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각기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 감각의 기본 특징
1) 감각의 의미
2) 감각기관(sense organ)
3) 감각변환
4) 자극과 반응의 법칙
5) 적응

Ⅱ. 감각의 종류
1. 감각수용기의 분류
1) 기계적수용기
2) 화학수용기(chemoreceptor)
3) 광수용기(photoreceptor)

Ⅲ. 감각수용기
1. 기계적수용기
1) 청각수용기
(1) 여러 동물의 청각기
㉠ 곤충의 청각기 ㉡ 척추동물의 청각기
(2) 사람의 청각기
2) 평형수용기
(1) 무척추 동물의 평형기
(2) 사람의 평형기
3) 피부수용기
(1) 감각점
(2) 피부감각수용기
(3) 동물의 피부감각기
2. 화학수용기
1) 화학수용기 비교
(1) 무척추동물의 화학수용기
(2) 척추동물의 화학수용기
2) 미각수용기
(1) 사람의 미각기
(2) 맛의 종류
3) 후각수용기
㉠ 무척추동물의 후각수용기 ㉡ 척추동물의 후각수용기
3. 광수용기
1) 시각
(1) 무척추동물의 시각
(2) 척추동물의 시각
(3) 안구의 구조
(4) 시각의 성립 경로
(5) 근시와 원시
(6) 로돕신의 광화학반응
(7) 명순응과 암순응

