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Coffee Bean & Tea Leaf ?
2. Why Coffee Bean?
Ⅱ. 본론 1. 국내 에스프레소 시장 분석
(1) 시장 트랜드 분석과 시장 기회 분석
(2) 시장 구조 분석
2. 경쟁사 분석
(1) 경쟁사 집단의 파악
(2) 경쟁사 평가 ① - Starbucks의 이해
(3) Starbucks의 강점-약점 분석
(4) 경쟁사 평가 ② - 파스쿠치에 대하여
(5) 국내 직영 에스프레소 시장의 경쟁강점 그리드
(Competitive Strength Grid)
3. Starbucks에 대한
Coffee Bean & Tea Leaf의 비교우위
(CompetitiveAdvantage)
(1) Product Quality
(2) New Product
(3) Service
4. 성과 - 양 사의 실적 비교
(1) 현지조사
(2) 2003년 매출액 현황
Ⅲ. 결론 1. CASE 분석 요약과 그 시사점
2. 참조 문헌
2. Why Coffee Bean?
Ⅱ. 본론 1. 국내 에스프레소 시장 분석
(1) 시장 트랜드 분석과 시장 기회 분석
(2) 시장 구조 분석
2. 경쟁사 분석
(1) 경쟁사 집단의 파악
(2) 경쟁사 평가 ① - Starbucks의 이해
(3) Starbucks의 강점-약점 분석
(4) 경쟁사 평가 ② - 파스쿠치에 대하여
(5) 국내 직영 에스프레소 시장의 경쟁강점 그리드
(Competitive Strength Grid)
3. Starbucks에 대한
Coffee Bean & Tea Leaf의 비교우위
(CompetitiveAdvantage)
(1) Product Quality
(2) New Product
(3) Service
4. 성과 - 양 사의 실적 비교
(1) 현지조사
(2) 2003년 매출액 현황
Ⅲ. 결론 1. CASE 분석 요약과 그 시사점
2. 참조 문헌
본문내용
샌드위치 등으로 아침을 간단히 해결할 수 있는 모닝 메뉴를 2001년 11월에 출시하였던 일이나,
) 2004년 현재는 스타벅스도 모닝메뉴를 시판하고 있다.
최초로 곱게 분쇄한 얼음과 에스프레소를 혼합한 Original Ice Blended를 출시하고 이를 지적 재산권으로 인정받았던 일
) 스타벅스의 \'프라푸치노(frappuccino)\'는 이를 모방하여 출시된 것이다.(커피빈 코리아 J 과장 인터뷰)
등은 커피빈의 강력한 혁신에 기초한 경쟁우위를 잘 나타내 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3) 차별화된 Service
스타벅스에 대한 커피빈의 비교우위로 생각해 볼 수 있는 마지막은 바로 차별화된 서비스이다.
① 디카페인(스위스 워터 방식
) 메탈린 클로라이드(커피에서 카페인만을 제거하는 용해제)와 물을 사용하는 카페인 제거 방법으로 인체에 100% 안전하며 커피의 맛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게 하는 최적의 카페인 제거 방법이다. 이 과정을 이용하면 볶은 커피의 풍미는 그대로 유지한 채, 신맛이 중화된 커피를 만들 수 있다.
을 사용), 무지방, 저지방 등의 맞춤 메뉴의 주문 가능
커피빈에서는 아이스 블렌디드를 제외한 전 품목의 디카페인, 무지방, 저지방 등의 맞춤 메뉴 주문이 가능하다.
) 2004년 3월 현재 스타벅스에도 이러한 메뉴가 있다는 얘기가 있어서, 2004년 3월 24일 저녁에 스타벅스 대학로점에 잠시 들른 본사 직원에게 직접 문의해 본 결과, 디카페인이나 무지방 메뉴는 현재 서비스하고 있지 않으며, 저지방 메뉴만이 가능하다는 응답을 들었다.
