툴로 탈바꿈한 듯하다.
이상 최근 출시된 DV 캡처 및 편집 솔루션을 중심으로 그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각각의 프로그램 사용법에 관한 내용은 다음 사이트에서 참고할 수 있다.
i-movie www.apple.com/imovie
MGI Video wave 4.0 www.mgisoft.com/video/videowave4
Premiere 6.0 www.adobe.com/products/premiere
목차
1. IEEE 1394란?
2. 디지털 네트워킹을 위한 차세대 인터페이스
3. IEEE1394를 이용한 동영상 편집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5.06.29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52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