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교사 후생관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⑴ 선교사의 자녀 교육

언어공부

개척교회

⑵ 선교사 보수 교육
⑶ 선교사 언어훈련 과정

본문내용

의 소통이 될 정도만 훈련을 받는다. 이때에 선교지가 어느 정도 결정된 선교사들인 경우는 선교지 언어를 공부한다. 하지만 이것조차도 매우 초보적인 단계를 벗어나지 않는다. 또 그들이 선교지 언어를 공부한다고 하여도 중,상류층 사회가 사용하는 언어들 곧 식민주의자들이 사용하던 언어들을 배울 수 있을 뿐이다. 예를 든다면 서부 아프리카의 경우 영어 또는 불어가 중요한 통용언어이며, 남미의 아르헨티나, 파라과이, 볼리비아 등지는 스펜인어가 브라질은 포르투칼어가 사용된다. 그러나 좀더 하류층이나 원주민들을 대상으로하고자 하면 또 달라진다. 케냐의 경우 영국의 지배하에 있었기 때문에 영어를 구사하면 도시나 식자층(識者層)에서는 통용이 되지만 하류층은 어렵다. 그들은 그 나라 국어인 스와힐리어를 사용한다. 그러므로 선교사들은 스와힐리어를 공부해야 한다. 그렇다고 전 케냐 지역을 다 감당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또 다시 부족 단위로 선교를 하고자 하면 다시 그 부족어를 배워야 한다.
이같은 경우는 현재 선교의 대상 지역인 제3세계 즉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대부분, 중남미 지역은 다 공통적인 현실이다. 그러므로 선교사가 영어를 유창하게 구사한다고 할찌라도 그에게는 3년 이상의 언어 공부기간이 필요하다. 이 시기는 실제로 선교사들이 자기의 계획대로 구체적이고, 확실한 선교 사업을 전개해 나가지 못하고 선배들의 사역을 도우며, 언어를 배우게 된다. 이러한 시기를 파송교회나 후원교회는 이해해야 한다. 그러므로 그들을 독촉해서는 안된다. 그같이 할 때는 선교사들이 고민하게 되고 파송교회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때로는 과장보고를 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선교사는 시험에 들게 되고 선교사역에 대한 열의를 잃게 되어 결국 선교를 그르치게 한다. 이같은 예를 선교 현장 이야기라는 책에서 잘 언급하고 있다.
미국에서 아프리카로 파송받는 한 선교사가 고국으로부터 요구하는 선교실적 때문에 고미하다가 선교지 부임한지 1년이 안되어 세례를 여러 몇 베풀고 결신자를 내었다는 보고를 하였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선교비가 제대로 지급되지 않을 것이 분명했기 때문이다. 이 사실을 선교사 부인은 알고 만류했으나 결국은 그대로 파송교회에 보고했던 것이다.선교사는 이 일로 딜레마에 빠졌고 고민하기 시작하였다. 드디어 고국에서 귀국하여 보고하라는 지시가 왔다. 선교사는 본국으로 돌아가 선교보고를 하게 되었다. 그는 강대상에서 선교보고를 하면서 과거의 선교보고서가 과장된 것임을 실토한다. 즉 세례를 베푼 것이나 결신자가 나오도록 한 것은 자신이 아니고 선배 선교사였으며, 자신은 그들과 함께 있어 그들의 사역을 도왔을 뿐이라는 것이다. 이 소식을 들은 파송교회나 보고를 한 선교사 모두 회개를 했고 다시 선교사를 격려하여 선교지로 돌아가게 하였다는 기사가 있다.이 이야기는 우연히 생긴 이야기가 아니다. 도리어 선교지에서 아주 빈번하게 일어나는 실례이다. 이상에서 볼 때 보내는 선교사나 가는 선교사 모두 노력하지 않으면 하나님의 일을 하기에 어려움이 있다는 사실을 알았을 것이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7.13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71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