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자일리톨이란?
(2) 자일리톨 생산 방법
(3) 자일리톨의 효과, 성질
(4) 자일리톨을 이용한 상품 - 껌
(5) 자일리톨의 다른 용도
(6) 자일리톨에 대한 궁금증
(2) 자일리톨 생산 방법
(3) 자일리톨의 효과, 성질
(4) 자일리톨을 이용한 상품 - 껌
(5) 자일리톨의 다른 용도
(6) 자일리톨에 대한 궁금증
본문내용
장내 세균에 의해 분해 된 후 일부가 흡수된다. 대장 내에서 흡수되는 기전은 셀룰로스와 같은 식이 섬유의 소화 기전과 유사하다.
자일리톨은 별도로 섭취하지 않더라도 인체 내 glucose 대사 중에 1일 5-15그램 정도가 저절로 생성되며 0.03정도의 혈중 농도를 보입니다. 자일리톨을 별도로 섭취하지 않더라도 소변 중 자일리톨 배출은 시간당 약0.3mg정도가 된다.
③ 자일리톨은 부작용이 없나?
자일리톨은 천연 소재 감미료로서 대단히 안전하다.
이미 미국, 캐나다 등을 비롯하여 세계 각국에서 허가를 받았고 자일리톨 껌, 캔디 등의 제품이 다양하게 생산되고 있다. 또한FAO(세계식량기구)/세계보건기구) 합동 규격 위원회에서는 [1일 허용 섭취량을 제한하지 않음]이라는 가장 안전성이 높은 범주로 평가하고 있다. 많은 양을 섭취하였을 때 사람에 따라서 설사(실제는 설사가 아니고 변이 연해지는 현상)가 생길 수 있어서 1일 섭취 제한량을 성인 기준20-60그램 정도로 한다만 이도 금방 적응되며 섭취량을 조금씩 늘리게 되면 하루 섭취량이 500그램이 되어도 상관이 없다
④ 자일리톨 음료도 충치 예방에 효과적인가?
자일리톨을 사용하여 충치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제품군은 어느 정도 한계가 있다. 특히 과자나 음료같은 제품에 사용하는 것은 의미가 별로 없다.
자일리톨은 껌, 타브렛,사탕, 젤리 류와 같이 뮤탄스균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여타 탄수화물 없는 제품이며 동시에 입안에 오래 남아 침의 분비를 촉진하는 형태여야 한다.
비스킷이나 과자를 만들기 위해서는 밀가루와 우유가 들어가야 하는데 밀가루의 전분, 우유 속에 들어있는 유당은 설탕과 더불어 모두 뮤탄스균이 좋아하는 먹이이다.
설탕으로 주로 단맛을 낸 요구르트에 소량의 자일리톨이 들어 있다고 하더라도 충치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여러 가지 탄수화물 중에서도 설탕은 뮤탄스균이 가장 좋아하는 먹이로 산의 발생도 많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설탕과 자일리톨을 동시에 투여하는 것은 충치 예방에 도움이 되지 않다.
3. 맺음말
천연소재 감미료인 자일리톨은 인간에게 이용될수 있는 많은 효능이 있다는 것을 살펴 보았다. 앞으로 많은 자일리톨의 효과를 이용한 제품들이 나올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우리가 조심해야 할 것은 현재의 자일리툴 상품들(대부분 껌)은 과대 평가된 부분이 많음으로 단지 충치 예방제가 아닌 충치예방 보조제라는 것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자일리톨은 별도로 섭취하지 않더라도 인체 내 glucose 대사 중에 1일 5-15그램 정도가 저절로 생성되며 0.03정도의 혈중 농도를 보입니다. 자일리톨을 별도로 섭취하지 않더라도 소변 중 자일리톨 배출은 시간당 약0.3mg정도가 된다.
③ 자일리톨은 부작용이 없나?
자일리톨은 천연 소재 감미료로서 대단히 안전하다.
이미 미국, 캐나다 등을 비롯하여 세계 각국에서 허가를 받았고 자일리톨 껌, 캔디 등의 제품이 다양하게 생산되고 있다. 또한FAO(세계식량기구)/세계보건기구) 합동 규격 위원회에서는 [1일 허용 섭취량을 제한하지 않음]이라는 가장 안전성이 높은 범주로 평가하고 있다. 많은 양을 섭취하였을 때 사람에 따라서 설사(실제는 설사가 아니고 변이 연해지는 현상)가 생길 수 있어서 1일 섭취 제한량을 성인 기준20-60그램 정도로 한다만 이도 금방 적응되며 섭취량을 조금씩 늘리게 되면 하루 섭취량이 500그램이 되어도 상관이 없다
④ 자일리톨 음료도 충치 예방에 효과적인가?
자일리톨을 사용하여 충치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제품군은 어느 정도 한계가 있다. 특히 과자나 음료같은 제품에 사용하는 것은 의미가 별로 없다.
자일리톨은 껌, 타브렛,사탕, 젤리 류와 같이 뮤탄스균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여타 탄수화물 없는 제품이며 동시에 입안에 오래 남아 침의 분비를 촉진하는 형태여야 한다.
비스킷이나 과자를 만들기 위해서는 밀가루와 우유가 들어가야 하는데 밀가루의 전분, 우유 속에 들어있는 유당은 설탕과 더불어 모두 뮤탄스균이 좋아하는 먹이이다.
설탕으로 주로 단맛을 낸 요구르트에 소량의 자일리톨이 들어 있다고 하더라도 충치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여러 가지 탄수화물 중에서도 설탕은 뮤탄스균이 가장 좋아하는 먹이로 산의 발생도 많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설탕과 자일리톨을 동시에 투여하는 것은 충치 예방에 도움이 되지 않다.
3. 맺음말
천연소재 감미료인 자일리톨은 인간에게 이용될수 있는 많은 효능이 있다는 것을 살펴 보았다. 앞으로 많은 자일리톨의 효과를 이용한 제품들이 나올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우리가 조심해야 할 것은 현재의 자일리툴 상품들(대부분 껌)은 과대 평가된 부분이 많음으로 단지 충치 예방제가 아닌 충치예방 보조제라는 것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