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와 맹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공자
- 인
- 충서
- 예
- 대동세계

2.맹자
- 성선설
- 사단설
- 의
- 호연지기
- 왕도정치

3. 순자
- 성악설
- 인위

4. 삼강오륜

본문내용

기 위하여 인위적으로 만들어 낸 도덕적인 규범
㉳ 능력에 따른 차별을 현실적인 제도로 만들어 놓은 것
: 원래 예는 봉건적인 신분적 차별을 가정한 질서 원리였기 때문에 사회의 각 개인을 일률적으로 평등하게 취급하지 않고 차별을 당연한 것으로 가정한다.
이에 순자는 사회는 각기 다른 능력과 자질을 가진 개인들로 구성되며 그들 구성원들은 각자의 능력과 자질에 따라 각기 다른 대접을 받아야 한다. (선진유가는 분별을 중요시함)
㉢ 맹자의 왕도와 순자의 예치의 차이
: 순자는 인의의 도덕이 실현되려면 외적인 행동을 규제하는 예가 필요- 예치
맹자는 인간의 내면 속에 들어 있는 인의의 도덕을 바깥으로 확충할 것을 강조.
☞ 莊子가 자연적인 것(天)과 인간적인 것(人)을 구분하였듯이 순자는 자연적인 것(天)과 인문적인
것(文)을 구분하였다.禽獸에 어미, 새끼가 있고, 암컷, 수컷이 있다는 사실은 자연적이며, 반면에
부자, 부부간의 人倫관계는 문화와 문명의 소산이다. 이는 자연의 선물이 아니라 인간 정신의 治
積 이다 인간은 人倫과 禮를 가지고 있으므로 禽獸와는 다른 생활을 영위해 가고 있다. 이렇게 보
면 인간이 禮를 지녀야 하는 이유는 어쩔 수 없어서가 아니라 인간이면 마땅히 그렇게 해야 하
기 때문이다. 儒家에서 禮가 갖고 있는 뜻은 매우 광범위하다. 예는 禮儀, 儀式, 사회규율 등의 뜻
을 함축하고 있다. 위의 글에서는 다소 사회 규율의 뜻을 취하고 있으며 이러한 의미에서 예는 인
간의 행위를 규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예는 인간욕구의 충족을 위하여 규제를 마련했다. 그
러나 禮는 禮儀, 儀式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이에 따라 그 기능은 다르다.禮는 인간의 감정을
순화 시켜 주고 정화시켜 주는 기능을 갖고 있다.
삼강 / 오륜 / 혈구지도 / 충서 / 호연지기 / 사단
유학은 무엇인가? / 유학의 개념 (11) / 유학의 인간관 (12-17:3가지) / 유학의 근본사상 (42-48:인/역)
유학의 형성 (17-23) / 공자 - 인 / 공자의 인간관 (152) / 맹자 - 인성론 / 순자 - 인성론
君爲臣綱(군위신강) 임금은 신하의 근본이 되고
父爲子綱(부위자강) 아버지는 자식의 근본이 되고
夫爲婦綱(부위부강) 남편은 아내의 근본이 되니
是謂三綱(시위삼강) 이것을 삼강이라 한다.
君臣有義(군신유의) 임금과 신하의 사이에는 의리가 있고
父子有親(부자유친) 부모와 자식 사이에는 친함이 있고
夫婦有別(부부유별) 남편과 아내 사이에는 분별이 있고
長幼有序(장유유서) 어른과 아이 사이에는 차례가 있고
朋友有信(붕우유신) 벗과 벗 사이에는 신의가 있어야 하니
是謂五倫(시위오륜) 이것을 오륜이라 한다.
삼강오륜(三綱五倫)은 유교(儒敎)의 대표적인 사회윤리로서, 구체적인 내용은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위자강(父爲子綱), 군위신강(君爲臣綱), 부위부강(夫爲婦綱)의 삼강과 부자유친(父子有親), 군신유의(君臣有義), 부부유별(夫婦有別), 장유유서(長幼有序), 붕우유신(朋友有信)의 오륜으로 되어 있다.
