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을 위한 해결중심 단기상담 기법의 적용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초등학생을 위한 해결중심 단기상담 기법의 적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초등학교에서의 상담 : 문제와 해결

2. 해결중심 상담기법이란?

3. 해결중심 단기상담 기법의 원리 (Basic Assumptions)

4. 알고 싶어하는 기술 (Skills for Not Knowing)

5. 학생이 원하는 것에 주목하는 방법

6. 학생이 원하는 것을 확대하는 방법 (Miracle Questions)

7. 강점과 성공에 기초한 해결책 구축하기 (Solution Building)

8. 학생을 위한 ‘메시지’쓰기 (Message)

9. 전체를 연결하기 (Connecting the Pieces)

10.초등학생을 위한 SFBC 기법

11.첫 만남 이후의 상담방법 (Subsequent Session)

12.참고문헌

13.인터넷 사이트

본문내용

르게 반응하겠니?”
예외탐색(Exceptions)
"이런 기적 중에 몇 가지 일어난 일이 있었으면 얘기해줄래? 아주 사소한 것이라도."
“기적이 아니더라도, 문제가 덜 심각했던 경우가 있었으면 말해줄래?”
(흥을 돋궈준다 : Cheerleading)
척도질문 (Scaling)
"자 여기 1부터 10까지 있는데, ‘1’은 모든 상황이 제일 나쁜 것이고
‘10’은 바로 기적이 일어난 경우라고 해보자. 너는 지금 어디 있니?“
(칭찬해주며)
“지금과 다음 단계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한 단계를 올리려면 무엇을 해야할까?”
그밖에 내가 물어볼 것이나 알아야 될 내용이 있니?
메시지(Message)쓰기
칭찬(적어도 3개)+연결고리+과제
10.초등학생을 위한 SFBC 기법
1) 기적질문의 변형
① 그림 그리기
기적질문을 한 후에 기적상황을 말이 아닌 그림으로 표현하게 한 후 그 그림에 대해 질문을
통해 탐색하는 것으로 문제가 해결된 상황을 그림으로 그리게 되면 저항감이 줄어지고 탐색
의 과정이 원활해진다. 이 기법은 언어적 표현보다 비언어적 표현을 좋아하는 아동이나 저
학년 아동의 경우에 효과적이다.
② 손인형 이용하기
아동의 양손에 두 개의 인형이 필요하고 상담자는 한 개 또는 두 개의 손인형을 사용할 수
있다. 아동손의 한 쪽 인형은 문제상황에 대한 자신을 상징하고, 반대편 인형은 문제상황에
대한 예외상황을 나타내는 손인형으로 사용한다. 상담자는 한 개의 인형을 통해 동일한 문
제상황을 두 인형에게 각각 물어봄으로써 좀더 쉽게 예외상황을 통한 해결책 구축을 이뤄낼
수 있다.
③ 이야기 만들기
이야기를 상담자가 만들어 주는데 3명의 인물을 설정해야 한다. 주인공은 내담자 아동과 비슷하게 꾸미고 주인공을 도와주는 도우미를 설정하는데 도우미는 아이가 좋아하는 만화나 캐릭터 또는 동물 중에서 뽑는 것이 좋다. 마지막으로 문제를 상징하는 악역을 설정하는데 두려움을 표현하는 괴물이나 포악한 동물로 정할 수 있다. 아동의 문제 상황과 비슷한 상황으로 이야기를 꾸미는데 그 문제가 악역을 통해 나타나도록 한다. 도우미는 주인공이 문제를 해쳐 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데 주인공이 적어도 3번의 실패를 경험한 후 주인공의 노력을 통해 목표를 이루게 되고 힘과 용기를 되찾는 식으로 결말을 맺는다. 이러한 이야기는 자신의 문제를 객관적인 입장에서 보는 관점을 가지도록 도와주며 이야기의 진행을 아동이 직접 수정하면서 스스로 해결점을 찾도록 도울 수도 있다.
2) 척도질문의 변형
① 성공 탑 쌓기
여러 가지 블록(레고)이 담겨있는 바구니를 아이에게 주고 탑을 쌓는 형식을 이용하는 것으로 지난 회기 이후에 잘 되었던 점이(예외) 있을 때 마다 블록을 하나씩 쌓게 할 수 있다. 만일 부모나 교사가 예외행동을 관찰한 경우에는 함께 블록을 쌓으며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
② 숫자판 이용하기
바닥에 많이 깔아서 사용하는 스폰지형 숫자판을 바닥에 깔아놓고 현재 어디쯤에 있는지 그 점수에 가서 서게 한다. 1점에서 어떻게 까지 현재의 점수까지 이동했는지 각 단계별로 예외상황을 탐색하게 하며 숫자판 위에서 이동하게 하고 앞으로 나아갈 목표점수의 행동을 탐색할 때에도 같은 형식으로 사용한다.
③ 얼굴 스펙트럼
숫자를 얼굴모양으로 변형하여 1점의 칸에는 가장 슬픈표정을 10점에는 가장 기쁜표정을 그
리고 중간과정은 표정의 변화된 얼굴로 채워서 일반적인 척도질문의 사용과 같은 형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11.첫 만남 이후의 상담방법 (Subsequent Session)
첫 회기 이후 학생과 갖게 될 모든 회기의 목적은 동일하다. 학생에게 ‘무엇이 나아졌는지’를 중심으로 대화를 시작하고 유지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예외’상황을 추적하게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예외를 확대하기 위해 ‘척도질문’을 다시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이후의 과정은 첫 회기와 동일하다.
Tips : EARS : 첫 회기 이후의 상담기술
Eliciting : 예외상황을 이끌어 내는 것
Amplifying : 그 예외를 확대하는 것
Reinforcing : 예외를 통해 나타난 성공과 강점을 강화하는 것
Start again : 또 무엇이 나아졌는지 다른 예외상황을 이끌어 내는 것
12. 참고문헌
Berg,I.K & Steiner,T. (2000) 「아동청소년에 대한 해결중심치료의 적용」
단기가족치료센터 한국본부
Allen E. Ivey (1994)「Intentional Interviewing and Counseling」 CA : Brooks/Cole
*DeJong,P. & Berg,I.K. (1998)「Interviewing for Solutions」CA :
Brooks/Cole. 허남순노혜련 공역 (2000) 「해결을 위한 면접」 서울 : 학문사
*Gerald B. Sklare (1997) 「Brief Counseling That Works」(A Solution-Focused
Approach for School Counselor) CA : Corwin Press
Walter,J.S. & Peller.J.E. (1992)「Becoming solution-focused in brief therapy」
NY:Brunner/Mazel 가족치료연구모임 역 (1996)「단기가족치료」
(해결중심으로 되어가기) 서울 : 하나의학사
John J. Schmidt (1998) 「Counseling in Schools」(Essential Services and
Comprehensive Programs) MA : Allyn and Bacon
13. 인터넷 사이트
*http://www.brief-therapy.org/ : 단기가족 치료센터 미국본부
*http://myhome.naver.com/dovepark/ : 단기가족치료센터 (SFBT 한국지부)
http://www.brieftherapynetwork.com/ : SFBT에 관련된 종합정보
http://www.gingerich.net/SFBT/:SFBT에 관한 Gingerich 교수의 자료들
http://www.enabling.org/ia/sft/ : SFBT에 관한 간략한 정보들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5.08.01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86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