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학의 이해- 버스 중앙차로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면 처음 주제를 정할 때부터 과연 이러한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관련을 맺고 있긴 하나 가볍게 넘겨 버릴수 있을 것 같은 문제를 정치학적 관점서 바라보고 토론의 주제가 될 수 있을까? 또 자유와 질서라는 이면의 모습을 발견하고 열띤 토론을 했던 일들을 생각해 보면 정치학 내지는 정치적인 모습이 우리 주변 곳곳에 널려 있음을 새삼 깨닫게 된다. 조원들 대부분이 버스중앙차로에 대해 자유보단 질서를 택한 이유는 나름대로 자리를 잡아가는 버스정책과 혼란의 진정 국면등을 지켜보며 승용.승합차나 택시등의 자유를 제한한 반면 대중교통으로서 시민의 발이라 할 수 있는 버스중심의 도로정책을 통해 그동안 무질서 하고 비체계적이던 버스제도에 일대 혁명이라 할 수 있는 처방으로 질서를 택했다고 판단한 것이다. 또한 우리가 앞서 배웠던 절차적 민주주의(Procedural Democracy)측면서 살펴 볼때 이 부분이 특히 미흡했다고 판단된다. 즉, 충분한 논의와 사전검증 및 준비없이 시간에 쫓겨 서둘러 시행하다 보니 많은 문제점이 일시에 불거진 것에 대해 당사자인 시장도 사과 했듯이 어느 누구도 이의가 없으리라고 보기 때문이다. 이번의 정치학 팀별 프로젝트를 수행함에 있어 조원들과 다양한 의견과 토론을 벌이는 과정에서 정치학이란 것이 우리 생활속의 한 부분에 자리잡고 있으며 우리가 의식하든 무의식중이든 정치적인 삶을 살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다만 거기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올바르게 배운 것들을 현실을 살아가면서 제데로 접목시켜 올바른 실천을 하는 것이 중요하리란 생각을 끝으로 팀별 정치학 프로젝트를 마치고자 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07.13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71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