본문내용

지주세포(supporting cell) 및 기저세포(basal cell)로 구성되어 있 다.
ⓐ 후각세포
원주상인 지주세포 사이에 끼워져 있으며, 적은 양의 세포질과 큰 핵을 가진 이극성 신 경세포이다. 후각세포의 내강쪽 세포질 돌기인 수상돌기는 점막의 표면까지 뻗쳐 있고,그 끝에는 후모가 나있다.
ⓑ 지주세포 - 후각상피의 지주성분
ⓒ 기저세포 - 예비세포
3. 광수용기
1) 시각
(1) 무척추동물의 시각
① 플라나리아 : 두 개의 안점을 가지고 있고, 빛에 의해 자극되는 눈으로 방향 감지
② 갑각류 : 홑눈(simple eye) 과 곁눈(compound eye)을 가짐.
·홑눈 - 렌즈가 없고 유생 단계에서 나타나는 눈
·곁눈 - 낱눈(ommatidia)이라는 시각 단위가 많이 모여 이루어진 눈으로 아주 미세한 움직임도 감지되며, 180。의 시야를 형성한다.
(2) 척추동물의 시각
안구 : 질기고 흰 콜라겐성 불투명한 공막으로 싸여있고 튀어나온 앞쪽 부분은 투명한 각막(corna)에 의해 싸여 있다.
① 공막 : 동공의 모양 유지 , 눈을 움직이는 수의근 부착
② 각막 : 굴곡성 때문에 초점을 맞추는 데 도움을 준다. 혈액이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산소는
확산 통해 공급된다.(면역세포 없다)
③ 맥락막 : 공막 바로 안쪽에 있으며 혈관이 고도로 분포하며, 홍채를 지지한다.
④ 홍채 : 중앙에 동공이 있는데 동공의 크기를 조절한다.
⑤ 수정체 : 근육에 의해 고정, 수정체 뒤에는 젤로 채워진 커다란 공간이 있다.
⑥ 망막 : 맥락막 안쪽에 있고 빛에 민감하며 신경세포를 포함한다.
㉠ 시세포
ⓐ 원추세포 (cone or 추상체 ) : 망막의 중앙부인 황반 부근에 많으며, 강한 빛을 수용하
고, 물체의 형태 외에 색깔을 구별한다. 추상체에는 각각 다른 옵신 단백질을
가지는 세 종류의 추상체가 존재한다. 옵신에 흡수되는 빛이 455nm(청색
흡수), 530nm(녹색 흡수), 625nm(적색흡수)로 각각 다르다. 이 세 종류의
추상세포로부터 오는 신호의 강도를 비교해서 뇌는 여러 색깔을 인식한다.
또한, 형태의 차이는 부착된 레틴알(reeinal) 색소에 흡수되는 빛의 파장 변
화에 따라 유연성을 갖는다. 적색과 녹색에 반응하는 옵신은 성염색체 (X염
색체)에 유전자가 존재하고, 청색에 반응하는 옵신은 상염색체에 유전자가
존재한다. 따라서, 적녹색맹은 성염색체 유전이고, 청색색맹은 상염색체 유
전이다. 추상체에 존재하는 시각색소는 간상체에 존재하는 로돕신과 유사한
색소로서, 아이오돕신(iodopsin)이라 한다. 이들을 구성하는 옵신은 추상체
옵신(cone opsin : photopsin)이라 한다.
→ 주행성 동물에 발달
ⓑ 간상세포 (rod) : 망막 주변에 많으며, 약한 빛을 수용하고, 명암이나 물체의 형태를
구별한다. 간상체에서 빛은 500nm에서 흡수된다.
→ 야행성 동물에 발달
㉡ 황반 : 추상체가 많이 모여 있어서 상이 가장 선명하게 맺히는 곳이다.
⑦ 모양체 : 수정체의 두께 조절.
⑧ 동공 : 홍채의 중심에 있는 열린 구조로써, 밝은 곳에서는 홍채가 좁아짐에 따라
동공이 작아지고, 어두운 곳에서는 홍채가 이완됨에 따라 동공이 커짐.
(3) 안구의 구조
(4) 시각의 성립 경로
빛이 눈에 들어와 시신경을 흥분시키면 그 흥분이 대뇌의 시각 중추에 전달되어 시각을 발생시 킨다.
빛 → 각막 → 동공 → 수정체 → 망막의 시세포 → 시신경 → 대뇌의 후두엽
(5) 근시와 원시
① 근시(Nearsightedness)
안구가 너무 길거나 혹은 빛에 대한 수정체의 굴절이 너무 심할 때, 상의 초점이 망막 앞 에 맺힌다. 따라서 가까운 곳은 잘 볼 수 있지만, 먼 곳은 잘 보지 못한다. 오목렌즈를 사 용하여 교정한다.
② 난시(Astigmatis)
물체의 초점이 망막에 두개이상 맺히는 현상으로 정도가 가벼운 경우 시력장애는 없으나 눈이 쉽게 피로해짐
③ 원시 (far-sightedness)
안구가 너무 짧거나 혹은 빛에 대한 수정체의 굴절이 너무 약하면, 상의 초점이 망막 뒤 에 맺힌다. 따라서 가까운 곳은 잘 볼 수 있지만, 먼 곳은 잘 보지 못한다. 볼록렌즈를 사 용하여 교정한다.
④ 노안 :
노화때문에 수정체의 탄력성이 약해져 가까운 곳을 볼 때 수정체가 제대로 조절되지 않아 원시현상이 일어나는 것
⑤ 원근조절
먼곳의 물체를 볼때
모양체근이 이완하고 인대가 수축(긴장)함에 따라 수정 체는 평평하고 얇아짐, 빛이 조금만 굴절
가까운곳의 물체를 볼 때
모양체근은 수축하고 인대가 이완(긴장이 풀림)됨에 따라 수정체는 두꺼워져 초점거리가 짧아진다.
⑥ 두개의 눈이 있어야 하는 이유
물체의 높이와 넓이 뿐만 아니라 거리와 깊이와 위치를 인지하는 입체시야(Sereoscopic Vision)는 대부분 두 안구의 동공이 6-7㎝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즉, 오른쪽 눈과 왼쪽눈에 맺히는 영상은 약간 다르며, 이들 두 영상은 어느정도 서로 겹쳐지게 되고 대뇌의 시각피질에 의해 해석되며 그결과는 3차원으로 한개의 대상물로 인지하게 됩니다.
(6) 로돕신의 광화학반응 : 시각은 로돕신(rhodopsin, 시홍)의 광화학 반응으로 일어난다. 로돕신은 간상체에 들어있는 적자색의 색소 단백질로 비타민 A와 유사물질인 레 틴알(retinal)과 옵신(opsin)으로 구성된 화합물이다.
(1) 로돕신의 과정
로돕신은 빛을 받으면 레틴알의 변형에 따른 옵신의 구조변화가 일어난다. → G단백질이 자 극을 받음 → 포스포디에스테라아제(cGMPase) → Na+채널 닫힘 → 간상체의 흥분 억제 → 쌍극세포의 차등성 수용기전위 발생 → 흥분이 시신경을 통해 대뇌에 전달 → 시각이 성립
(2) 로돕신의 분해로 생긴 레틴알과 옵신은 어두운 곳에서 다시 로돕신으로 재합성된다.
(7) 명순응과 암순응
(1) 명순응 : 갑자기 강한 빛을 받으면 로돕신이 한꺼번에 분해되므로 눈이 부시어 잘 볼 수 없 다가 추상체가 광화학 반응을 일으켜 보이게 된다.
(2) 암순응 : 밝은 곳에서 분해되었던 로돕신이 어두운 곳에 있는 동안 차차 재합성 되어 약한 빛에서도 시각을 느끼게 된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5.08.03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88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