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리말
Ⅱ. 본 론
1) 대웅전
2) 석가탑
3) 다보탑
4) 극악전
5) 비로전과 관음전
Ⅲ. 결론
Ⅱ. 본 론
1) 대웅전
2) 석가탑
3) 다보탑
4) 극악전
5) 비로전과 관음전
Ⅲ. 결론
본문내용
를 짓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차라리 그것보다는 그 속에서 이러한 사찰을 만들고 여기에서 자신들의 신앙심을 키워왔던 그들을 느껴 보려고 하는 노력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나서야 올바른 시각에 의한 사색이 가능할 것이기 때문이다. 필자는 불국사가 매우 복합적인 상징성과 가람배치로 되어 있다는 것을 바탕으로 조금은 타협적인 결론에 도달했다. 즉 불국사는 당시의 모든 신앙의 형태(물론 그 속에는 화엄종과 밀교의 영향이 존재한다.)를 총망라한 사찰로서 그 신앙의 최고 경지인 각종의 불국토들을 충실히 구현하고 있는 것이다. 그 중 법화경신앙에 의한 대웅전 일곽이 가장 크고 중심적인 영역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마도 그것(유가유식계렬)이 당시 불교신앙의 주체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던 까닭이 아닐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