이는 건강에 관심이 높은 현대의 소비자들에게 매우 강력한 구매 동기가 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② 차(tea) 메뉴 주문 가능
사람들의 건강에 대한 욕구가 증대되면서 커피 대신 건강에 좋은 차(tea)를 찾는 소비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Coffee Bean & Tea Leaf\'라는 명칭에서 볼 수 있듯이 커피빈은 커피 뿐만 아니라 녹차를 비롯한 차에도 대등한 비중을 두고 있다. 실제로 여의도 매장을 둘러 본 결과 상당수 고객들이 커피와 더불어 녹차를 마시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③ 고품격 프리미엄 서비스
주문한 음료가 나올 때 직접 고객 한사람 한사람의 이름을 불러주는 네임 콜 서비스, 하나하나 위생적으로 개별 포장되어 있는 스트로우, 티(tea) 주문시에 사용한 티백을 버리도록 용기를 제공하는 것, 매장에서 항상 좋은 향기가 나게 하는 향기마케팅 등 세심한 부분에서 시작하여, 안락하고 지적인 이미지의 고급스러운 인테리어, 어울리는 음악, 차별화된 서비스의 궁극적 조합에 이르기까지 커피빈은 모든 것을 고객의 입장에서 생각하려 노력하고 있다. 특히 고객들의 요구를 좀 더 가까이 느끼기 위해서 커피빈코리아 본사의 전 직원들이 매주 금요일마다 일선 매장에서 근무하고 있다.
4. 결 과 - 양 사의 실적비교
(1) 현지조사
우리는 양사의 실적을 직접 눈으로 확인해 보기 위해 스타벅스와 커피빈이 가까운 거리 내에 위치하고 있는 서울 시내 세 군데의 매장을 직접 조사하였다. 각 매장별 매출액을 조사하여 비교하는 것이 가장 확실하겠지만, 이는 대외비로 분류되는 까닭에 우리가 직접 조사해 보는 방법을 취할 수 밖에 없었다.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다소 여건의 차이는 있으나 비슷한 인접지역에서 스타벅스보다는 커피빈의 고객 수가 좀 더 많은 것으로 집계되었다.
① 여의도점
3월 21일 오후 5-6시 사이에 조사해 본 바, 스타벅스 3명, 커피빈 19명의 고객 분포를 보였다. 너무 차이가 심하여 조사하는 우리도 좀 당황스러웠다.
② 홍대점
3월 24일 오후 8시 경에 조사해 본 바, 스타벅스 22명, 커피빈 47명의 고객 분포를 보였다. 단, 홍대점은 커피빈이 2층 규모, 스타벅스가 1층 규모임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물론 이러한 두 군데의 조사만으로 성급하게 결론을 내릴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참고 자료로서는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2) 2003년 매출액 현황
2003년 전체 커피 시장의 매출액 규모는 총 1조 2천억원 수준이며 그 중 에스프레소 시장의 매출액은 약 19%인 2천 3백억원에 이르고 있다. 이 2천 3백억원의 에스프레소 시장에서 스타벅스는 24%인 550억원, 커피빈은 10%인 230억원 수준이다. 그리고 그 뒤를 이어 파스쿠치가 3%인 79억원의 시장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언뜻 보면 스타벅스가 월등하게 영업실적이 좋은 것 같지만, 양사의 점포 수를 감안하여 비교해 보면 스타벅스 - 지점당 연매출액 6.47억원, 커피빈 - 지점당 연매출액 8.85억원으로 점당 매출액은 오히려 커피빈이 더 높음을 알 수 있다.
) 이 실적은 작년(2003년)의 국내 지점 수를 기준으로 산출한 것이며, 2004년 3월 25일 현재의 스타벅스 국내지점 수는 86개, 커피빈의 국내지점 수는 26개이다.
영업의 양적인 면에서는 아직 부족하지만 질적인 면에서는 커피빈이 스타벅스를 이미 능가하기 시작한 것이다.