삼강은 아버지는 아들을 통솔하고, 임금은 신하를 통솔하며, 남편은 아내를 통솔한다는 뜻을 갖고 있다. 이 삼강을 확립한 것은 한나라의 동중서 였다. 동중서는 아버지와 아들, 임금과 신하, 남편과 아내라는 인간사회의 기본적인 관계를 양존음비(陽尊陰卑)사상에 따라 위와 아래의 존비관계로 정하고, 이는 하늘이 정한 것으로서 인간사회의 영원불변한 법칙이라고 했다.
오륜은 부모와 자식 사이에는 친함이 있어야 하고, 임금과 신하 사이에는 올바른 의리가 있어야 하며, 친구간에는 신의가 있어야 한다는 내용이다.
삼강은 군신, 부자, 부부 사이의 수직적인 관계를 주로 말했고, 오륜은 부자, 군신, 부부, 장유, 붕우 사이의 상호관계를 위주로 서로 지켜야 할 윤리적 덕목을 언급했다.
삼강오륜은 유교의 기본 덕목이자 사회 질서를 유지하는 기본 원칙으로, 지금까지 우리 나라를 비롯한 동양 사회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호연지기(浩然之氣)
① 하늘과 땅 사이에 가득 찬 넓고도 큰 원기.
② 도의에 뿌리를 박고 공명 정대하여 조금도 부끄러울 바 없는 도덕적 용기.
③ 사물에서 해방되어 자유롭고 즐거운 마음.
浩:넓을 호. 然:그럴 연. 之:갈 지(…의). 氣:기운 기.
[준말] 호기(浩氣). [동의어] 정대지기(正大之氣). 정기(正氣).
[출전] ≪孟子≫ <公孫丑篇)
전국 시대의 철인(哲人) 맹자(孟子)에게 어느 날, 제(齊) 나라 출신의 공손추(公孫丑)란 제자가 물었다.
"선생님이 제나라의 재상이 되시어 도를 행하신다면 제나라를 틀림없이 천하의 패자(覇者)로 만드실 것입니다. 그런 경우를 생각하면 선생님도 역시 마음이 움직이시겠지요?"
"나는 40 이후에는 마음이 움직이는 일이 없다."
"마음을 움직이지 않게 하는 방법은 무엇입니까?"
"그것은 한 마디로 '용(勇)'이다. 자기 마음속에 부끄러움이 없으면 아무것도 두려울 게 없고, 이것이야말로 '대용(大勇)'으로서 마음을 움직이지 않게 하는 최상의 수단이니라."
"그럼, 선생님의 부동심(不動心)과 고자(告子)의 부동심은 어떻게 다릅니까?"
고자는 맹자의 성선설(性善說)에 대하여 '사람의 본성은 선(善)하지도 악(惡)하지도 않다'고 논박한 맹자의 논적(論敵)이다.
"고자는 '이해가 되지 않는 말을 애써 이해하려 해서는 안 된다'고 하지만 이는 소극적이다. 나는 말을 알고 있다[知言]는 점에서 고자 보다 낫다. 게다가 '호연지기'도 기르고 있다."
'지언'이란 피사( 辭:편벽된 말), 음사(淫辭:음탕한 말), 사사(邪辭:간사한 말), 둔사(遁辭:회피하는 말)를 간파하는 식견을 갖는 것이다. 또 '호연지기'란 요컨대 평온하고 너그러운 화기(和氣)를 말하는 것으로서 천지간에 넘치는 지대(至大), 지강(至剛)하고 곧으며 이것을 기르면 광대무변(廣大無邊)한 천지까지 충만 한다는 원기(元氣)를 말한다. 그리고 이 기(氣)는 도와 의(義)에 합치하는 것으로서 도의(道義)가 없으면 시들고 만다. 이 '기'가 인간에게 깃들여 그 사람의 행위가 도의에 부합하여 부끄러울 바 없으면 그 누구에게도 굴하지 않는 도덕적 용기가 생기는 것이다.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5.08.20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01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