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신비뇨기계의 구조 >
1. 신장
2. 네프론
3. Renal corpuscle
4. 신세뇨관(renal tubule)
5. 신장의 혈관
< 신장의 기능 >
1. 요를 형성하고 체내 대사산물을 체외로 배출
2. 혈압조절
3. 기타 호르몬 조절과 대사조절
4. 수분과 전해질균형
5. 산염기의 균형유지
< 소변 생성과 배뇨과정 >
1. 소변의 생성
2. 신원의 요형성 기능
3. 배뇨과정
< 진단적 검사 >
1. 요의 특성(CHARACTERISTICS OF URINE)
2. 소변검사 방법
3. 소변의 비정상적 조성
1. 신장
2. 네프론
3. Renal corpuscle
4. 신세뇨관(renal tubule)
5. 신장의 혈관
< 신장의 기능 >
1. 요를 형성하고 체내 대사산물을 체외로 배출
2. 혈압조절
3. 기타 호르몬 조절과 대사조절
4. 수분과 전해질균형
5. 산염기의 균형유지
< 소변 생성과 배뇨과정 >
1. 소변의 생성
2. 신원의 요형성 기능
3. 배뇨과정
< 진단적 검사 >
1. 요의 특성(CHARACTERISTICS OF URINE)
2. 소변검사 방법
3. 소변의 비정상적 조성
본문내용
, 요로란 신장에서 요관을 거쳐서 방광과 요도를 포함한 소변이 나오는 길입니다.
즉 요로 결석은 신장, 요관, 방광, 요도 등에서 발견되는 결석입니다.
요로 결석은 20-40대 남성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1. 요로 결석의 원인
소변에는 많은 노폐물이 섞여 나오며 이들 중 칼슘이나 수산염, 인산염이 소변에서 결석을 만드는 대표적인 물질입니다. 소변에 이런 물질들의 농도가 높아지면 결석을 만들 수 있는 침전물(핵)이 만들어지고 오랜 시간 동안 소변 안에 있는 물질들이 이 핵에 붙어서 결석이 점점 커집니다. 체질적으로 소변에서 수산, 칼슘, 시스틴, 요산 같은 물질을 많이 배출하는 경우 요석이 생기기 쉽습니다.
결석은 처음 만들어 지는 시기에는 신장에 종유석처럼 붙어있습니다. 이 상태에서 증상 없이 떨어져 나와서 소변을 통하여 배출되기도 하지만 요관이나 방광에 걸려 그 자리에서 계속 크기가 커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요로계에 형태적으로 좁은 부위에 걸린다든가 염증이 있을 때에도 결석이 많이 생깁니다.
2. 진단
옆구리에 참을 수 없는 통증이 있는 경우 손으로 콩팥이 위치하고 있는 옆구리 부위를 탁탁 칠 때 심한 통증이 유발된다면 요로 결석이 있을 확률이 높습니다.
확진을 위해서 소변검사와 X 선 검사를 합니다. 결석이 좁은 요관을 빠져나오면서 요관에 상처가 생겨서 미세하지만 출혈이 되기 때문에 소변에서 적혈구들이 관찰됩니다. X선 사진에서도 결석이 보이는 경우가 흔하게 있습니다.
경정맥요로조영술(IVP)을 시행하여 결석이 어느 부위에 있는지, 신장기능에는 이상이 없는지, 요로가 좁아져 있지는 않은지도 알아봅니다. 특수한 경우에는 초음파 검사를 하기도 합니다.
3. 증상
요로 결석의 가장 큰 특징은 아주 심한 통증이 갑자기 발병하는 것입니다. 특히 요관에 결석이 생겼을 때의 통증이 가장 심합니다.
결석이 작을 때에는 증상이 없다가 결석이 증상을 유발할 만큼 커지는 경우나 신장에서 떨어져 나온 결석이 요관을 지나게 될 때 특징적인 통증이 나타납니다. 요석이 요로를 따라서 천천히 내려오는 동안 20-60분 주기로 옆구리에 매우 심한 통증이 생겼다가 사라지곤 합니다. 결석의 위치에 따라서는 고환 아래쪽으로 통증이 퍼져 나갈 수도 있습니다.
