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친일 진상 규명, 그 배경과 의의.
2. 역사 속의 친일 행적
가. 친일, 그 배족의 실태
나. 친일파의 식민지 교육의 잔재와 그 청산문제
다. 친일자들의 화려한 변신
3. 친일파 청산운동의 현대적 의의와 과제
2. 역사 속의 친일 행적
가. 친일, 그 배족의 실태
나. 친일파의 식민지 교육의 잔재와 그 청산문제
다. 친일자들의 화려한 변신
3. 친일파 청산운동의 현대적 의의와 과제
본문내용
에 의해 이루어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의 저서인 『친일문학론』은 이 시기부터 민주투쟁으로 수감된 학생들의 옥중 필독서의 하나로 자리잡았다. 그리하여 아직은 친일분야가 하나의 연구 분야로 정착되지는 못하였으나, 진보적인 소장 연구자들과 이들에게 커다란 감화를 두었던 민중민족주의적 분위기의 선배학자들이 조심스레 친일문제의 실상을 하나씩 풀어나가고 있다. 이렇듯 1980년대를 필두로 삼아, 그 이후의 민주화세대는 1990년대 이후 친일문제를 지식사회로부터 대중사회로 연결시키는 데 있어 일정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앞으로도 더욱 친일청산운동에 앞장서 나가는 것은 그 누구도 아닌 우리들 모두를 주역으로 삼아 '친일파' 처단과 '진상 규명'에 대한 강고한 투쟁을 계속하여 나갈 것을 바라며 결론을 마친다.
추천자료
4대 개혁 입법등 주요 쟁점법안 총정리
국가보안법 폐지에 관한 고찰
여성주의적 관점에서의 역사 재현 시도- 여성이론가 김경미를 중심으로
[친일파][반민특위][의열투쟁][친일파 처단 활동]친일파의 활동과 해방후 진로 및 반민특위와...
4대 개혁법안
1965년 한일국교정상화와 한일관계
한일 국교수립의 문제점 한일협정
일본군 위안부(한국근현대사)
참여정부의등장과국민경선(노무현대통령의삶)
아편전쟁 이후부터 5.4운동 이전까지 중국현대역사상 발생한 사건을 하나 선택하여 그에대해 ...
아나키즘
[한국민족운동사] 일본군성노예의 용어문제, 종군위안부, 일본군성노예의 정책의 설립과 운영...
시기,사회분야별 친일 배경과 대표적인 친일파의 활동을 고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