Ⅲ. 結 論
1. CASE분석 요약과 그 시사점
지금까지 국내 직영 에스프레소 시장에서의 커피빈과 스타벅스의 사례를 통해 외부환경 분석의 두 축인 시장분석과 경쟁사 분석을 시도해 보았다. 커피빈은 뒤늦은 국내 에스프레소 시장 진입으로 인해 점포수나 전체 매출액에서는 스타벅스에 뒤지고 있는 상황이지만, 철저한 경쟁사 분석을 통해 한국인의 입맛에 맞는 커피의 맛, 혁신적인 제품개발, 차별화된 서비스 등을 제공하며 시장 지배자인 스타벅스의 시장을 조금씩 잠식해 들어가며 선전(善戰)하고 있었다. 그리고 최근에는 점당 매출액에서 스타벅스를 앞지르기에 이르렀다. 커피빈코리아의 박상배 사장은 한 일간지와의 인터뷰에서\'스타벅스를 이기려는 꿈은 꾸지도 않으며, 우리의 전략은 2등 전략\'이라는 말을 한 적이 있다. 그러나 우리는 이번 사례분석을 통해 이러한 박 사장의 말의 진위여부를 다소 의심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바쁘신 가운데에서도 세 차례에 걸친 우리의 질문에 성의 있게 대답해 주신 커피빈코리아의 장윤정 과장님께 감사를 드리며 사례분석을 마친다.
2. 참조문헌
각 페이지별 각주 참조 바람
) 2004년 현재는 스타벅스도 모닝메뉴를 시판하고 있다.
최초로 곱게 분쇄한 얼음과 에스프레소를 혼합한 Original Ice Blended를 출시하고 이를 지적 재산권으로 인정받았던 일
) 스타벅스의 \'프라푸치노(frappuccino)\'는 이를 모방하여 출시된 것이다.(커피빈 코리아 J 과장 인터뷰)
등은 커피빈의 강력한 혁신에 기초한 경쟁우위를 잘 나타내 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3) 차별화된 Service
스타벅스에 대한 커피빈의 비교우위로 생각해 볼 수 있는 마지막은 바로 차별화된 서비스이다.
① 디카페인(스위스 워터 방식
) 메탈린 클로라이드(커피에서 카페인만을 제거하는 용해제)와 물을 사용하는 카페인 제거 방법으로 인체에 100% 안전하며 커피의 맛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게 하는 최적의 카페인 제거 방법이다. 이 과정을 이용하면 볶은 커피의 풍미는 그대로 유지한 채, 신맛이 중화된 커피를 만들 수 있다.
을 사용), 무지방, 저지방 등의 맞춤 메뉴의 주문 가능
커피빈에서는 아이스 블렌디드를 제외한 전 품목의 디카페인, 무지방, 저지방 등의 맞춤 메뉴 주문이 가능하다.
) 2004년 3월 현재 스타벅스에도 이러한 메뉴가 있다는 얘기가 있어서, 2004년 3월 24일 저녁에 스타벅스 대학로점에 잠시 들른 본사 직원에게 직접 문의해 본 결과, 디카페인이나 무지방 메뉴는 현재 서비스하고 있지 않으며, 저지방 메뉴만이 가능하다는 응답을 들었다.
이는 건강에 관심이 높은 현대의 소비자들에게 매우 강력한 구매 동기가 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② 차(tea) 메뉴 주문 가능
사람들의 건강에 대한 욕구가 증대되면서 커피 대신 건강에 좋은 차(tea)를 찾는 소비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Coffee Bean & Tea Leaf\'라는 명칭에서 볼 수 있듯이 커피빈은 커피 뿐만 아니라 녹차를 비롯한 차에도 대등한 비중을 두고 있다. 실제로 여의도 매장을 둘러 본 결과 상당수 고객들이 커피와 더불어 녹차를 마시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③ 고품격 프리미엄 서비스
주문한 음료가 나올 때 직접 고객 한사람 한사람의 이름을 불러주는 네임 콜 서비스, 하나하나 위생적으로 개별 포장되어 있는 스트로우, 티(tea) 주문시에 사용한 티백을 버리도록 용기를 제공하는 것, 매장에서 항상 좋은 향기가 나게 하는 향기마케팅 등 세심한 부분에서 시작하여, 안락하고 지적인 이미지의 고급스러운 인테리어, 어울리는 음악, 차별화된 서비스의 궁극적 조합에 이르기까지 커피빈은 모든 것을 고객의 입장에서 생각하려 노력하고 있다. 특히 고객들의 요구를 좀 더 가까이 느끼기 위해서 커피빈코리아 본사의 전 직원들이 매주 금요일마다 일선 매장에서 근무하고 있다.