4. 합병증
요관이 늘어나고 신장이 손상을 받게 되는 수뇨관증과 수신증, 그리고 요로 계통의 염증이 합병될 수 있습니다.
5. 치료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대개 결석의 크기나 위치에 따라서 치료 방법이 달라집니다. 결석의 크기가 5mm 미만으로 작은 경우는 자연 배출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진통제를 복용하여 통증을 조절하면서 결석이 빠져나가길 기다립니다. 이때 수액을 맞고, 물을 많이 마셔서 소변량을 늘려서 돌이 잘 빠져나오도록 합니다.
크기가 5-20mm 사이의 결석은 체외 충격파 쇄석술이 적절한 치료입니다. 하지만 3회 이상의 체외 충격파 쇄석술에도 돌이 깨지지 않는 경우, 요관의 좁은 부위에 돌이 걸려서 내려오지 않는 경우는 직접 수술을 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결석이 방광이나 요도에 있는 경우는 거의 모두 방광요도경(방광내시경)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약물요법
구연산칼륨(Potassium citrate)
구연산칼륨 제제는 1985년 미국 FDA로부터 공인받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요로결석 치료제
테르펜(Terpene) 화합물
주로 정유, 수지, 또는 식물성의 방향 산물에 의해 생성되는 테르펜 화합물은 항경련작용, 진통작용, 이뇨작용, 결석의 용해와 생성 억제 작용 및 항염·항균작용 등의 여러가지 약효를 가지고 있어 결석으로 인한 통증과 염증을 신속히 제거하고 결석의 배출을 촉진시켜 준다.
티아자이드(Thiazide) 이뇨제
신장에서 칼슘의 재흡수를 촉진시켜 뇨로 분비되는 칼슘의 양을 낮춤으로써 칼슘석을 치료하는 약물이나 저칼륨혈증과 저구연산뇨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구연산칼륨 제제(유로시트라)와 동시에 투여하여야 한다.
Sodium Cellulose Phosphate(SCP)
이온 교환 수지 성분으로 뇨로 분비되는 칼슘의 양을 낮춤으로써 칼슘석을 치료하나 일시적으로 사용된다.
Orthophosphate
Allopurinol
고요산뇨를 보이는 칼슘석 환자에서 식이제한으로 고요산뇨가 조절되지 않을 때와 통풍 환자에서 발생하는 요산석 치료제로 사용된다.
6. 예방
요로 결석의 재발율은 20~70%까지 보고되어 있으므로 요로 결석이 한번 생긴 분들은 다시 결석이 재발할 수 있으므로 그 예방에 각별히 주의합니다.
요로 결석을 예방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평상 시에 물을 많이 마십니다. 보통 성인의 경우 하루 10잔 이상의 물을 마시도록 권합니다. 물을 많이 마시면 요관에서 작은 결석을 씻어 내려보낼 수 있으므로 매우 좋습니다. 또한 소변량이 늘기 때문에 새로운 결석이 생기는 것을 예방해 줍니다.
콜라나 과일쥬스, 차는 결석 성분의 하나인 수산이 많이 들어 있으므로 섭취를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맥주는 수분 섭취와 함께 이뇨작용이 있기 때문에 일시적인 도움은 되지만 이뇨 작용 후에는 탈수 현상이 나타나므로 효과가 반감되며, 요로 결석의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맥주를 섭취하는 것은 바람직 하지 않습니다.
7. 식이요법 , 수분섭취
· 과칼슘뇨가 있으면 칼슘섭취(유제품 등)를 감소시킵니다.
· 수산염 결석이 있는 경우 차, 코코아, 인스턴트 커피, 콜라, 맥주, 콩, 시금치, 감귤사과, 포도 등의 고수산염 함유 식품을 피합니다. 비타민 C의 과량섭취는 요중 수산배설을 증 가시킵니다.
· 요산결석의 경향이 있으면 저퓨린식이를 합니다. 치즈, 육류의 내장 등을 제한합니다.
· 식이요법으로서 소금을 많이 섭취하면 결석을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음식을 짜게 먹지 않도록 한다.
· 수분섭취는 하루 소변량이 적어도 2리터 이상 되도록 하여야 하며, 이 경우 결석재발율 을 60%까지 줄일 수 있다.
