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의 사회적 실천방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롭게 하는 사회야말로 우리 모두가 추구하고 희망하는 사회이기 때문이다. 오늘날에 있어서도 그 이치가 다를 바 없다. 부모가 자식에게 베푸는 봉사와 헌신을 본받아 부모에게 효도하고, 사회와 국가에 헌신·봉사하고, 가족과 이웃을 대한다면 갈등, 혼란, 무분별, 아집, 이기심, 당파심, 부정, 불신, 부조리는 없을 것이다.
셋째, 효 사상에서 본 받아야 할 현대 교육적 의미는 경애와 배려의 교훈이다. 천자의 덕교(德敎)로부터 서인의 봉양에 이르기까지 그 효도의 행위 속에 반드시 갖추어야 할 것이 공경심이다. 부모 봉양하는 것이 짐승에게 먹이를 주어 기르듯 하는 것이라면 그것은 결코 효라고 할 수 없다. 단순한 봉양만으로 효도를 말할 수 없는 것이다. 비록 진수 성찬과 금은 보화로 부모를 모셨다 하더라도 거기에 공경심이 따르지 않고 알뜰한 배려가 병행하지 않고서는 효도라 할 수 없으며, 비록 보리밥에 거친 반찬이라도 거기에 지극한 공경과 배려가 있다면 효도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니 효도는 이 공경심을 필수 요건으로 하는 것이며, 이 공경심이 마음속으로부터 우러나와 봉사 헌신하려는 정성이 있을 때 가치 있는 것이다.
효도는 사랑의 관계이며 사랑의 관계는 배려를 제외하고 이루어 질 수 없다. 사랑과 배려는 둘을 하나로 만든다. 어버이와 자식을 하나로 만드는 것이다. 이러한 사랑의 마음, 공경의 마음이 아무런 가식 없이 부모에게로 향하는 곳에 진정한 효도가 있는 것이며, 이러한 효도의 원리를 체득 실천하는 곳에 행복이 있을 수 있다.1)
부자 유친에서 말하는 부자자효(父慈子孝)의 관계는 법적으로 규정되는 타율적 의무가 아니라, 부자 간의 자율적 행위이다. 이는 인격을 본위로 한 친애의 정신으로 보아야 한다. 나의 부모에 대한 경애의 마음이 남의 부모에게 미치고, 더 크게 인류 사회에 확대한다면 경천 애인의 이상을 실현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것은 인간의 존엄성을 바탕으로 하는 인류애와도 상통한다. 이것은 현대 사회에서도 장려해야 할 선행이요, 또한 인간애의 출발점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효의 근본은 결코 흐트러지지 않고 가식 없는 진실성과 성실성에 있다. 자식의 사랑과 공경의 마음이 아무런 가식 없이 부모에게 향하는 곳에 진정한 효도가 있는 것이며, 이러한 효도의 원리를 체득 실천하는 곳에 행복이 있는 것이다. 다만, 효도란 무조건적인 요구나 연장자의 강요에 의한 것이 아니라 인간됨과 합리성을 통해서 납득하고 분발하는 형식의 것이 되어야 할 것이다
■ 현대사회에서의 ‘효’의 방법
● 부모공경
①부모님을 진심,정성에서 울어나는 공손한 예의와 존경심으로 살아 계신 하느님이라 생각하고 모신다.
②아침저녁으로 문안인사 올리고, 출타시에는 행선지를 명확히 아뢰고 일정이 변경되면 또 아뢰며 , 안부전화를 자주 올린다.
③따로 살 경우, 매주,매월 또는 명절때등 정기적으로 (자녀를 데리고)찾아 뵙고 매일 전화 올린다.
④집안일이나 자식의 일은 사소하더라도 부모님께 진언하여 이해시키고 실행한다.
● 부모봉양
①주거환경은 불편없이 노인에 적합하게 해 드린다.
②생활비외 용돈은 형편에 맞게 넉넉하게 매월 정기적으로 일정액을
형제간의 형편대로 배분하여 정한날에 송금해드린다.