4. 결 과 - 양 사의 실적비교
(1) 현지조사
우리는 양사의 실적을 직접 눈으로 확인해 보기 위해 스타벅스와 커피빈이 가까운 거리 내에 위치하고 있는 서울 시내 세 군데의 매장을 직접 조사하였다. 각 매장별 매출액을 조사하여 비교하는 것이 가장 확실하겠지만, 이는 대외비로 분류되는 까닭에 우리가 직접 조사해 보는 방법을 취할 수 밖에 없었다.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다소 여건의 차이는 있으나 비슷한 인접지역에서 스타벅스보다는 커피빈의 고객 수가 좀 더 많은 것으로 집계되었다.
① 여의도점
3월 21일 오후 5-6시 사이에 조사해 본 바, 스타벅스 3명, 커피빈 19명의 고객 분포를 보였다. 너무 차이가 심하여 조사하는 우리도 좀 당황스러웠다.
② 홍대점
3월 24일 오후 8시 경에 조사해 본 바, 스타벅스 22명, 커피빈 47명의 고객 분포를 보였다. 단, 홍대점은 커피빈이 2층 규모, 스타벅스가 1층 규모임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물론 이러한 두 군데의 조사만으로 성급하게 결론을 내릴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참고 자료로서는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2) 2003년 매출액 현황
2003년 전체 커피 시장의 매출액 규모는 총 1조 2천억원 수준이며 그 중 에스프레소 시장의 매출액은 약 19%인 2천 3백억원에 이르고 있다. 이 2천 3백억원의 에스프레소 시장에서 스타벅스는 24%인 550억원, 커피빈은 10%인 230억원 수준이다. 그리고 그 뒤를 이어 파스쿠치가 3%인 79억원의 시장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언뜻 보면 스타벅스가 월등하게 영업실적이 좋은 것 같지만, 양사의 점포 수를 감안하여 비교해 보면 스타벅스 - 지점당 연매출액 6.47억원, 커피빈 - 지점당 연매출액 8.85억원으로 점당 매출액은 오히려 커피빈이 더 높음을 알 수 있다.
) 이 실적은 작년(2003년)의 국내 지점 수를 기준으로 산출한 것이며, 2004년 3월 25일 현재의 스타벅스 국내지점 수는 86개, 커피빈의 국내지점 수는 26개이다.
영업의 양적인 면에서는 아직 부족하지만 질적인 면에서는 커피빈이 스타벅스를 이미 능가하기 시작한 것이다.
Ⅲ. 結 論
1. CASE분석 요약과 그 시사점
지금까지 국내 직영 에스프레소 시장에서의 커피빈과 스타벅스의 사례를 통해 외부환경 분석의 두 축인 시장분석과 경쟁사 분석을 시도해 보았다. 커피빈은 뒤늦은 국내 에스프레소 시장 진입으로 인해 점포수나 전체 매출액에서는 스타벅스에 뒤지고 있는 상황이지만, 철저한 경쟁사 분석을 통해 한국인의 입맛에 맞는 커피의 맛, 혁신적인 제품개발, 차별화된 서비스 등을 제공하며 시장 지배자인 스타벅스의 시장을 조금씩 잠식해 들어가며 선전(善戰)하고 있었다. 그리고 최근에는 점당 매출액에서 스타벅스를 앞지르기에 이르렀다. 커피빈코리아의 박상배 사장은 한 일간지와의 인터뷰에서\'스타벅스를 이기려는 꿈은 꾸지도 않으며, 우리의 전략은 2등 전략\'이라는 말을 한 적이 있다. 그러나 우리는 이번 사례분석을 통해 이러한 박 사장의 말의 진위여부를 다소 의심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바쁘신 가운데에서도 세 차례에 걸친 우리의 질문에 성의 있게 대답해 주신 커피빈코리아의 장윤정 과장님께 감사를 드리며 사례분석을 마친다.
2. 참조문헌
각 페이지별 각주 참조 바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