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로우 푸드 운동에 대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글

Ⅱ. 패스트푸드(fast food)
1. 패스트푸드의 특징(이점)
2. 합리성의 불합리성

Ⅲ. 슬로우푸드(slow food) 운동
1. 슬로우푸드 운동의 의의
2. 슬로우푸드 운동의 주요활동
3. 슬로우 라이프 운동
4. 슬로우푸드 운동의 과제와 전망

Ⅳ. 나오는 글

본문내용

지 않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슬로우푸드 운동이 지속되려면 청소년들의 호응이 있어야 하는데, 현재 청소년들의 호응이 낮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는 것이다. 청소년들의 경우 슬로우푸드보다는 패스트푸드에 더 익숙하고, 그들 자체가 활동적이기 때문에 슬로우 철학을 받아들이고 그것을 생활화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셋째, 슬로우푸드 운동이 다른 운동과의 연대가 비교적 약하다는 점이다. 이탈리아에서 슬로우푸드 운동과 연대해있는 운동으로는 슬로우 시티(slow city) 운동이 있지만, 노동운동이나 환경운동과의 연결은 약한 편이다.
슬로우푸드 운동이 갖는 이러한 문제점이 이 운동의 확산을 제한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슬로우푸드 운동의 회원규모나 회원이 점차 늘어나는 것을 볼 때 이 운동은 상당히 전망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더욱이 근래 들어 드러나고 있는 산업형, 공장형 농업과 축산의 부작용(예컨대 광우병 파동)은 슬로우푸드 운동이 확산되는데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유럽에서는 슬로우푸드를 실천하는 도시가 그렇지 않은 도시보다 경제적 안정과 번영을 가져오는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
Ⅳ. 나오는 글
인간 역시 생명체이기 때문에 먹는 것 없이는 살 수 없다. 따라서 그것은 어떤 것을 선택해야만 한다. 그런데 먹는 것은 건강과도 직결된 문제이며 또한 환경, 문화 등과도 상관이 있다. 따라서 우리가 먹을 것을 직접 선택하는 문제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패스트푸드는 분명히 효율성과 합리성을 근거로 하고 있지만, 그 합리성으로부터 오는 불합리성이 확실하고 그것이 우리의 몸(건강)과 직결되고 우리의 농촌문제와도 상관이 있다면 우리가 선택해야 할 길은 보다 명백해진다.
패스트푸드, 혹은 패스트푸드의 원리(맥도날드화)가 지배하는 사회의 불합리성에 대한 대안은 앞에서 알아보았던 슬로우푸드, 슬로우라이프 운동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패스트푸드가 절대적으로 문제가 있고 절대적인 대안이 슬로우푸드라는 말은 아니다. 슬로우푸드 운동이 확산되고 있지만 아직 패스트푸드의 위력이 줄어들지 않는 것은 패스트푸드의 매력을 아직 못 떨쳐 냈지 때문일 것이다. 더 늦기 전에 위에서 지적한 몇 가지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슬로우푸드 운동이 확산되어 우리의 식습관, 생활 습관이 바뀌어야 할 것이다.
※ 참 고
조지 리처, ‘맥도날드 그리고 맥도날드화’
경남대 김종덕 교수 홈페이지 (http://www.kyungnam.ac.kr/jdk)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7.14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73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