③부모님의 입맛에 맞는 음식을 노인들이 취식하기에 알맞게 조리해 드린다.
④병환에 대비하여 주거,가구,집기,용품,통신수단,비상연락 방법등을 강구하는 등 정성껏 봉양한다.
● 양지(養志)-입신양명
①부모님의 뜻에 따라 생활성장하고,부모님의 뜻을 어기지 않으며,맡은바 일에 전심전력하여 성공한다.
②공부방향과 전공,직업선택은 부모님의 뜻대로 하며,부모님의 가업은 계승(노력)한다.
③현실에 어두운 부모라도 실정을 성의껏 설득하고 간절히 말씀드려 부모님이 이해하도록 한다.
● 봉사(奉詞)
부모가 돌아가시면 슬픔을 다하여 엄숙히 장례 지내고, 명절과 기일에 모든 자식이 합심하여 정성껏 추모하고, 제례를 올린다.
● 불효
①부모뜻을 거역하거나 부모에게 위해를 가하는 폐륜행위
②게으름,도벽,사행심,쟁투,폭력,음란,과음과 주벽,무직,무자식등의 행위는 부모를 걱정되게 하는 행위로 동서고금의 경전에 공통적으로 불효로 규정하였다.
③불효벌 -- 현행 우리법에서도 부모에 대한 범죄자에 대해서는 가중처벌하고, 재산상속권도 박탈하고 있다.
◎ 실천적 의미로서의 ‘효’의 방법
1)부모님의 연세, 고향, 일가친척, 건강상태, 좋아하는 것 등에 대해 자세히 알고 있어야 한다.
2)잠자리에 들거나 일어난 뒤에는 "안녕히 주무셨습니까"등의 인사를 드린다.
3)외출을 할 때에는 반드시 행선지와 귀가 예정시간을 말씀드리고 돌아와서는 인사를 드린다.
4)외출시 예정보다 귀가가 늦어질 경우에는 반드시 부모님께 연락을 드린다.
5)부모님께서 출입하실 때에는 반드시 일어나서 문밖에까지 나가 배웅하고 맞이 한다.
6)식사할 때에는 부모님보다 먼저 시작하지 않으며, 부모님께서 식사를 마칠때까지 자리를 뜨지 않는다.
7)중요한 일은 항상 부모님과 의논하여 결정하도록 하며, 늘 함께 대화하는 생활습 관을 기른다.
8)부모님 앞에서는 항상 얼굴 빛을 온화하게 하며, 결코 형제간에 다투는 일이 없 도록 한다.
9)늘 부모님 곁에 있도록 노력하며, 떠나 있게 될 경우에는 자주 소식을 전하고 찾아 뵙도록 한다.
10)작더라도 늘 부모님께 감사하는 마음을 표시하도록 노력하며, 부모님의 일을 거 들어 드린다.
11)부모님의 의견을 존중하고 따르되, 의견이 서로 다를 때에는 부드럽고 간곡하게
자신의 의견을 말씀드리도록 한다.
12)부모님께서 부르시면 즉시 큰소리로 대답하면서 달려가 뵙도록 한다.
13)부모님께서 편찮으시면 혼자 계시지 않도록을 옆에서 모시고 정성껏 간호하도록 한다
[참고문헌]
金在萬, '효의 현대 교육적 이해', 『韓國儒學思想과 敎育』, 大光文化社, 1988,pp.161-167. 효가원
부처님이 들려주신 孝 이야기 <월 운 스님 外 저>, 고뇌하는 현대인을 위한 윤리학 강의 <정인화 지음>
한국의 孝사상 <지교헌 편저>, 가나안의 孝 <가나안 농군학교 편>
한국인의 효도문화 <손인수 지음>, 새 시대의 孝<성규탁 지음>
각종 신문 사설 발췌

키워드

효도,   ,   효의 실천,   유교,   예의,   부모님,   노인,   현대적
  • 가격3,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5.09.01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14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