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금의 역사,구조,조율과 음역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해금의 역사,구조,조율과 음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해금의 역사

해금의 구조

해금의 조율과 음역
(그림 있음)

본문내용

께 연주자의 손가락 동작을 감추는 데 요긴하게 쓰이지만, 풍속화나 근대 사진자료 속의 해금을 보면 낙영 없이 연주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
두 줄 중 안쪽 줄이 중현(中絃), 바깥 줄이 유현(遊絃)인데, 중현보다 바깥쪽에 있는 유현이 5도 높게 조율된다. 연주할 때는 반가부좌 자세로 해금의 공명통이 왼쪽 무릎부분에 닿도록 바로 세운다. 왼손은 입죽에 대고 엄지를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의 두 번째 마디의 안쪽을 이용하여 감아쥐고, 음높이에 따라 손가락을 떼거나 짚으며 줄을 움켜쥐는 안현법과 손목과 손가락의 힘을 이용해서 줄을 안팎으로 흔드는 농현(弄絃)법이 있다.
오른손은 말총이 팽팽하게 당겨지도록 활의 한족 끝을 버텨쥐고, 말총이 줄에 닿도록 힘을 가하여 밀거나 당겨 소리낸다. 활의 방향을 빠른 속도로 바꾸어 마치 소리를 채는 듯한 효과를 내는 '잉어질'기법이 있다.
추천음반 및 추천곡
지영희류 해금산조
계명곡 (작곡 : 김영재) <정수년의 해금세계 -실황->에 수록.
<오래된 미래 -강은일->, 서울음반, 2003.
, 도레미미디어, 2001.
자료출처
송혜진, 『한국악기』, 열화당, 2001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5.08.11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94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