** 참고 문헌
1, 임상 간호 매뉴얼
현문사 , 99년 9월 30일 발행, 저자 고일선
2, www.pharmbio. co.kr
3. www.nurscape. co.kr
4. 성인 간호학
현문사 ,98년 8월 30일 발행, 저자 전시자
즉 요로 결석은 신장, 요관, 방광, 요도 등에서 발견되는 결석입니다.
요로 결석은 20-40대 남성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1. 요로 결석의 원인
소변에는 많은 노폐물이 섞여 나오며 이들 중 칼슘이나 수산염, 인산염이 소변에서 결석을 만드는 대표적인 물질입니다. 소변에 이런 물질들의 농도가 높아지면 결석을 만들 수 있는 침전물(핵)이 만들어지고 오랜 시간 동안 소변 안에 있는 물질들이 이 핵에 붙어서 결석이 점점 커집니다. 체질적으로 소변에서 수산, 칼슘, 시스틴, 요산 같은 물질을 많이 배출하는 경우 요석이 생기기 쉽습니다.
결석은 처음 만들어 지는 시기에는 신장에 종유석처럼 붙어있습니다. 이 상태에서 증상 없이 떨어져 나와서 소변을 통하여 배출되기도 하지만 요관이나 방광에 걸려 그 자리에서 계속 크기가 커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요로계에 형태적으로 좁은 부위에 걸린다든가 염증이 있을 때에도 결석이 많이 생깁니다.
2. 진단
옆구리에 참을 수 없는 통증이 있는 경우 손으로 콩팥이 위치하고 있는 옆구리 부위를 탁탁 칠 때 심한 통증이 유발된다면 요로 결석이 있을 확률이 높습니다.
확진을 위해서 소변검사와 X 선 검사를 합니다. 결석이 좁은 요관을 빠져나오면서 요관에 상처가 생겨서 미세하지만 출혈이 되기 때문에 소변에서 적혈구들이 관찰됩니다. X선 사진에서도 결석이 보이는 경우가 흔하게 있습니다.
경정맥요로조영술(IVP)을 시행하여 결석이 어느 부위에 있는지, 신장기능에는 이상이 없는지, 요로가 좁아져 있지는 않은지도 알아봅니다. 특수한 경우에는 초음파 검사를 하기도 합니다.
3. 증상
요로 결석의 가장 큰 특징은 아주 심한 통증이 갑자기 발병하는 것입니다. 특히 요관에 결석이 생겼을 때의 통증이 가장 심합니다.
결석이 작을 때에는 증상이 없다가 결석이 증상을 유발할 만큼 커지는 경우나 신장에서 떨어져 나온 결석이 요관을 지나게 될 때 특징적인 통증이 나타납니다. 요석이 요로를 따라서 천천히 내려오는 동안 20-60분 주기로 옆구리에 매우 심한 통증이 생겼다가 사라지곤 합니다. 결석의 위치에 따라서는 고환 아래쪽으로 통증이 퍼져 나갈 수도 있습니다.
4. 합병증
요관이 늘어나고 신장이 손상을 받게 되는 수뇨관증과 수신증, 그리고 요로 계통의 염증이 합병될 수 있습니다.
5. 치료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대개 결석의 크기나 위치에 따라서 치료 방법이 달라집니다. 결석의 크기가 5mm 미만으로 작은 경우는 자연 배출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진통제를 복용하여 통증을 조절하면서 결석이 빠져나가길 기다립니다. 이때 수액을 맞고, 물을 많이 마셔서 소변량을 늘려서 돌이 잘 빠져나오도록 합니다.
크기가 5-20mm 사이의 결석은 체외 충격파 쇄석술이 적절한 치료입니다. 하지만 3회 이상의 체외 충격파 쇄석술에도 돌이 깨지지 않는 경우, 요관의 좁은 부위에 돌이 걸려서 내려오지 않는 경우는 직접 수술을 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결석이 방광이나 요도에 있는 경우는 거의 모두 방광요도경(방광내시경)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약물요법
구연산칼륨(Potassium citrate)
구연산칼륨 제제는 1985년 미국 FDA로부터 공인받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요로결석 치료제
테르펜(Terpene) 화합물
주로 정유, 수지, 또는 식물성의 방향 산물에 의해 생성되는 테르펜 화합물은 항경련작용, 진통작용, 이뇨작용, 결석의 용해와 생성 억제 작용 및 항염·항균작용 등의 여러가지 약효를 가지고 있어 결석으로 인한 통증과 염증을 신속히 제거하고 결석의 배출을 촉진시켜 준다.
