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추진 배경
2. BT 전문인력 수급 현황 및 전망
3. BT 전문인력양성 추진현황 및 향후 계획
2. BT 전문인력 수급 현황 및 전망
3. BT 전문인력양성 추진현황 및 향후 계획
본문내용
센터(BVC)를 활용
* 8개 바이오벤처지원센터 : 강원(춘천시), 대전(생명연), 전북(생물센터), 전남(동신대), 경남(바이오21센터), 충북(영동대), 경북(상주대), 제주(제주대)
- 정부지원 : 센터당 5년간 장비구축비 50억원 지원(센터당 매년 평균 10억원)
ㅇ 사업 개요
- 사업기간 : '02∼'07(5년간)
- 총사업비 : 83억원(정부지원 : 32억원(산기반), '02년 4억원)
- 사업주관기관 : 한국바이오벤처협회(회장 : 한문희)
* 3개 기관(바이오벤처협회, 전남대, 동서대)에서 신청하였으나, 5.2일 심사를 통해 바이오벤처협회를 선정
- 사업내용
· 공통교재 등 프로그램 개발
· 멸균-발효-배양-분리·정제-농축·건조-제품화-공정자동화 등 생산기술인력 양성(위탁교육 및 실험실습 교육 중심)
- 교육 대상자 : 기업체 종사자, 대학연계 예비 산업화 인력 등
ㅇ 추진일정
- 6월까지 사업계획서를 보완하여 협약 체결(산자부-바이오벤처협회) 및 예산지원
* 특히, 바이오벤처지원센터별 특성을 고려한 교육과정 운영방안을 구체화
3 대학(원) 교육혁신 및 수요지향적 교육 지원('03년 예산 신청)
ㅇ BT 전문인력은 대부분 대학(원)에서 배출되고 있으나, 커리귤럼 등 교육내용이 현장 수요와 괴리되어 기여도 미흡
- 대학(원) 교육과정의 유연성·현장지향성 강화를 통한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력의 효율적 공급체계 구축이 시급
ㅇ 주요 사업
ⅰ. 산·학 협동과정 신설·확대 지원
- 대학원-업체 컨소시엄을 통한 현장중심의 교육과정 운영 지원
- 교수요원은 다양한 현장 경험과 know-how를 가진 업체·연구소·해외 전문가 등의 활용 지원
ⅱ. 대학(원)의 커리큘럼 개편 지원
- 기존 대학(원) 커리큘럼의 산업체 수요 지향적 개편을 지원하고 대학(원)의 특성화, 전문화 유도
ⅲ. 학제적 교육과정 신설·확대 지원
- BIT, BNT, BET 등 기술융합분야의 교육과정 신설·확대 및 교수 요원·교육기자재 확충 지원
ⅳ. 바이오안전성(Biosafety) 위해성평가·심사 전문가 양성
- 바이오안전성의정서 발효에 대비하여 UNEP에서 권고한 19개 기술분야 위해성 심사 전문가 양성(외국기관 활용)
ㅇ 추진방안 : 2003년도 예산에 반영 추진(총 30억원 신청)
* 산기반사업으로는 인력양성사업 확대에 한계가 있으므로 「생물산업육성(431-1500-1523)」 세항에 「BT 인력양성」을 세세항으로 신설하여 추진
* 8개 바이오벤처지원센터 : 강원(춘천시), 대전(생명연), 전북(생물센터), 전남(동신대), 경남(바이오21센터), 충북(영동대), 경북(상주대), 제주(제주대)
- 정부지원 : 센터당 5년간 장비구축비 50억원 지원(센터당 매년 평균 10억원)
ㅇ 사업 개요
- 사업기간 : '02∼'07(5년간)
- 총사업비 : 83억원(정부지원 : 32억원(산기반), '02년 4억원)
- 사업주관기관 : 한국바이오벤처협회(회장 : 한문희)
* 3개 기관(바이오벤처협회, 전남대, 동서대)에서 신청하였으나, 5.2일 심사를 통해 바이오벤처협회를 선정
- 사업내용
· 공통교재 등 프로그램 개발
· 멸균-발효-배양-분리·정제-농축·건조-제품화-공정자동화 등 생산기술인력 양성(위탁교육 및 실험실습 교육 중심)
- 교육 대상자 : 기업체 종사자, 대학연계 예비 산업화 인력 등
ㅇ 추진일정
- 6월까지 사업계획서를 보완하여 협약 체결(산자부-바이오벤처협회) 및 예산지원
* 특히, 바이오벤처지원센터별 특성을 고려한 교육과정 운영방안을 구체화
3 대학(원) 교육혁신 및 수요지향적 교육 지원('03년 예산 신청)
ㅇ BT 전문인력은 대부분 대학(원)에서 배출되고 있으나, 커리귤럼 등 교육내용이 현장 수요와 괴리되어 기여도 미흡
- 대학(원) 교육과정의 유연성·현장지향성 강화를 통한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력의 효율적 공급체계 구축이 시급
ㅇ 주요 사업
ⅰ. 산·학 협동과정 신설·확대 지원
- 대학원-업체 컨소시엄을 통한 현장중심의 교육과정 운영 지원
- 교수요원은 다양한 현장 경험과 know-how를 가진 업체·연구소·해외 전문가 등의 활용 지원
ⅱ. 대학(원)의 커리큘럼 개편 지원
- 기존 대학(원) 커리큘럼의 산업체 수요 지향적 개편을 지원하고 대학(원)의 특성화, 전문화 유도
ⅲ. 학제적 교육과정 신설·확대 지원
- BIT, BNT, BET 등 기술융합분야의 교육과정 신설·확대 및 교수 요원·교육기자재 확충 지원
ⅳ. 바이오안전성(Biosafety) 위해성평가·심사 전문가 양성
- 바이오안전성의정서 발효에 대비하여 UNEP에서 권고한 19개 기술분야 위해성 심사 전문가 양성(외국기관 활용)
ㅇ 추진방안 : 2003년도 예산에 반영 추진(총 30억원 신청)
* 산기반사업으로는 인력양성사업 확대에 한계가 있으므로 「생물산업육성(431-1500-1523)」 세항에 「BT 인력양성」을 세세항으로 신설하여 추진
추천자료
직업재활 상담사의 전문능력 조사연구
노인장기요양보험과 케어워커 제도의 전문성 모색
응급간호사와 응급전문간호사 역할
인적자원 개발과 기업교육의 개념 및 중요성과 기업교육전문가의 직업세계
교사양성제도(교원양성제도)의 분류, 교사양성제도(교원양성제도)의 시행기관, 교사양성제도(...
미래에 장애인복지전문가가 된다면
양성평등(남녀평등)과 교원, 양성평등(남녀평등)과 교육, 양성평등(남녀평등)과 성교육, 양성...
양성평등(남녀평등)과 가족, 양성평등(남녀평등)과 가족정책, 양성평등(남녀평등)과 경제, 양...
[정보기술산업, IT산업]정보기술산업(IT산업)과 남북경제통합, ADR(재판외 분쟁해결절차)제도...
양성평등(남녀평등)과 여성교육, 양성평등(남녀평등) 여성운동, 양성평등(남녀평등) 여성인적...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
종자산업의 태풍,자연재해 태풍,종자산업의 규모 및 부가치의 확대,세계 종자 산업 규모,바이...
농업계열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육과정 검토 (식품가공교과)
한국사회에서의 다문화사회전문가의 역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