티아자이드(Thiazide) 이뇨제
신장에서 칼슘의 재흡수를 촉진시켜 뇨로 분비되는 칼슘의 양을 낮춤으로써 칼슘석을 치료하는 약물이나 저칼륨혈증과 저구연산뇨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구연산칼륨 제제(유로시트라)와 동시에 투여하여야 한다.
Sodium Cellulose Phosphate(SCP)
이온 교환 수지 성분으로 뇨로 분비되는 칼슘의 양을 낮춤으로써 칼슘석을 치료하나 일시적으로 사용된다.
Orthophosphate
Allopurinol
고요산뇨를 보이는 칼슘석 환자에서 식이제한으로 고요산뇨가 조절되지 않을 때와 통풍 환자에서 발생하는 요산석 치료제로 사용된다.
6. 예방
요로 결석의 재발율은 20~70%까지 보고되어 있으므로 요로 결석이 한번 생긴 분들은 다시 결석이 재발할 수 있으므로 그 예방에 각별히 주의합니다.
요로 결석을 예방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평상 시에 물을 많이 마십니다. 보통 성인의 경우 하루 10잔 이상의 물을 마시도록 권합니다. 물을 많이 마시면 요관에서 작은 결석을 씻어 내려보낼 수 있으므로 매우 좋습니다. 또한 소변량이 늘기 때문에 새로운 결석이 생기는 것을 예방해 줍니다.
콜라나 과일쥬스, 차는 결석 성분의 하나인 수산이 많이 들어 있으므로 섭취를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맥주는 수분 섭취와 함께 이뇨작용이 있기 때문에 일시적인 도움은 되지만 이뇨 작용 후에는 탈수 현상이 나타나므로 효과가 반감되며, 요로 결석의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맥주를 섭취하는 것은 바람직 하지 않습니다.
7. 식이요법 , 수분섭취
· 과칼슘뇨가 있으면 칼슘섭취(유제품 등)를 감소시킵니다.
· 수산염 결석이 있는 경우 차, 코코아, 인스턴트 커피, 콜라, 맥주, 콩, 시금치, 감귤사과, 포도 등의 고수산염 함유 식품을 피합니다. 비타민 C의 과량섭취는 요중 수산배설을 증 가시킵니다.
· 요산결석의 경향이 있으면 저퓨린식이를 합니다. 치즈, 육류의 내장 등을 제한합니다.
· 식이요법으로서 소금을 많이 섭취하면 결석을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음식을 짜게 먹지 않도록 한다.
· 수분섭취는 하루 소변량이 적어도 2리터 이상 되도록 하여야 하며, 이 경우 결석재발율 을 60%까지 줄일 수 있다.
** 참고 문헌
1, 임상 간호 매뉴얼
현문사 , 99년 9월 30일 발행, 저자 고일선
2, www.pharmbio. co.kr
3. www.nurscape. co.kr
4. 성인 간호학
현문사 ,98년 8월 30일 발행, 저자 전시자
키워드
추천자료
한국의 무속신앙과 전통의 신
(공공관리론) 신공공관리론의 등장배경 및 주요특징
[인적자원관리]노사갈등과 신노사문화 정착을 위한 해결방안 모색 (A+리포트)
KT - 변화시대의 신 경영 패러다임
노무현 참여정부의 신경찰정책 변화실태 및 개혁과제
공공부문의 개혁과 신 공공관리론의 이론적 기초
[세계질서]신 세계질서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EBS 다큐프라임이 제작한 신과 다윈의 시대를 잃고 요약하기
인터넷 신 경제와 버블의 등장배경, 유래, 개념, 원인, 내용, 비교분석, 장점, 단점, 수요 공...
- 떠오르는 신 빈곤층인 근로빈곤층 -
(신)자유주의와 유교공동체주의의 윤리관 비교
니코스 풀란차스 (신마르크스주의, 풀란차스의 관점).p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